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박정수(야구선수)/선수 경력)] ||<-5>
'''{{{#ffffff 박정수의 연도별 시즌 일람}}}''' || || [[박정수(야구선수)/선수 경력/2022년|2022년]] || ← || {{{#ffffff 2023년}}} || → || || [목차] == 개요 == [[두산 베어스]] 소속 투수 박정수의 2023년 기록을 다루는 문서이다. == 시즌 전 == 호주에서 열린 1군 스프링캠프 참가명단에 포함되었다. == 페넌트레이스 == === 4월 === 4월 14일 [[이형범]]이 부진으로 말소되면서 시즌 처음으로 1군 엔트리에 등록되었다. 당일 경기에서 크게 지고 있는 6회부터 등판해 1자책 4실점[* 다만 자책점은 딱 1점만 허용했고 나머지는 수비 운을 받지 못한 점도 있다.]을 기록하며 좋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어려운 상황 속에서 3이닝을 스스로 책임지면서 패전 처리를 해줬고 불펜 소모를 줄이는 데 기여했다.[* 사실 애초에 점수차가 워낙 큰 상황이었던 관계로 '추가적인 투수 소모를 막기 위해' 박정수에게 남은 이닝을 모두 맡겼다고 보면 된다.] 다만 사사구가 4개나 되었던 점은 흠. 당일날 이닝 소화는 잘 해줬지만 제구 문제 때문인지 하루 만에 1군에서 말소되었다. === 5월 === 5월 4일 [[이형범]]과 함께 1군으로 콜업되었다. 5월 19일 KT전에서 5회말 선발 투수 [[최승용]]이 강판되자 구원 등판했다. 피안타와 몸에 맞는 볼로 [[최승용]]의 승계주자 두 명을 불러들이긴 했지만 이후 안정을 찾으며 2⅔이닝 '''6K''' 무실점을 기록했다. 4월 14일과 마찬가지로 패전 처리로 등판했지만 꽤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며 롱릴리프 투수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5월 25일 삼성전에서 연장 11회초 [[이병헌(2003)|이병헌]]이 볼넷-실책으로 무사 주자 2루를 만든 상황에 구원 등판해 [[김태군]]을 희생번트, [[김영웅(야구선수)|김영웅]]을 삼진, [[김현준(2002)|김현준]]을 좌익수 뜬공으로 처리하며 소방수 역할을 해줬다. 그리고 11회말 [[김재호]]의 끝내기 안타로 팀이 승리하며 '''승리투수'''가 되었다. 5월 26일 SSG전 6회초 [[라울 알칸타라]]가 급격히 난타당하고 강판되자 구원 등판해 2⅓이닝 무실점 2탈삼진으로 호투하며 불펜 소모를 줄이는 데 기여했다. 8회초 안타-볼넷을 내준 후 한계 투구수에 도달해서 [[이형범]]으로 교체되었는데 [[이형범]]이 올라오자마자 사구와 적시타를 허용해서 2자책점이 추가되었다. === 6월 === 6월 2일 수원 kt전 크게 이기고 있는 8회말 등판해 선두 타자 [[강현우(야구선수)|강현우]]에게 솔로 홈런을 맞았으나 이후 세 타자를 깔끔하게 범타처리했다. 3일에는 선발 [[김동주(투수)|김동주]]가 3이닝만에 강판당하자 4회에 등판했으나 4회 3실점, 5회 1실점을 하며 1사 2루 상황에서 [[최지강]]에게 마운드를 넘겨주었다. [[최지강]]이 밀어내기 볼넷으로 박정수의 승계주자를 실점하며 최종 성적은 1⅓이닝 5실점. 7일 잠실 한화전에서는 6회 [[백승우(야구선수)|백승우]]의 뒤를 이어 무사 1루 상황에 등판, 무실점으로 6회를 막았으나 7회 김태연에게 적시타를 허용하며 2사 1, 2루 상황에서 마운드를 [[이형범]]에게 넘겨주었다. 이형범이 추가 실점 없이 이닝을 마무리하며 최종 성적은 1⅔이닝 3피안타 1실점. === 7월 === 9일 잠실 키움전 9-2로 앞선 8회에 등판해 안타 2개를 허용했지만 1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냈다. 25일 잠실 롯데전에서 9회초 1사에 [[최승용]]이 강판되면서 올라왔지만 1피안타 허용 후 주자 1, 3루를 만들면서 상황만 악화시켰다. 책임주자는 구원 등판한 [[정철원]]이 단 한 명도 불러들이지 않았다. 26일 잠실 롯데전에서 3점 뒤진 7회초 등판했으나 [[안치홍]]을 볼넷으로, [[전준우]]를 좌전 안타로 출루시키며 불방망이 찜질을 당하기 일보직전까지 몰렸다가 [[한동희]]의 타석에서 번트가 나오자 2루 주자를 3루 송구로 잡아내며 1아웃을 잡았다. 그러나 이후 또 볼넷을 내줘 만루를 만들었고 삼진으로 2아웃을 잡은 후 교체되었다. 볼이 12개, 스트라이크가 5개일 정도로 제구가 되지 않았는데 [[김태형(1967)|김태형]] 해설위원은 지나칠 정도로 유인구에 신경을 쓰다보니 제구가 안 되고 스스로 흔들렸다고 평했다. 책임 주자는 [[최승용]]이 [[이유찬]]의 실책으로 인해 두 명을 불러들이면서 최종 등판 기록은 0.2이닝 2자책점. --내년엔 제발 보지 말자-- 27일 잠실 롯데전에서도 7회 이영하가 강판되면서 3연전 모두 개근 등판했다. 전체적으로 수비 지원을 잘 받았고 2.1이닝 1자책점을 기록하면서 일찌감치 터진 경기의 불펜 소모를 줄이는 데 기여했으나, 이 날도 사사구 3개를 내주며 제구에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8회에 좌타자 배터박스 뒤에 있는 백보드 쪽으로 공을 던지는 모습이 수 차례 나오기도 했는데 때문에 입스에 걸린 게 아니냐는 의견이 있다. 28일 경기 전 1군에서 말소되었다. === 8월 === 27일 무려 3명이 말소된 1군 엔트리 한 자리에 등록되었다. === 9월 === 6일 잠실 KIA전 7회에 등판해 1이닝 2K 무실점을 기록했다. 27일 문학에 열린 SSG와의 DH 2차전 7회 1사 2루 상황에 등판해 1.2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 10월 === 2일 잠실 키움전 7점차로 이기고 있는 상황에서 [[브랜든 와델|브랜든]]의 뒤를 이어 7회에 등판하여 3이닝 동안 2점을 내주며 '''데뷔 첫 세이브'''를 달성했다. 긴 이닝을 소화해준 덕분에 필승조는 휴식을 취했다. 11일 사직 롯데전 8회 무사 1, 2루 상황에 등판해 볼넷 3개를 내주며 2실점을 했으나 모두 [[제환유]]의 승계주자였고 본인의 실점은 기록하지 않은채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 관련 문서 == * [[두산 베어스/2023년]] [각주] [[분류:야구선수/커리어]][[분류:두산 베어스/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