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BC 공채 탤런트)] ||
{{{#ffffff ''' 박원숙의 주요 수상 이력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width=160]]]] || ||<-5> [[파일:baeksangartsawards4.png|height=100]] || ||<-5> {{{#fff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 '''제24회[br]([[1988년]])''' || {{{+1 →}}} || '''제25회[br]([[1989년]])''' || {{{+1 →}}} || '''제26회[br]([[1990년]])''' || || [[김청]][br]([[사랑과 야망]]) || {{{+1 →}}} || '''{{{#000 [[김혜자]][br]([[모래성(드라마)|{{{#000 모래성}}}]], [[겨울 안개|{{{#000 겨울 안개}}}]])[br]{{{#000 박원숙[br]([[토지(1987년 드라마)|{{{#000 토지}}}]])}}}}}}''' || {{{+1 →}}} || [[고두심]][br]([[사랑의 굴레]]) || ||<-5> || }}} || ||<-2> '''{{{+1 박원숙}}}[br]朴元淑 | Park Wonsook''' || ||<-2>{{{#!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배우박원숙.jpg|width=100%]]}}} || || '''출생''' ||[[1949년]] [[1월 19일]] ([age(1949-01-19)]세) || || '''학력''' ||[[서울청파초등학교]] {{{-2 (졸업)}}} [br] [[숭의여자중학교]] {{{-2 (졸업)}}} [br] [[숭의여자고등학교]] {{{-2 (졸업)}}} [br] [[중앙대학교]] {{{-2 (연극영화과 / 중퇴)}}}|| || '''신체''' ||163cm[* 젊었을 때는 165cm였다고 한다.], 57kg, [[A형]] || || '''데뷔''' ||[[1970년]] MBC 2기 공채 탤런트[* 동기로 [[김자옥]], [[한혜숙]], [[양정화(배우)|양정화]] 등이 있다.] || || '''가족''' ||어머니[* 2016년 사망. 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 첫 촬영 날 모친상을 당했다고 한다.], 아들 서범구[* 1969. 3. 18 ~ 2003. 11. 3. 당시 딸이 있는 기혼자였다. 화물차에 치여 세상을 떠났다.] || || '''수상''' ||[[1998년]] [[MBC 연기대상]] 여자우수상[br][[2005년]] 제12회 대한민국연예예술상 문화관광부장관표창[br][[2007년]] MBC 연기대상 중견배우부문 황금연기상[br][[2013년]] MBC 연기대상 공로상 || || '''종교''' ||[[여호와의 증인]] || || '''SNS''' ||[[https://www.youtube.com/channel/UCFL8D3iJ9tVCqTsFpZLZEV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배우. == 활동 == 1970년 [[MBC]] 2기 공채 탤런트에 합격하며 데뷔했다.사실 애초에 1969년 1기로 지원하려고 했으나, 임신중이라 안 된다고 해서 출산 후인 이듬해에 다시 지원하여 합격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1기와도 각별한 사이라며, 2019년 방송 [[모던 패밀리]]에서 1기 배우들과 함께 50주년 기념 파티에 참석하는 모습을 보였다. 데뷔 초기에는 크게 주목 받지 못했다고 한다. 그래도 좀 이름이 알려진 다음에는 한국의 [[소피아 로렌]] 소리도 듣는 등 좋은 신체 조건을 가진 배우로 알려졌다.[* 외모를 보면 [[글렌 클로즈]]의 느낌이 난다.] [[1986년]]부터 [[1994년]]까지 방영한 [[MBC]] 일요일 아침 드라마 '''[[한지붕 세가족]]'''에서 [[임현식]]과 함께 부부(각각 순돌이 아버지, 순돌이 어머니)로 출연하였다. 이 인연으로 역시 현실에서 싱글인 임현식과 친하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임현식은 부인과 사별한 상태다.][* 중년판 [[우리 결혼했어요]]인 [[님과 함께(JTBC)|님과 함께]]에서 가상 부부로 나오기도 했다.] [[1987년]]에 방영된 [[KBS]]판 [[토지(1987년 드라마)|토지]]에서는 임이네로 등장해서 훌륭한 연기를 보여주며, KBS 여자최우수 연기상 와백상 TV부문 연기상을 수상했다. 그런데, 연기파 배우임에도 2000년대 들어서는, 아들에 대한 [[팔불출]] 이미지가 극에 달해 [[타락]]해버린 듯한 못된 [[시어머니]] 역으로 많이 나오고 있다. 가히 이 방면에 특화된 배우. 이런 연기를 너무 잘하다 보니, 욕하다 가도 감탄하게 만든다. 특히, 드라마 [[겨울새(2007년 드라마)|겨울새]]와 [[백년의 유산]]에서의 연기는 대상감이었고, 실제 2013년 [[MBC 연기대상]]에서 유력한 대상 후보에 오르면서 연기 인생 43년 만의 첫 대상의 꿈을 이룰 수 있었지만, 공로상에 그치고 말았다. 물론 그렇고 그런 역할로만 나오는 건 아니고, [[커피프린스 1호점]]의 마음 약하고 소심한 어머니인 김지향 여사 같은 착한 배역도 잘 해낸다. [[그대 그리고 나]]에서처럼 육체 연령은 60대인 반면, 정신연령은 20대인 연기도 거뜬히 해냈다. 2014년작인 [[운명처럼 널 사랑해]]에서는 [[방영자]]와 정 반대인 '''손주 며느리 바보 시 할머니'''로 맹활약 했다. [[2016년]] 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에서는 중년 여배우 '이영원' 역을 연기. 기존의 막장 시어머니 이미지와 전혀 다른 중년 여배우 역할을 맡아 호평을 받았다.[* 진짜로 극중 역할이 중년 여배우다. 실제 박원숙 본인의 포지션을 생각하면 몰입하기 편한 역할 이었을듯하다.] 또한 [[황후의 품격]]에서도 인자하고 근엄하고 따뜻한 [[태황태후 조씨]] 역할을 하면서 다방면 연기가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KBS 1TV에서 동 세대 여배우들인 [[김영란(배우)|김영란]], [[박준금]][* 이전엔 배우 [[김혜정]]도 출연했으나, 2018년 4월 28일 방송분을 끝으로 하차했다.]과 함께 실버 동거 버라이어티 '[[박원숙의 같이 삽시다]]'를 진행하고 있다. 박원숙의 남해 집에서 여배우들과의 좌충우돌 동거기가 호평을 받아 꽤 오랜 기간 방영 중이며, KBS 1TV 방송임에도 평균 4~5% 시청률을 보였다. 남해군으로부터 감사패도 받았다.[[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180329010010981|#]] 2020년부터 '''박원숙채널'''이라는 이름으로 [[유튜브]] 개설을 했다. 2021년 2월 1일부터 [[박원숙의 같이 삽시다]] 시즌 3가 시작되었다. 교양 프로그램이긴 하지만, 프로그램에 자신의 이름을 내걸고 시즌 3까지 방영되며 박원숙의 대표작으로 자리잡았다. == 개인사 == 1950, 60년대 인기 [[만화가]]이던 [[http://egloos.zum.com/redbaron/v/3131817|박광현]](1928~1978) 화백이 아버지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156547#home|#]] 작품 상당수의 경우는 원고가 낡다보니, 그냥 없애서 못 보는 것들도 많다. 다만, [[박원숙의 같이 삽시다]]에 게스트로 출연한 [[허영만]]이 만화계의 대선배였으며, 젊은 시절 박광현의 문하에서 사사한 적도 있다고 언급한 것을 보면, 한국 만화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것은 확실해 보인다. 실제로 박광현 화백 사후 박원숙의 어머니가 아버지의 유품을 전부 태워버린 탓에 가지고 있는 유품이 없어 아쉬워했는데, 허영만이 가져와서 보여준 박 화백의 작품들은 무려 70년 전에 붓으로 그린 삽화체 형식의 만화임에도 놀라운 퀄리티를 보였다. 안타까운 것은 두 번의 [[결혼]] 모두 전 남편들의 사업 실패로 결국 [[이혼]]으로 끝났다는 것인데, 이 당시 막대한 빚을 진 남편들 덕분에 채권자들이 방송국까지 와서 돈 갚으라고 난리를 부려 마음고생이 심했다. 거기에 하나 있던 아들은 2003년에 교통사고로 떠나보내야 했다.[* 사이드브레이크가 제대로 채워지지 않은 화물차에 치여 숨졌다.][* 참고로 이런 사고를 피하려면 최대한 인도 안쪽으로 걷는 것이 좋다. 특히 이런 사고에서는 위치가 사람의 생명을 바꿀 수도 있다.] 힘든 인생사를 연기로 극복해서 살아가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 후 며느리가 재혼하면서 세상에 하나 뿐인 손녀와도 연이 끊겼다고 한다. 주변인들이 언젠가 손녀가 다시 연락을 할지도 모른다 하면서 전화번호도 바꾸지 않고 있다고 말할 정도로, 아들과 손녀에 대한 진한 그리움을 나타내는 모습을 방송에서 보였다. 이런 가정사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지 경남 남해군에 집을 짓고 텃밭을 가꾸며 생활한다. 은퇴는 아니지만 방송 스케줄을 제외하면 남해에서 거주한다. [[박소담]]의 6촌 친척이다. 정확히는 재종조고[* 再從祖姑, 할아버지의 사촌 누이인 방계 인족(姻族)의 할머니다.]다. 그 이유는 사촌오빠가 박소담의 할아버지이기 때문이다. 2021년 7월 아우라의 인터뷰를 통해 현재는 대학 졸업예정자인 손녀와 왕래하고 있다고 한다. 할머니의 직업이 배우인 줄 모르던 손녀가, 함께 밖에 나가면 사람들이 인사를 해서 의아해했다고. 어찌하였든 아들을 잃고 20년 가까이 연락이 끊겼던 손녀와 다시 연락이 닿은 것은 개인사로 행복한 일이라 하겠다. [[https://www.smlounge.co.kr/woman/article/48465|아우라 기사]] == 논란 == === [[채무불이행]] 논란 === 2018년 12월 6일 탤런트 박원숙씨에게 거액의 돈을 빌려주고도 변제받지 못했다는 60대 여성이 채무 상환을 요구하는 과정에서 여러 차례 명예를 훼손당했다며 박원숙을 검찰에 고소했다.[[https://news.nate.com/view/20181206n27977|#]] 박원숙은 [[빚투 운동|빚투]] 논란이 일자 "(전남편이) 사업을 그 사람하고 같이 했나보다"라며 "내가 돈 꾼 것도 아니고 자기들끼리 사업하고 나 몰래 도장도 전부 다 찍어주고"라며 억울한 심경을 전했다. 또 고소인 A씨의 근저당 문서 자체를 처음 본다는 박원숙은 “사실 법적으로 시효도 다 지났다고 하더라. 시효가 지나고 어쩌고 간에 말이 안 되는데 계속 이렇게 하니까 변호사 선임해서 해야 되겠다”고 법정 대응을 시사했다.[[https://www.news1.kr/articles/?3495604|#]] 이후 별다른 말이 없는 걸 보면 박원숙 측에 유리한 방향으로 사건 처리가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 출연 작품 == === 드라마/시트콤 === * [[구필수는 없다]](2022, ENA) - 천만금 * [[마인(드라마)|마인]](2021, tvN) - 양순혜 * [[황후의 품격]](2018, SBS) - [[태황태후 조씨]](조태자) * [[디어 마이 프렌즈]](2016, tvN) - 이영원 * [[내 딸, 금사월]](2015, MBC) - [[소국자]] * [[떴다! 패밀리]](2015, SBS) - 정끝순(오드리 정) * [[운명처럼 널 사랑해]](2014, [[MBC]]) - 왕 회장 * [[트라이앵글(드라마)|트라이앵글]](2014, [[MBC]]) - 장동수 친모 * [[황금무지개]](2013~2014, [[MBC]]) - [[강정심]] * '''[[백년의 유산]]'''(2013, [[MBC]]) - '''[[방영자]]''' * [[빛과 그림자]](2011~2012, [[MBC]]) - 박경자 * [[총각네 야채가게(드라마)|총각네 야채가게]](2012, [[채널A]]) - 황수자 * [[포세이돈(드라마)|포세이돈]](2011, KBS2) - 엄희숙 * [[지고는 못살아]](2011, MBC) - 유정난 * [[최고의 사랑]](2011, MBC) - 필주 모 * [[웃어요 엄마]](2011, SBS) - 박순자 * [[세자매(SBS)|세자매]](2010, SBS) - 장순애 * [[유리의 성(2008)|유리의 성]](2008~2009, SBS) - 윤인경 * [[대한민국 변호사]](2008, MBC) - 고경희 * [[커피프린스 1호점]](2007, MBC) - 김지향 * '''[[겨울새(2007년 드라마)|겨울새]]'''(2007, MBC) - 강 여사 * [[사랑하는 사람아(드라마)|사랑하는 사람아]] (2007, SBS) * [[기적(드라마)|기적]](2006, MBC) - 이미소 * [[사랑은 아무도 못말려]](2006,MBC) - 장연숙 * [[유행가가 되리]](2005, KBS2) - 박진영 * [[어여쁜 당신]](2005, KBS1) - 조옥진 * [[형수님은 열아홉]](2004, SBS) - 임청옥 * [[폭풍 속으로(SBS)|폭풍 속으로]](2004, SBS) - 강인주 * [[흥부네 박 터졌네]] (2003, SBS) - 오점순 * [[진주 목걸이]](2003, KBS) - 노순복 * [[당신 옆이 좋아]](2002, KBS) - 윤희숙 * [[로망스(드라마)|로망스]](2002, MBC) - 윤미희 * [[우리집(2001년 드라마)|우리집]] (2001 ~ 2002, MBC) * [[화려한 시절]] (2001, SBS) - 어머니 * [[그 여자네 집(드라마)|그 여자네 집]](2001, MBC) - 김동숙 * [[우리가 남인가요]] (2001,KBS1) - 김정숙 * [[그래도 사랑해]] (2001, SBS) - 김 여사 * [[루키(드라마)|루키]] (2000, SBS) - 윤사연 * [[이브의 모든 것(드라마)|이브의 모든 것]] (2000, MBC) - 송 여사 * [[바보같은 사랑]] (2000, KBS2) - 김미숙 * [[LA 아리랑]] (1999, SBS) - 카사라 박 * [[사랑해 당신을]] (1999, MBC) - 장옥희 * [[토마토(드라마)|토마토]](1999, SBS) - 성영숙 * [[장미와 콩나물]](1999, MBC) - 은수 모 * [[보고 또 보고]](1998~1999, MBC) - 마송자 * [[미우나 고우나(SBS)|미우나 고우나]](1998, SBS) * [[수줍은 연인]](1998, MBC) - 박진애 * [[화이트 크리스마스(SBS)|화이트 크리스마스]](1997~1998) - 재희 모 * [[그대 그리고 나]](1997, MBC) - 홍여사 * [[별은 내 가슴에]](1997, MBC) - 송 여사 * [[여자는 어디에 머무는가]](1997, KBS2) * 삼층집 사람들(1996~1997, HBS) * [[스타트]] (1996~1997, KBS2) - 박신자 * [[사랑의 이름으로(드라마)|사랑의 이름으로]](1996, SBS) * [[아파트(드라마)|아파트]](1995, MBC) - 순정 * [[간 큰 남자]](1995, KBS2) * [[서울 야상곡]](1995, SBS) - 민마담 * [[까치네(드라마)|까치네]](1994, SBS) - 고모 * [[이 여자가 사는 법]](1994, SBS) - 안우숙 * [[오경장]](1993, SBS) * [[테마 시리즈]](1993, SBS) * [[일월(드라마)|일월]](1993, KBS) * [[목소리를 낮춰요]](1991, SBS) * [[여자 마흔 다섯]](1991, SBS) * [[여자는 무엇으로 사는가]](1990, MBC) - 고모 * [[조명하(드라마)|조명하]](1989, [[한국방송공사|KBS1]]) * [[토지(1987년 드라마)|토지]](1987, [[한국방송공사|KBS1]]) - 임이네 * [[한지붕 세가족]](1986, MBC) * [[남자의 계절]](1985~1986, MBC) - 김진숙 * [[조선왕조 오백년]]:[[풍란(드라마)|풍란]](1985, MBC) - 경빈 박씨 * [[엄마의 방]](1985, MBC) * [[저 별은 나의 별]](1983, MBC) * [[황진이(MBC)|황진이]](1982~1983, MBC) * [[어제, 그리고 내일]](1982~1983, MBC) * [[친구야 친구]](1982, MBC) * [[사랑합시다]] (1981~1982, MBC) * [[아빠의 수염]] (1981, MBC) * [[안녕하세요(드라마)|안녕하세요]] (1981, MBC) * [[전원일기]](1980, MBC) - 부녀회장 * [[아베의 가족]](1980, MBC) * [[사미인곡]](1976, MBC) === 교양 === * [[박원숙의 같이 삽시다]](2017~18, 2020~ [[KBS]]) === 광고 === * [[글락소스미스클라인]] 폴리덴트 * 예다함(2021~) 현 지상파TV의 광고시장은 사망상조, 암보험, 기부단체의 3대 업종이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박원숙이 출연하는 예다함상조는 낮시간 지상파에서는 동일 채널에서도 매일 수도 없이 보여지며 여러 채널에서 동시에 방영되기도 하는 등 가히 노출 인지도는 한국 연예인 중 탑을 달리고 있다. 노인 인구가 늘어갈 수록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해질 것이다. == 수상 경력 == * 1974년 제1회 [[MBC 연기대상|MBC 탤런트연기상]] 우수연기상 <수선화> * 1988년 KBS 연기대상 여자 최우수연기상 <토지> * 1989년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연기상(with 김혜자) <토지> * [[1998년]] [[MBC 연기대상]] 여자우수상 <그대 그리고 나> * [[1999년]] [[SBS 연기대상]] 여자 우수조연상 <토마토> * [[2005년]] 제12회 대한민국연예예술상 문화관광부장관표창 * [[2007년]] MBC 연기대상 중견배우부문 황금연기상 <겨울새> * [[2013년]] MBC 연기대상 공로상 <백년의 유산> [[분류:한국 여배우]][[분류:한국의 드라마 배우]][[분류:1949년 출생]][[분류:1970년 데뷔]][[분류:DIA TV/소속 크리에이터]][[분류:배우 출신 유튜버]][[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유튜버]][[분류:여호와의 증인 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