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1973년생 전직 농구 선수, rd1=박영진(1973))] || '''{{{#000000,#e5e5e5 박영진의 수상 및 감독 경력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KBL 챔피언 결정전 우승 반지''' || || '''[[1998-99 KBL 챔피언결정전|{{{#fed300 1999}}}]]''' || ---- [include(틀:OK저축은행 읏샷 감독)]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DDDDD 0%, #FFFFFF)" {{{+1 {{{#000000,#e5e5e5 ''' 대한민국의 농구인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K저축은행 박영진 코치.png|width=100%]]}}} || ||<-3> '''{{{+2 {{{#000000 박영진}}}}}}[br]{{{#000000 朴永珍}}}''' || ||<|2><-2> {{{#000000 ''' 출생 ''' }}} ||[[1975년]] [[4월 15일]] ([age(1975-04-15)]세) || ||[[대구광역시]] || ||<-2> {{{#000000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000000 ''' 신체 ''' }}} ||[[키(신체)|신장]] 182cm|[[체중]] 80kg || ||<-2> {{{#000000 ''' 포지션 ''' }}} ||[[농구 선수]] ([[포인트 가드]] / ^^은퇴^^)[br][[농구 감독]] || ||<-2> {{{#000000 ''' 학력 ''' }}} ||[[대구동천초등학교]] {{{-2 (졸업)}}}[br][[계성중학교]] {{{-2 (졸업)}}}[br][[계성고등학교(대구)|계성고등학교]] {{{-2 (졸업)}}}[br][[건국대학교]] {{{-2 (학사)}}} || ||<-2> {{{#000000 ''' 프로 입단 ''' }}} ||[[1998 KBL 국내신인선수 드래프트|1998년 드래프트]] {{{-2 (2라운드 1순위, [[전주 KCC 이지스|대전 현대]])}}} || ||<|3>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전주 KCC 이지스|대전 현대 다이냇/전주 KCC 이지스]] (1998~1999, 2002~2003) [br]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인천 전자랜드 블랙슬래머]] (2003~2005) [br]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피버스]] (2005~2006) || || {{{#000000,#e5e5e5 '''코치''' }}} ||[[대진고등학교(서울)|대진고등학교]] (2006~2010) [br] [[구리 KDB생명 위너스]] (2010~2018) [br] [[OK저축은행 읏샷]] (2018~2019) || || {{{#000000,#e5e5e5 '''감독''' }}} ||[[구리 KDB생명 위너스]] (2018 / ^^감독 대행^^)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농구 코치. == 아마추어 시절 == [[대구광역시|대구]] [[계성고등학교(대구)|계성고]] 시절, 1년차 후배 센터인 [[손창환(농구)|손창환]]과 함께 제23회 중고농구연맹전 남자부 결승전에서 골밑 플레이와 게임 운영에 힘을 써 [[목포상업고등학교]]를 95-70으로 누르고 7년만에 정상을 탈환했으며 그와 동시에 최우수선수상에도 뽑혔다. 건국대학교 시절에는 [[정진영(농구)|정진영]]-장석환-[[김용식(농구)|김용식]] 92학번 트리오의 졸업 이후 황소군단 백코트를 책임진 가드로 활약했으며, 당시 에이스 정진영이 있었던 시절보다도 더 좋은 성적으로 이끌어 냈다. == 선수 시절 == 1998년 2라운드 11순위로 대전 현대 다이냇에 입단하지만 [[이상민(농구)|이]]-[[조성원|조]]-[[추승균|추]] 트리오와 외국인 용병 [[조니 맥도웰]] 등의 높은 벽으로 인해 6경기만 뛰고 불과 1년만에 상무 입대를 결정하였고, 제대 후인 2002-03 시즌 전주 KCC 이지스로 돌아왔으나 한 경기에도 뛰지 못한 채 인천 전자랜드로 트레이드되었다. [[파일:2003-04시즌 인천 전자랜드 시절의 박영진.jpg]] [[파일:박영진이 강혁의 마크를 피했다.jpg]] [[파일:2004-05시즌 인천 전자랜드 시절의 박영진.jpg]] 전자랜드에서는 [[유재학]] 감독의 조련하에 좋은 수비력을 바탕으로 주전 포인트 가드인 [[최명도]]의 백업 가드로 뛰면서 괜찮은 활약을 선보였는데 특히 플레이오프부터는 평균 20분에 가까운 출장시간을 얻으며 그 중 서울 삼성 썬더스와의 6강 플레이오프에서 가드 [[강혁(농구)|강혁]]의 마크를 피하는 등 팀을 4강에 진출시키는데 기여했다. 하지만 다음 시즌에는 [[박수교]] 감독이 ~~개그를 보여주기 위해~~ 부임하자 출장 기회가 급격히 줄었고 부상까지 겹치자 2005년 12월 27일 전자랜드 시절 은사인 유재학 감독이 지휘하고 있는 울산 모비스로 이적해 식스맨을 번갈아 가며 뛴 뒤 은퇴했다. == 지도자 시절 == 선수 은퇴 뒤, 대진고등학교에서 코치를 시작해 [[2010년]]부터 WKBL의 [[부산 BNK 썸|구리 KDB생명 위너스]]에서 코치를 맡고 있으며 팀명이 [[부산 BNK 썸|OK저축은행]]으로 바뀐 이후에도 코치를 맡았으나 팀이 BNK금융지주로 매각되면서 물러났다. 참고로 2017-2018 시즌 도중인 2018년 1월경 김영주 감독의 성적부진으로 시즌 종료까지 감독대행을 맡았다. 현재는 선배 [[추승균]]이 설립한 엘리트 Basketball 아카데미의 부대표를 맡고 있다.[[http://www.jumpball.co.kr/news/newsview.php?ncode=179527040960380|#]]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부산 KCC 이지스/선수단]]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선수단]]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75년 출생]][[분류:1998년 데뷔]][[분류:2006년 은퇴]][[분류:포인트 가드]][[분류:전주 KCC 이지스/은퇴, 이적]][[분류: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은퇴, 이적]][[분류: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은퇴, 이적]][[분류:계성고등학교(대구) 출신]][[분류:건국대학교 출신]][[분류:상무 농구단/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