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수안군 출신 인물]][[분류:1853년 출생]][[분류:몰년 미상]][[분류:건국훈장 애국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운동가|{{{#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br] {{{#ffffff '''{{{+1 박정빈}}}[br]朴正斌, 朴正彬'''}}}}}} || ||<|2> '''출생''' ||[[1853년]] || ||[[황해도]] [[수안군]] || ||<|2> '''사망''' ||몰년 미상 || ||사망지 미상 || || '''직업''' ||독립운동가 || ||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목차]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201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박정빈은 1853년생이며 황해도 수안군 출신이다. 이명은 박목천(朴木川), 박기석(朴基錫), 박기석(朴基奭), 박기섭(朴箕燮)이다. 그는 1904년 4월 21일 목천군수에 임명되었다가[[http://sjw.history.go.kr/id/SJW-K41040210-00200|#]], 1905년 3월 24일 1904년에 거둬야할 세금을 제때 조정에 납부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면직되었다.[[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42_03A_24A_00070_2006_203_XML|#]] 이후 1907년 8월 대한제국 군대가 강제 해산되자, 그는 박기섭이라는 이름으로 해산군인을 모아 황해도 평산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그는 수하에 중군장 [[우병렬(독립운동가)|우병렬]], 유격장 [[이진룡]]을 두었고, 황해도 해주, 재령, 평산, 백천 일대에서 활동했다. 1907년 12월 [[13도 창의군]]의 서울진공작전에 참여하여 교남의병대장(嶠南義兵大將)이 되었다. 1908년 3월에는 황해도 평산, 동년 5월에는 황해도 동남의 각 군에서 70~80명의 의병을 거느리고 활동하였다. 그리고 1908년 10월경에는 황해도 안악, 곡산 등지에서 활동하다가 [[유인석]]을 따라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하였다.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0년 박정빈에게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