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전북 현대 모터스/간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박진섭의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전 하나 시티즌/역대 주장)] ---- [include(틀:전북 현대 모터스/역대 부주장)]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박진섭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K리그2|[[파일:K리그2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67ac; font-size: 0.9em" [[틀:2021 K리그2 베스트 11|{{{#ffffff '''2021 K리그2 베스트 11'''}}}]]}}} || [[K리그1|[[파일:K리그1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e3224; font-size: 0.9em" [[틀:2022 K리그1 베스트 11|{{{#ffffff '''2022 K리그1 베스트 11'''}}}]]}}}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80188.png |width=100%]]}}} || ||<-2> '''전북 현대 모터스 No. 4''' [[부주장|{{{#!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800; font-size: .8em" {{{#034f36 '''VC'''}}}}}}]] || ||<-2> '''{{{#034f36 {{{+1 박진섭}}}[br]朴鎭燮 | Park Jin-Seob}}}''' || ||<|2> '''출생''' ||[[1995년]] [[10월 23일]] ([age(1995-10-23)]세) || ||[[전라북도]] [[전주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신체''' ||184cm, 80kg || || '''포지션''' ||[[센터백]], [[수비형 미드필더]] || || '''종교''' ||[[개신교]] || || '''학력''' ||[[전주조촌초등학교]] {{{-2 (2002~2007)}}}[br][[고창중학교(전북)|고창중학교]] {{{-2 (2008, 전학)}}}[br][[전주해성중학교]] {{{-2 (2008~2011)}}}[br][[전주공업고등학교]] {{{-2 (2011~2014)}}}[br][[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2 (2014~2016, 전문학사)}}} || || '''소속 구단''' ||[[대전 한국철도 축구단]] (2017)[br][[안산 그리너스 FC]] (2018~2019)[br]'''[[대전 하나 시티즌]] (2020~2021)'''[br]'''[[전북 현대 모터스]] (2022~ )''' || || '''병역''' ||<-2>[[예술체육요원]][br]{{{-2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축구 부문 {{{#FFD700 '''금메달'''}}})}}}[* 금메달 획득 실패시 2022년 [[김천 상무 FC]]에서도 최종탈락하면서 K4리그에서 뛸뻔하기도 하였으나 결국 금메달 확득에 성공하면서 전북에서 계속 뛸 수 있게 되었다.] || || '''국가대표''' ||1경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2023~ )^^ || || '''링크''' ||[[https://instagram.com/sub_par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국적의 [[전북 현대 모터스]] 소속 [[축구 선수]]. [[수비형 미드필더]]와 [[센터백]]을 둘 다 소화할 수 있는 [[멀티 플레이어]]다. [[한국 내셔널리그|실업 무대]]에서 성인 축구 경력을 시작해 [[K리그2]]를 거쳐 [[K리그1]]까지 입성한 [[대기만성]]형 선수다. == [[/클럽 경력|클럽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진섭(1995)/클럽 경력)] == 국가대표 경력 ==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 ==== [[황선홍호]] ==== [include(틀: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이전까지는 국가대표와는 인연이 없었으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의 [[와일드 카드]]로 발탁 받으면서 처음으로 태극마크를 달고서 대전 시절 은사였던 [[황선홍]] 감독과 재회하게 됐다. 2021년에는 [[K리그2]] 베스트 11을 [[수비형 미드필더]]로, 2022년에는 [[K리그1]] 베스트 11을 [[센터백]]으로 수상할 만큼 중원과 후방을 모두 훌륭하게 소화할 수 있는 강력한 멀티 자원이라는 점이 크다. 함께 와일드 카드로 승선한 전북 동료 [[백승호]]와의 중원에서 호흡 등도 고려해 발탁한 것으로 보인다. 조별 리그 1, 2차전에서 안정감 있는 수비력과 후방에서의 배급 능력을 보여주며 왜 자신이 와일드카드로 뽑혔는지 증명하는 경기력을 보여 줬고[* 이 와중에 2차전에서 코너킥 때 일부러 시간을 끌어 경고를 받으며 카드를 세탁하는 센스도 보여줬다.] 16강과 8강에서도 월등한 경기력을 보여주며 팀의 후방을 단단히 책임졌다. 그리고 결승전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금메달을 차지해 병역 특례를 확보했다. [[와일드카드]] 세 명 중에서 가장 뛰어난 활약을 펼쳤으며 지난 겨울 [[김천 상무 FC|상무]] 탈락으로 인해 시즌 종료 후 [[사회복무요원]]으로 입대해 K4리그에서 뛸 위기 속 찾아 온 마지막 기회를 놓치지 않고 잘 살려내며 해피엔딩으로 마무리했다.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 [[클린스만호]] ==== 얼마 전의 2022 아시안 게임에서 함께 뛰었던 [[홍현석]]이 피로 골절 [[부상]]으로 엔트리에서 낙마하자 대체 자원으로 발탁 받았다.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이 중원과 수비에 활용할 수 있는 [[멀티]] 자원이라 평하며 대체 발탁 사유를 밝혔다.[[https://n.news.naver.com/sports/kfootball/article/436/0000079768| ]] 이로써 박진섭의 안 그래도 극적인 축구 인생은 '''한 층 더 절정을 찍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K3리그 구단에 입단해 2021년 K리그2 베스트 11, 2022년 K리그1 베스트 11 수상과 FA컵 우승에 이어 2023년에는 K4리그에 갈 뻔했으나 와일드카드 발탁으로 병역 특례 획득, A대표팀 승선까지 가히 영화보다 더 영화 같다고 할 만하다. 그리고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중국]]과의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C조|2026 FIFA 월드컵 2차예선]] 2차전에서 후반 종료를 앞두고 [[박용우]]와 교체되며 데뷔전을 가졌다. 국대의 상황도 박진섭에게 있어서는 매우 좋은데 3선 자원이 부족하고 왼쪽 센터백으로 김민재가 뛰고 있어 백업인 김영권이 왼발인지라 같은 왼발 센터백인 김주성보다는 정승현의 백업으로 오른발잡이인 박진섭이 가는 것이 더 좋기 때문이다.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KVqF34an2o)]}}} || 중학교 시절엔 중앙 미드필더로 뛰었고 피지컬은 약했지만 남다른 시야와 축구 지능으로 패스를 뿌려주는게 특기인 선수였다. 저러한 장점으로 인해 중앙 프리롤에서 뛰기도 했으며, 팀에 주장을 맡았었다. 그러나 고등학교 시절 갑자기 키가 크는 바람에 웨이트로 피지컬을 키우는 등의 변화를 겪어야 했고, 포지션도 쉐도우 스트라이커로 뛰었다. 프로 데뷔 후에는 다시 중앙 미드필더로 복귀했다. 전형적인 홀딩 스타일의 수비형 미드필더로 활약했으며, 수비적으로는 상대에게 태클을 걸어 공격을 방해하고 헤딩으로 볼을 따내며 영리하게 상대를 커팅하거나 커버링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공격적으로는 양 사이드로 시원하게 갈라주는 킥과 순도 높은 득점력이 강점. 때에 따라서는 3백과 4백의 센터백까지 볼 수 있으며, 3선에서 시도되는 박진섭의 중거리 슈팅 역시 팀의 주요 득점 루트가 되었다. 대전에서 뛸 때는 페널티 킥 전담 키커로 나설 만큼 정확하고 강력한 킥을 자랑했다. 다만 세부적인 롱패스의 정확도에서 아쉬움이 남아 팀의 빌드업을 책임질 정도는 아니었다. 전체적으로 예전 전북에서 뛰었던 [[신형민]]과 플레이스타일이 비슷했다. 전북 이적 후에는 센터백으로 완전히 자리를 잡았다. 좋은 축구 지능을 바탕으로 라인 컨트롤, 위치선정 등 센터백으로써 능력치가 성장된 모습이고, 오히려 본 포지션인 수비형 미드필더보다 더 잘하고 있다. 포지션 변경으로 자리를 잡았는데도 기어코 22년 베스트 11에 들어버릴 정도. 센터백 박진섭의 강점은 수비형 미드필더 출신답게 빌드업이 안정적이고, 주발이 아닌 왼발로도 정확한 패스를 공급해준다는 것이다. 키가 센터백으로써 엄청 큰 신장은 아니지만, 강력한 몸싸움과 좋은 서전트 능력으로 공중볼 싸움에서도 밀리지 않는다.[* 이를 바탕으로 세트피스 상황에서 헤더골을 종종 성공시킨다.] 여기에 수비력도 미드필더 시절과 다를 게 없이 여전히 좋다. 다만 스피드와 순간적인 민첩성이 조금 떨어지고[* 느리거나 둔한건 아니지만 템포가 빠른 K리그에서는 다소 아쉬운 점.] 아직 센터백으로써 경험이 부족한 만큼 커맨딩 능력이 아쉬워 커맨더의 역할을 맡기기에는 부적합하다. 2023년에 들어 원래 주 포지션이었던 수비형 미드필더와 센터백까지 소화하면서 팀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 기록 == === 출전 기록 === ==== 클럽 ==== === 수상 이력 === ==== 대회 기록 ==== * [[전북 현대 모터스]] (2022~ ) * [[대한축구협회 FA컵]] 우승: 2022 * [[대한축구협회 FA컵]] 준우승: 2023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 [[아시안 게임 축구|아시안 게임]] 금메달: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2022]][*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1년 연기된 2023년 개최.] ==== 개인 수상 ==== * [[K리그2]] 베스트 11: 2021 * [[K리그1]] 베스트 11: 2022 == 여담 == * 팬서비스와 인성이 상당히 훌륭한 선수로 알려져 있다. * 대학생 시절 [[황선홍]] 감독과 기념 사진 촬영을 했다고 하는데 2020년 사제 지간으로 다시 만나게 되었다. * [[장원석]], [[한경인]], [[지경득]], [[유연승]] 등과 함께 대전을 연고지로 하는 두 구단에 모두 소속되었을 뿐더러 처음 입단 테스트에 떨어졌던 대전 하나 시티즌에 다시 입단하게 되는 등 축구 선수로서 대전과 인연이 꽤 깊은 선수다.[[https://www.nocutnews.co.kr/news/5358139|#]] * 2021년 [[전북 현대 모터스]]에 입단할 당시 전북의 전술 코치이자 B팀 감독 이름 역시 [[박진섭]]이었다. * 박진섭의 전북 이적으로 전북은 2022년 기준 구성원에 이름 이니셜이 J.S.Park 인 사람만 [[박지성|총]] [[박진섭|4]][[박진섭(1995)|명]][[박진성(축구선수)|이]] 있게 되었다. [[파일:Screenshot_20220121-203312_Instagram.jpg|width=500]] * 2021 시즌 종료 후 [[대전 하나 시티즌]] 팬 커뮤니티인 9720 측에서 "9720 선정 올해의 선수" 트로피를 사이트 차원에서 제작해 전달했다. 박진섭는 이를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올렸고 [[에펨네이션]]에 대한 감사 인사까지 덧붙였다. * [[전주시|전주]]에서 태어나 전주조촌초, 전주해성중, 전주공고를 나온 전주 토박이로 이전에 전북 현대 경기도 종종 보러 가는 등 전라북도 전주시 로컬보이여서 그런지 전북으로 오면서 팬들의 사랑과 신뢰를 더욱 받고 있다. * [[안산 그리너스]], [[대전 하나 시티즌]]에서 함께 뛰었던 팀 동료 [[이시다 마사토시]]는 박진섭을 매우 높게 평가한 바 있다. 처음 만났을 때부터 '''왜 이런 엄청난 선수가 2부 리그에서 뛰고 있을까'''라는 의문을 가졌다고 한다. 일본에 있는 친구들에게도 '''[[박진섭(1995)|진섭]]이라고 엄청난 선수가 있다'''고 말했을 정도다. * 별명으로 본인의 [[인스타그램]] 계정명인 "섭박"이 있다. * 원래 [[K리그1/2023년|2023 시즌]] 종료 후 [[공익근무요원|공익]]으로 [[K4리그]]의 [[거제시민축구단]] 입단 예정이었다고 한다. 1995년생으로 [[김천 상무 FC|상무 축구단]] 막차를 노렸으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국대 경력]]이 모자라 탈락했다. 하지만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 와일드카드로 뽑히고, 금메달을 획득하여 군면제를 받게 되었다. * [[주민규]]와 몹시 닮은 꼴이다. 2022년 K리그 대상 시상식에서 함께 사진을 찍었는데 형제라 해도 믿을 정도로 서로 닮았다. * [youtube(8eiGQdLpPPo)] * [youtube(YGUKFYWtdhM)] == 역대 프로필 사진 == ||<-2> '''국가대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_asiangame_kor_no.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진섭 항저우.jpg|width=100%]]}}} || ||<-2> '''{{{#fff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 == 둘러보기 == [include(틀:전북 현대 모터스)] [include(틀: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include(틀: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분류:1995년 출생]][[분류:전주시 출신 인물]][[분류:전주조촌초등학교 출신]][[분류:전주해성중학교 출신]][[분류:전주공업고등학교 출신]][[분류: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센터백]][[분류:수비형 미드필더]][[분류:골키퍼 출장 기록이 있는 필드 플레이어]][[분류:2017년 데뷔]][[분류:한국철도 축구단/은퇴, 이적]][[분류:안산 그리너스 FC/은퇴, 이적]][[분류:대전 하나 시티즌/은퇴, 이적]][[분류:대전 하나 시티즌/역대 주장]][[분류:전북 현대 모터스/현역]][[분류:전북 현대 모터스/역대 부주장]][[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병역특례자/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