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달의 문화인물)]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Park_Chega.jpg|width=100%]]}}} || || '''성명''' ||박제가(朴齊家) || || '''본관''' ||[[밀양 박씨]] || ||<|2> '''출생''' ||[[1750년]]([[영조]] 26) [[11월 5일]] || ||[[조선]] [[한성부]] || ||<|2> '''사망''' ||[[1805년]]([[순조]] 5) [[7월 6일]] (향년 54세) || ||[[조선]] [[한성부]] || || '''국적''' ||[[조선]] || || '''자''' ||재선(在先) [br] 차수(次修) [br] 수기(修其) || || '''호''' ||초정(楚亭)[* 이외에도 정유(貞蕤),위항도인(葦杭道人) 등 다른 호도 사용하였다.] || || '''부모''' ||부친 - 박평(朴坪)[br]모친 - [[덕수 이씨]] || || '''부인''' ||이관상(李觀祥)의 딸 || || '''자녀''' ||'''슬하 4남''' [br]장남 - 박장림[br]차남 - 박장름[br]3남 - 박장암[br]4남 - 박효석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후기의 [[실학자]]. 자는 재선(在先)ㆍ차수(次修), 호는 초정(楚亭)ㆍ위항도인(葦杭道人). [[서울특별시|한양]] 출신이며 본관은 [[밀양 박씨|밀양]]. == 생애 == 1750년 왕실 승지 박평과 이씨 사이에서 [[서자]]로 출생했다. 그러나 박제가는 신분이 서자였던 탓에 승지의 아들이기는 하지만 가족으로 인정받지 못하였다. 그래도 아버지 박평은 박제가를 아끼고 잘 대해주었으며 박제가에게 글재주가 있음을 알자 아들이 글을 배우도록 도와주었다. 1761년 집안이 풍비박산 날 뻔한 적이 있었다. 당시 [[조선]]의 국법은 [[서울특별시|한양]] 도성 내에서 집을 사고 파는 것으로 위장한 채 함부로 일반 백성들의 집을 빼앗는 행위를 금하였는데 이를 '탈입(奪入) 금령'이라고 한다. 그런데 [[영조]]가 법을 제대로 시행하는지 점검하고자 불시에 위반자 목록을 보고하라고 했는데 이 과정에서 박제가의 아버지랑 어머니인 이씨가 걸려든 것. 박제가의 어머니가 소유한 집을 아버지가 다른 사람의 집을 빼앗아서 주었기 때문이다. 대부분 신하들은 "박제가의 아버지가 이미 사망했고 이씨가 미망인이자 첩인 점을 감안해서 정상 참작하자"고 했지만 영조는 "일일이 사정을 봐줘서는 끝도 없다"는 다른 신하의 주장을 인용해서 "원칙대로 처벌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시 조선에서 금령 위반자에 대한 처벌은 벽지 유배형이었지만 이씨는 여자라서 유배형에 처할 수 없었고 아들 박제가 또한 당시에는 11세 미성년자였는지라 대신 집안 노비 중 1명을 [[함흥시|덕원]]으로 유배를 보내라고 결정을 내렸다. 그러나 어머니 이씨는 이 사건 이후 집안을 나와야 했으며 이후 허드렛일을 해서 생계를 꾸려야했기에 박제가는 가난하게 살아가야 했다. 청교, 필애, 묵동을 돌아다니며 이사를 다녔는데 그래도 어머니는 아들을 아끼며 가난한 살림에도 박제가가 공부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특히 글재주 뛰어난 명사가 있다면 직접 찾아가서 아들에게 가르쳐달라고 부탁하며 그들에게 술과 안주를 푸짐하게 차려주기도 했다. 1766년 박제가는 17세 나이로 스승 이관상(李觀祥)의 첩이 낳은 둘째 [[서녀]]와 결혼했다. 장인어른이자 스승인 이관상은 박제가를 아껴 박제가 부부에게 생활비를 대주고 집에 거주하게 하며 박제가에게 글을 가르쳐주는 배려를 해주었다. 박제가는 아내와 사이에서 아들 4명을 두었다. 그 와중에도 일찍이 서화(書畵)의 재주가 뛰어난 영향 탓에 신동으로 평가받았으며 1768년 스승인 연암 [[박지원(실학자)|박지원]]을 만나 제자가 되었고 이덕무, 유득공 등 [[북학파]] 연구자들의 영향을 받아 본격적인 북학파 연구에 관심을 두었다. 1769년 박제가는 박지원을 만나 그와 친분을 가지게 되어 스승으로 섬기면서 박지원에게 많은 지식을 배웠으며 이외에 [[이덕무]], [[홍대용]], [[유득공]]과도 절친한 친구가 되었다. 1773년 박제가가 24세가 되었을 때 그 해 겨울에 어머니 이씨가 고작 48세 나이로 세상을 떠나는 슬픔을 겪었다.[* 이씨가 사망한 원인은 과로사였다. 이씨는 아들의 공부를 할 비용을 댄다고 잠을 줄여가면서까지 새벽에도 일할 정도로 과로를 했다. 그래서 과로로 인해 몸이 허약해졌는데 그 와중에도 일을 손에 놓지 않다가 결국 쓰러져 죽었다.] 어머니와 사이가 각별했던 박제가는 어머니의 죽음을 크게 슬퍼했다. 박제가가 지은 『초정전서(楚亭全書)』, 「서풍수정기후(書風樹亭記後)」에서도 어머니를 그리워하며 슬픔을 말하고 있다. 1779년 [[규장각]] 검서관(檢書官)으로 임명되었으며[* [[류득공]], [[이덕무]], 서이수(徐理修)와 함께 정조가 최초로 임영한 초대 4검서이다. [[영조]] 때부터 서얼 출신도 문과 실시가 가능했고, [[정조(조선)|정조]] 때부터는 [[청요직]]인 규장각 검서관까지 진출을 하였다] [[청나라]]로 가서 청나라 [[왕조]]의 문물 및 유물을 접하여 청나라 [[학자]]들과 교류를 나누었는데 이 때를 기록하여 <[[북학의]](北學議)>를 집필했다. 이 때부터 박제가는 다산 [[정약용]]을 만나서 그와 친구가 되어 교류를 나누었고 "청나라의 문물을 받아들이자"고 주청하기도 하였다. 1791년 [[정조(조선)|정조]]의 원자(훗날 [[순조]]) 탄생을 축하한 청나라의 호의에 보답하고자 [[베이징|연경]]에 건너갔다. 정조 사후인 1801년 연경으로 건너갔다가 귀국하자마자 '흉서 사건(凶書事件)'의 주모자인 윤가기와 사돈 관계를 맺었다는 이유로 파직되어 [[함경도]] [[종성군|종성]]으로 귀양을 갔고 1805년 귀양이 풀렸으나 향년 56세로 사망하였다. == 평가 == 안대회 교수는 <쉽게 읽는 북학의 : 조선의 개혁 개방을 외친 북학 사상의 정수>에서 박제가가 말한 북학의 의의를 5가지로 요약 정리해서 밝혔다. * 중국[* 당시 조선은 중국대륙에 있던 [[청나라]]를 자신들이 계속 무시해오던 북방 오랑캐인 여진족이 세운 나라라는 생각으로 오랑캐 나라라고 생각했고, 사대부들은 진정한 중국인 [[명나라]]를 잇는 정통 나라는 바로 자기들이라는 [[소중화사상]]이 팽배해있었다.]이 오랑캐라는 미망에서 깨어나 그들의 발전된 문화와 기술을 배워서 부국강병을 달성. * 문제는 경제와 통상, 부국강병을 이루고 백성을 윤택하게 살기 위해선 외국과의 통상이 촉진 필요. * 불합리한 제도와 풍속의 개혁. * 조선 과거 제도의 부패와 문제점을 지적하며 교육 제도와 인제 선발 제도의 개혁. * 외국의 선진 문물을 빠르게 받아들이기 위한 중국어를 비롯한 외국어 교육의 강조. == 여담 == * 박제가와 함께 백탑에서 살던 이덕무, 유득공 등등 벗과 박지원, [[홍대용]] 같은 스승들의 이야기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한 '책만 보는 바보'라는 책에서 보면 용모가 이국적이었던 듯하다. 책의 묘사에 따르면 튀어나온 광대뼈에 조선인으로서는 보기 드물게 눈동자가 녹색인 탓에 놀림도 많이 받았다고 한다.[* 이 때문에 모계 쪽이 박연, 혹은 하멜과 같은 이들과 연관이 있다는 추측도 존재한다.] 박제가에 대해 기록된 다른 책들의 모습으로 미루어 성격이 온순하기보다는 활달하고 거침없는 편이었던 모양이다. 이 점에서 이덕무와는 기묘하게 성격이 정반대인 듯하면서도 잘 어울려 다녔음이 신기하다. * [[식신]]이었던 모양. 한번에 냉면 3그릇과 만두 100개를 먹어치웠다는 기록도 있다.[* 한 번에 냉면 3그릇과 만두 100개를 먹었다기보다는 한번에 냉면 3그릇과 만두 100개를 먹어치울 것 같은 [[먹보]]였다는 뜻인 듯.] 이덕무가 이서구에게 보낸 글 중에는 박제가 자기만 단 것을 먹고 이덕무 자신에게는 주지도 않으며 다른 사람이 줬던 것까지 훔쳐 먹었으니 꾸짖어 달라고 쓴 글도 있다. 참고로 이덕무 본인도 단 것에는 사족을 못 썼다고 한다. 음식과 관련하여 정약용에게 [[개고기]] 레시피를 알려준 것으로도 유명하다.[* 후일 정약용은 형인 [[정약전]]이 [[흑산도]]에 유배되어 있을 때 고기가 먹고 싶은데 어찌해야 하냐는 [[편지]]를 받았을 때 개고기를 먹으라며 박제가에게 배운 비법을 전수해줬다.] * <북학의> 외편 존주론에서 박제가는 "우리나라(조선)는 명나라를 신하로서 섬긴 지 2백여 년이었다. 임진년에 [[임진왜란|왜란]]이 발생하여 종묘사직이 파천하게 되었다. 그러자 [[명나라]]의 신종 황제([[만력제]])께서 천하의 병력을 동원하여 왜인들을 국경 밖으로 몰아냈다. 우리 동방의 백성이 털끝 하나 황제께서 나라를 다시 세워준 은혜를 입지 않은 자가 없다." 하며 재조지은과 대명사대를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청나라의 지배층인 [[만주족]]은 힘으로 [[중국]]을 차지한 [[오랑캐]]에 불과하지만, 그들이 중국을 강탈한 오랑캐란 점이 아니라 오랑캐가 중국과 중화 문명을 차지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중국의 자녀들은 오랑캐의 지배를 받으면서도 여전히 문물을 이어가므로, 이를 배우고 받들어 명나라를 위해 [[북벌론|원수를 갚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히려 북방 이민족의 기마 전술과 복식을 받아들였던 [[무령왕]]의 예를 들며 복수를 하기 위해서는 오랑캐의 것이라도 부끄러워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의지가 중요하다며 [[북벌]]을 위한 결연한 의지를 강조했다.[* 흥미롭게도 동시기에 살았던 박지원도 자신이 썼다고 여겨지는 허생전에서 허생의 입을 빌려 부국강병을 위해 호복 입기를 부끄러워하지 않던 무령왕을 언급하며 조선 국내의 북벌론을 비판했다.] 조선이 오랑캐가 차지한 중국을 배워야 하는 이유는 북벌과 명나라의 복수를 위해서지, 오늘날 <북학의> 안 읽고 떠드는 실용 때문이 아니었다. 당대 주류 주장은 중국 땅에 중화는 이미 죽어 [[변발]]호복의 오랑캐만 가득하며 참된 중화는 [[소중화|동국에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중국이 비록 오랑캐의 지배를 받지만 속에는 아직 중국(중화)이 명맥을 이어간다고 주장한 박제가의 주장이 제법 튄다. 박제가가 언어, 의복 등 생활 전반에 이르기까지 청나라를 따라하고자 주장한 것도 이것 때문이다. 청나라가 아니라 그 속의 중국(중화) 것을 따라가자고 한 것으로 조선 의복은 오랑캐 [[몽골]]과 비슷한데 청나라의 의복은 옛 중국 풍습에 가까우니 그걸로 바꾸고 조선 도자기는 투박하고 정갈하지 못한데 청나라 도자기는 중국의 기풍이 남아 정연하기 그지없으니 바꾸자고 한 것이다. 조선의 말을 버리고 청나라의 언어를 쓰자고 한 것도 역시 중국의 언어이기 때문이다. [[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조선의 시인]][[분류:조선의 실학자]][[분류:밀양 박씨]][[분류:1750년 출생]][[분류:1805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