[include(틀:롯데 자이언츠/투수)] || '''{{{#fff 박영완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07번}}}''' || || 이예찬[br](2017) || {{{+1 →}}} || '''박영완[br](2019)''' || {{{+1 →}}} || [[김태욱(야구선수)|김태욱]][br](2023~2023.8.12.)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67번}}}''' || || [[조무근]][br](2019) || {{{+1 →}}} || '''박영완[br](2020)''' || {{{+1 →}}} || [[앤더슨 프랑코|프랑코]][br](2021)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65번}}}''' || || [[김동규(야구선수)|김동규]][br](2020) || {{{+1 →}}} || '''박영완[br](2021~2021.7.18.)''' || {{{+1 →}}} || [[강리호|강윤구]][br](2021.7.22.~2021)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67번}}}''' || || [[조무근]][br](2022) || {{{+1 →}}} || '''박영완[br](2023~)''' || {{{+1 →}}} || [[현역#s-3]]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박영완 프로필.png|width=100%]]}}} || ||<-2> '''롯데 자이언츠 No.67''' || ||<-2> '''{{{+2 박영완}}}[br]Park Young-Wan''' || ||<|2> '''출생''' ||[[2000년]] [[7월 22일]] ([age(2000-07-22)]세)|| ||[[경상남도]] [[진해시]][br](現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양덕초 - [[마산동중학교|마산동중]] - [[대구고등학교 야구부|대구고]]|| || '''신체''' ||183cm|85kg|| || '''포지션''' ||[[외야수]] → [[투수]]|| || '''투타''' ||[[우투좌타]]|| || '''프로입단''' ||[[KBO 리그/2019년/신인드래프트#s-3.2|2019년 2차 5라운드]] (전체 48번, [[롯데 자이언츠|롯데]])|| ||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2019~)|| || '''병역'''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br]{{{-2 (2021년 7월 19일 ~ 2023년 1월 18일)}}}|| || '''연봉''' ||3,200만원 (2023년)|| || '''가족''' ||부모님, 남동생 박영훈^^(2003년생)^^|| || '''SNS''' ||[[https://www.instagram.com/wan_star777/|[[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목차] [clearfix] == 개요 == [[롯데 자이언츠]]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대구고등학교 야구부|대구고등학교]] 입학 후부터 팀의 주전 선수를 맡아 활약하였다. 본격적으로 이름을 날린 때는 2학년 시절로 월드 파워 쇼케이스 예선에서 [[변우혁]]에 밀려 준우승을 하였다. 3학년때는 투타겸업을 하면서 팀의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준우승,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우승을 이끌었다. 실력만 보면 1차지명도 따 놓은 상황이었으나, 타 지역 중학교인 [[마산동중학교]]를 졸업했기 때문에 1차지명 후보에 들지 못했다. 참고로 [[대구고등학교 야구부|대구고등학교]] 시절에 외야수로 시작했지만 나중에 1루수와 마무리 투수로 나왔다고 한다. === [[롯데 자이언츠]] === [[KBO 리그/2019년/신인드래프트|KBO리그 2019년 신인드래프트]]에 참가하여 2차 5라운드 전체 48번으로 [[롯데 자이언츠]]의 지명을 받았다. 향후 외야 세대 교체 자원으로 염두에 두고 뽑았다고 한다. ==== 2019 시즌 ==== 타격폼 수정 때문인지 2군에서조차 기회를 얻지 못하고 있다. 시즌이 끝날 때까지 [[정준혁(야구선수)|정준혁]], [[이찬건]] 등 다른 외야수들에게 밀리며 백업 외야수로 시즌을 보냈다. 스몰 샘플이지만 잠재력을 어느 정도 보여주었기에[* 16경기 40타석 36타수 13안타 2 2루타 1홈런 7타점 4득점 4볼넷 4삼진 타출장 .361/.425/.500] 발만 빨랐던 이찬건, 파워는 좋지만 컨택과 선구안에서 약점을 노출한 정준혁을 주로 기용하고 이 둘이 선발에서 제외되면 [[김문호]], [[이병규(1983)|이병규]] 등 베테랑에게 기회를 준 강진규 감독을 향한 불만이 쏟아졌다.[* 박영완 뿐만 아니라 [[고승민]]을 비롯한 [[김동규(야구선수)|김동규]], [[김민수(1996)|김민수]], [[신윤후|신용수]] 모든 신인 선수들이 이 시즌 퓨처스리그에서 [[정준혁(야구선수)|정준혁]], [[이재욱(1994)|이재욱]], [[이찬건]] 등 선배들에 비해 출장 경기가 적었다.][* 후에 선수 본인이 이 시기에 출장이 적었던 이유를 털어놓은 바로는, 자신이 때린 파울 타구에 자신의 무릎에 맞아 무릎 부상을 당한 바람에 오랫동안 재활을 하게 되어서 출장이 적어졌다고 한다.] ==== 2020 시즌 ==== 외야 리빌딩의 코어 자원인 만큼 이번 시즌에는 퓨처스 주전 외야수로 많은 경험을 쌓을 것으로 보였으나, 5월 13일 [[KIA 타이거즈]]와의 2군 경기에서 뜬금없이 투수로 등판했다. 때문에 많은 팬들이 왜 투수로 전향했냐며 의문을 품었는데 [[https://www.youtube.com/watch?v=K2XTEOiyJhY|구단에서 투수로 재능을 키우자고 제안을 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날의 기록은 1이닝 1피안타 1사사구 무실점. 그리고 16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퓨처스 경기에서 또 투수로 등판해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이후 [[상무 피닉스 야구단]] 추가 모집에서 같이 투수로 전향한 [[김동규(야구선수)|김동규]]와 함께 최종합격에서 탈락의 고배를 마셨고, 그 후로도 계속 투수로 꾸준히 등판하고 있는 중이다. 아마추어 시절에 투수로도 경기에 나왔던지라 나름대로 적응을 해나가고 있지만 아직까지 140km/h을 넘지 못하는 구속을 끌어올리는 것이 최대 과제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9월 26일 경기에선 후반에 야수로 출장했다. 퓨처스 리그 최종 성적은 28경기 30이닝 3승 1패 4홀드 13볼넷 2사사구 16K 36피안타 17실점 13자책 ERA 3.90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상무 피닉스 야구단]]에 다시 지원했지만 또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 2021 시즌 ==== 지난 시즌에 드라이브 라인을 갔다온 선수들을 통해 어깨 너머로 배운 탓에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효과를 보지 못했던 지라 시즌을 시작하기에 앞서 드라이브 라인 프로그램에 잔뼈가 굵은 [[브랜든 맨]] 코디네이터의 도움으로 구속을 끌어올리고 있다. 7월 19일 현역으로 입대했다. 전역 예정일은 2023년 1월 18일. ==== 2023 시즌 ==== 1월 18일자로 전역했다. 등번호는 입대 전에 달았던 67번을 달았다. 군 제대 후 퓨처스에서 7경기 1승 1홀드 ERA 2.57로 좋은 모습을 보였고, 5월 11일 정식선수로 전환되었다. 5월 13일 [[kt wiz]]와의 경기를 앞두고 데뷔 첫 1군에 콜업됐으며 당일 롯데가 5:0으로 앞선 9회말 데뷔전을 가졌다. 비록 첫 타자 [[장성우]]에게 볼넷을 내줬지만 그 다음 [[홍현빈]]에게 병살을 유도하고, [[박경수]]에게 삼진을 잡아내며 경기를 마무리지었다. 최종 기록은 1이닝 1사사구 1K 무실점. == 플레이 스타일 == === 타자 === [[대구고등학교 야구부|대구고등학교]] 2학년 때 월드 파워 쇼케이스에서 북일고 [[변우혁]]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하여 [[슬러거]] 유형의 선수로 보이지만, 의외로 고교시절 기록을 살펴보면 어퍼 스윙을 바탕으로 장타를 생산하는 슬러거보다 가슴팍 부근까지 올라올 정도로 매우 높은 레그킥을 바탕으로 안타를 생산하는 중장거리형 [[교타자]]에 가깝다. === 투수 === 안정된 제구와 주 무기인 투심, 체인지업[* 프로에 입단해서 배웠다고 한다.]으로 경기를 이끌어가지만 느린 구속과 던질 수 있는 구종이 적은 것이 흠이다. == 여담 == * [[SSG 랜더스]]의 영구결번인 [[박경완]]과 이름이 매우 비슷해 헷갈릴 염려가 있다. * [[대구고등학교 야구부|대구고등학교]] 선배인 [[정주현]]과 외모가 닮았다는 평이 있다. * 진해에서 태어나고 창원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절을 보냈지만, 그 때는 [[NC 다이노스]]가 생기기 전이라 [[롯데 자이언츠]]의 팬이었다고 한다. 중학교 때 [[NC 다이노스]]가 잘 나가고 있음에도 계속 [[롯데 자이언츠]]를 지지했고, 지금도 팬이라고 한다. [[https://youtu.be/U_jIvFyp3kY|영상]] * 모교인 양덕초에서 코치를 한 경험이 있었던 [[정훈]]의 제자다.[* 공교롭게도 두 선수 모두 같은 초등학교 출신이다.] 프로에서 다시 만났을 땐 훈이 형이라고 불렀으나 곧바로 선배님으로 정정했다고 한다. 어릴 때나 지금이나 자신을 굉장히 잘 챙겨준다는 미담도 덤. * [[http://www.apsk.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87|타자로서의 롤 모델은 손아섭이라고 한다.]] 반대로 투수로서의 롤 모델은 [[이승헌(1998)|이승헌]]이라고 한다. * 3살 아래 동생인 박영훈도 야구선수다. 초등학교를 창원(마산)에서 나온 뒤 형과 같이 대구로 이사해 중학교를 다니다가 [[마산고등학교 야구부|마산고등학교]]로 진학했다. 2022년도 드래프트에서 지명받지 못했고 영남대로 진학했다. 포지션은 내야수.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롯데 자이언츠/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2000년 출생]][[분류:2023년 데뷔]][[분류:진해구 출신 인물]][[분류:마산동중학교 출신]][[분류:대구고등학교 출신]][[분류:육군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좌타]][[분류:롯데 자이언츠/현역]][[분류:투수로 전향한 야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