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박준오)] [목차] == 1월 == 1월 10일 [[위너스 리그]] [[위메이드 폭스]]와의 경기에서는 1세트에서 나와서 [[이영한]]을 잡는 저력을 보여주었으나, 곧바로 [[김준호(프로게이머)|김준호]]에게 져버렸다. 이틀 후 1월 12일 [[삼성전자 칸]]과의 경기. 한 경기 뒤지는 상황에서 차봉으로 나와 [[주영달]]과 [[허영무]]를 잡았으나, [[송병구]]에게 패배했다. 1월 17일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와의 경기에서 1경기부터 이제동이 선봉으로 나온 [[우정호]]에게 웬일로 잡히는 바람에 서둘러 차봉으로 나와 막아보지만 패배. 중견인 [[김태균(프로게이머)#s-1|김태균]]이 나왔지만 역시 패배. 이대로 올킬패라도 당하나 싶었지만, 대장으로 나온 [[구성훈]]의 분전으로 팀은 다행히 [[올킬(스타크래프트)|올킬]]은 면했다. 그러나 팀은 끝끝내 패배. 1월 22일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하이트]]와의 경기에서 차봉으로 나와 [[장윤철]]과 [[신동원]]을 이기며 4:1로 팀의 승리를 견인했다. == 2월 == 2월 14일 선봉으로 나와 [[김재훈(프로게이머)|김재훈]]을 잡았지만, 차봉으로 나온 [[염보성]]에게 패배. 4라운드 첫날인 2월 20일에는 하이트전에서 [[이제동]]이 진 상황에서 나와 곧바로 [[정우용]]을 잡아버렸다. ~~제동형 왜 이렇게 못 해요?~~ 그리고 '''[[신동원|피디팝 MSL 우승자]]까지 잡아내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2월 23일에는 [[피의 능선(스타크래프트)|피의 능선]]에서 [[MBC GAME HERO]]의 [[염보성]]을 상대로 마치 이제동의 전성기 [[테저전/스타크래프트|테저전]]의 모습을 보여주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 3월 == 3월 2일 [[웅진 스타즈]]와의 경기에서 선봉으로 나와 [[임정현(프로게이머)|임정현]]과 [[박상우(1989)|박상우]]를 나란히 잡으며 2킬에 성공하지만, 중견으로 나온 [[김명운]]에게 패배. 그 뒤 이어 나온 [[구성훈]]이 김명운을 잡는데 성공하지만, 대장으로 나온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에게 말 그대로 쓸려 팀은 패배. 3월 10일에 열린 [[ABC마트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1조 2경기 [[유병준(프로게이머)|유병준]]과의 경기에서, 10해처리에서 나오는 물량의 위용을 자랑하면서 경기를 거의 다 잡았으나, 방심했는지 집중력이 흐트러진 모습을 보이더니 결국 어처구니 없는 경기력을 선보이며 역전패하고 말았다. 당연한 건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커뮤니티는 이런 박준오에게 일제히 조작했다고 신나게 까버렸다. 사실 중간에 유병준의 주병력이 궤멸당했을 때 그냥 그대로 본진으로 입성하면 이기는 구도도 나올 법했지만... 그러지 못했으니... 그리고 패자전에서 [[어윤수]]를 이기고 최종전에서 다시 유병준을 만났으나 또다시 패하여 탈락하였고, 결국 다시 [[PSL#s-1]]을 치러야 하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3월 15일 [[공군 ACE]]와의 경기에서 [[손석희(프로게이머)|백분토스]], [[김경모(프로게이머)|군제동]], [[박영민(1984)|마푸]]를 잡고 3킬을 기록했다. 그러나 [[이성은|군영호]]에게 패배. 그래도 팀은 바로 다음에 차봉으로 나온 [[김태균(프로게이머)#s-1|김태균]] 덕에 4대1 대승. == 4~5월 == 5라운드로 바뀌고 조금 지난 4월 30일, 폭스와의 경기에서 5세트에 출전. 상대는 [[신노열]]. 이 전날인 29일이 데뷔 2주년이었다. 그런 탓인지 2주년 버프+요즘들어 물오른 [[저저전/스타크래프트|저저전]] 기량을 십분 발휘하며 초반 저글링 싸움에서의 이득을 챙겨 드론까지 3기나 잡더니, 뮤탈저글링으로 양방치기를 시도해 손쉽게 신노열을 제압하고 승리. --어깨까지 사용하며-- 엄지손가락을 아래로 내리찍는 세레머니까지 했다. ㅋㅋ. 5월 3일 KT전. 3:0으로 팀이 앞서갈 때 마무리로 나와 [[임정현(프로게이머)|임정현]]을 잡았다. 초반 저글링 싸움에서 계속 이득을 챙기더니 상대보다 더 빠른 투햇 뮤탈로 사정없이 탈탈 털어 GG를 받아내면서, 동시에 KT에게 이번시즌 최초 4:0 셧아웃을 안겨줬다. 5월 9일 웅진 전에서 1경기로 나와 빈틈을 놓치지 않고 신예 김성운을 잡았지만, 팀은 4:2로 패배. 하지만 이날 경기로 동족전 8할대--ㄷㄷㄷ--를 찍었었다. 5월 14일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T]]의 [[이승석]]을 상대로 1세트에 나왔으나, 뮤탈 싸움에서 지면서 패배했다. == 6월 == 6라운드 첫날인 6월 4일,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의 [[이경민(프로게이머)|이경민]]을 상대로 '''희대의 개그경기'''를 보여주면서 패배했다. 저글링 연탄밭을 보여줬지만, 포지앞의 아칸을 보자마자 쿨지지. --[[아칸]]의 패기.-- 6월 6일 위메이드전에서는 [[이영한]]을 이겼지만 팀은 졌다. 6월 17일에 열린 마이 스타리그 오프라인 예선에서 [[변현제]]를 2:0, 김준호를 2:1, [[임태규]]를 2:0으로 이기고 [[온게임넷 스타리그]] 24강 [[듀얼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6월 29일에 열린 스타리그 듀얼에서 [[염보성]], [[강정우(프로게이머)|강정우]]를 연파하고 처음으로 개인리그 16강 진출에 성공하였다. 6월 30일에 열린 [[2011 MSL 시즌 2]] 서바이버 예선에서 김영주를 2:1로 이겼으나 [[정우용|정조작]]에게 0:2로 패하여 탈락하였다. == 7~8월 == 7월 3일에 열린 삼성전자와의 경기에서는 4세트에서 [[유준희]]를 꺾으며 팀의 4대0 대승에 일조하기는 하였지만, 반대편 경기에서 [[SouL|STX]]가 위메이드를 이긴 것 때문에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하고 말았다. 7월 15일에 열린 [[진에어 스타리그]] 16강 C조 신 피의 능선 경기에서 [[전태양]]에게 승리하였다. 공격형 가디언으로 탱크를 정리, 그 이후 디파저글링러커로 밀어붙이고 들어와 깨끗하게 마무리 지었다. 7월 22일에 열린 [[진에어 스타리그]] 16강 C조 패스파인더 경기에서 히드라 몰아치기로 [[허영무]]의 앞마당을 가볍게 뚫어버리고 승리하였다. 7월 27일 [[진에어 스타리그]] 16강 C조 [[라만차]] 경기에서 [[김윤환(1989)|김윤환]]에게 손쉽게 승리했다. 이로써 3승을 거두고 조 1위로 8강 진출. ~~근데 당시 [[정명훈(프로게이머)|다른 8강]] [[이영호|진출자들]]에 비해 문서 분량이... [[투명라인|혹시]]...~~ 8월 12일에 열린 [[진에어 스타리그]] 8강 1세트 [[글라디에이터(스타크래프트)|글라디에이터]] 경기에서 [[어윤수]]에게 승리하였다. 이제 2주 후 한 세트만 더 승리하면 생애 첫 4강은 시간문제. 그런데 8월 26일에 열린 [[진에어 스타리그]] 8강 2세트 라만차 경기에서 PP나 PPP를 입력하지 않고 본인이 직접 포즈를 걸었다가 몰수패를 당하였다.[* 사유는 마우스 감도 문제였는데, 이 경우는 불가능하지 않으면 무조건 PP나 PPP를 치라고 규정에 명시된데다가 [[신상문]] 때와는 달리 충돌 가능성이 있는 규정도 없었다. 결국 얄짤없이 실격패를 당했다.] 이 때문에 정신이 붕괴되었는지 [[어윤수]]에게 3세트까지 내주며 1세트를 잡아 놓고 역전을 허용하며 세트스코어 1:2로 8강에서 탈락했다.[* 추가로 이 경기가 개인리그와 팀 단위 대회 통틀어서 [[화승 오즈]]의 마지막 공식전이 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박준오,version=250)] [각주] [[분류:박준오/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