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박진우(야구))] [목차] == 시즌 전 == 지난해 필승조로서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는 점, 팀 필승조가 불안하다는 점이 맞물리면서 일단 불펜으로 시즌을 준비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동욱(야구)|이동욱]] 감독은 언제든지 선발로 들어올 수도 있다며 여지를 남겼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09&aid=0004157018|#]] 시즌 전 연봉 협상에서는 1억 6,000만 원에 계약하면서 구단 역대 최고 인상률인 300%를 기록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박진우(야구), version=122, paragraph=3.3.3)] == [[페넌트레이스]] == === 5월 === 6일 [[삼성 라이온즈]]전에서는 4-2로 앞선 6회에 구원 등판해 삼진 - 뜬공 - 땅볼로 삼자범퇴 처리하며 가볍게 시즌 첫 홀드를 기록했다. 8일 [[LG 트윈스]]전에서는 2-7로 앞선 6회 1사 1, 2루에서 구원 등판했으나 초구에 2타점 2루타를 맞고 말았다. 다행히 실점 후에는 [[분식회계(야구)|뜬공 두 개로 이닝을 끝냈다]]. 10일 경기에서는 3-6으로 앞선 6회 2사 3루에서 투수 땅볼로 이닝을 끝냈고, 7회에는 삼진으로 1아웃을 잡은 후 마운트에서 내려가면서 시즌 두 번째 홀드를 기록했다. 13일 [[kt wiz]]전에서는 0-1로 앞선 7회 무사 1, 2루에서 구원 등판했다. 첫 타자의 희생번트 이후 땅볼로 동점을 내주긴 했으나 상대의 도루를 저지하며 역전은 허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8회 2사에서 뜬금없이 [[김민혁(1995)|김민혁]]에게 데뷔 첫 홈런을 내주면서 결국 스코어는 역전되었다. 다행히 직후 공격에서 [[권희동]]의 역전 투런 홈런이 터지면서 패전 투수가 되지는 않았다. 15일 [[SK 와이번스]]전에서는 2-1로 앞선 7회 2사 1루에서 구원 등판해 뜬공으로 이닝을 끝냈고, 8회에는 선두타자에게 볼넷을 내준 후 희생번트로 1아웃을 잡고 마운드에서 내려갔다. 다행히 여기서 실점이 나오지 않으면서 세 번째 홀드를 기록했다. 16일 경기에서는 2-1로 앞선 8회 1사 2루에서 구원 등판했다. 첫 타자 [[김성현(1987)|김성현]]에게 몸에 맞는 공을 허용하며 불안감을 증폭시켰지만 [[김강민]]을 삼진으로 처리했고, 자신을 대신해 올라온 [[강윤구(야구선수)|강윤구]]가 마지막 아웃 카운트를 처리하며 네 번째 홀드를 기록했다. 19일 [[두산 베어스]]전에서는 4-0으로 앞선 6회에 등판해 1이닝을 12구 만에 삼자범퇴로 막고 내려갔다. 20일 경기에서는 1-1 동점이던 11회 무사 1루에서 구원 등판했으나 공 하나 던지고 희생번트를 내준 후 고의사구로 볼넷 하나를 더 준 뒤 마운드에서 내려갔다. 자신의 실점은 없었으나 [[박세혁]]의 끝내기 안타에 2루 주자가 홈을 밟으면서 팀은 패배. 24일 [[한화 이글스]]전에서는 4-6으로 앞선 7회 무사 1, 3루 상황에서 구원 등판했다. 첫 타자 [[송광민]]에게 희생플라이를 내준 후 [[이해창(1987)|이해창]]을 삼진으로 잡아내며 2아웃을 만들었으나 [[노시환]]에게 볼넷을 내줬다. 하지만 [[정은원]]을 뜬공으로 잡아내고 다섯 번째 홀드를 기록했다. 총 1이닝 24구 1볼넷 1K 무실점. 26일 [[키움 히어로즈]]전에서는 1-4로 앞선 8회에 구원 등판했으나 볼넷 두 개와 안타 하나로 1사 만루를 자초하더니 [[이지영(야구선수)|이지영]]에게 1타점 적시타를 허용하고 강판되었다. 뒤 이은 [[임정호(야구선수)|임정호]]와 [[원종현]]이 실점없이 아웃 카운트 하나씩을 책임지면서 실점은 1에서 멈췄다. 28일 경기에서는 5-7로 앞선 8회 2사에서 구원 등판해 초구 뜬공으로 이닝을 끝냈다. 스코어가 5-9로 바뀐 9회에도 등판했지만 이번에는 1아웃을 잡는 동안 안타와 2루타를 맞으며 1실점을 했다. 결국 경기를 끝내지 못하고 내려갔지만 [[원종현]]이 실점없이 경기를 끝냈고, 박진우는 6번째 홀드를 기록했다. 31일 [[삼성 라이온즈]]전에서는 9-0으로 앞선 7회 [[장현식]]이 1아웃도 잡지 못하고 2실점을 하자 무사 1, 3루에서 구원 등판했다. 박진우는 첫 타자에게 희생플라이를 허용하긴 했지만 병살타로 이닝을 끝냈다. 8회에는 내야 안타와 [[김찬형]]의 실책으로 2사 1, 2루가 된 상황에서 1타점 적시타를 맞으며 1실점을 했다. 총 2이닝 26구 2피안타 1실점 0자책. 5월 기록은 13경기 6홀드 11이닝 8피안타 1피홈런 6사사구 5K ERA 2.45. 지난 시즌에 비해 사사구 허용이 잦아지면서 그 때의 퍼포먼스를 보여주지는 못했으나 필승조로서는 나쁘지 않은 활약을 펼쳤다. === 6월 === 3일 [[SK 와이번스]]전에서는 선발 [[최성영]]이 3.2이닝 4실점을 하고 강판되면서 4-5로 앞선 4회 2사 1루에서 곧바로 구원 등판했다. 최성영과는 달리 쉽게 아웃 카운트를 만들어내면서 6회까지 빠르게 이닝을 정리했다. 하지만 7회 들어 투구수가 늘어난 탓인지 힘이 떨어지기 시작했고, 1사 이후 [[최정]]에게 안타, [[제이미 로맥]]에게 2루타를 내주고 마운드에서 내려갔다. 다행히 1사 2, 3루에서 [[임정호(야구선수)|임정호]]가 실점하지 않고 이닝을 끝내면서 총 2.2이닝 37구 3피안타 2K 무실점. 팀이 리드를 잃지 않고 6-8로 승리하면서 시즌 첫 승리투수가 되었다. 9일 [[두산 베어스]]전에서는 6-10으로 앞선 6회에 구원 등판했다. 6구 만에 삼진과 땅볼로 2아웃을 잡아내면서 간단하게 이닝을 끝내는 듯 했지만 이번 시즌 안타가 없는 [[권민석(야구선수)|권민석]]에게 갑자기 볼넷을 내주더니 [[박건우(1990)|박건우]]에게 1타점 2루타를 맞고 강판되었다. 2사 2루를 넘겨받은 [[임정호(야구선수)|임정호]]가 책임 주자까지 실점하면서 0.2이닝 1피안타 1볼넷 2실점을 기록했다. 11일 경기에서는 2-7로 앞선 7회에 구원 등판했으나 이번에는 1아웃조차 없이 안타 두 개만 얻어맞고 강판되었다. 이번에도 [[임정호(야구선수)|임정호]]의 호투로 실점은 없었으나 두 경기 연속 실망스러운 투구를 보여주었다. 13일 [[키움 히어로즈]]전에서는 14-4로 뒤진 9회, 소위 가비지 이닝에 등판했으나 마치 배팅볼 기계처럼 얻어맞으며 1이닝 동안 6피안타 4실점을 하고 말았다. 6월 들어서는 속절없이 무너지는 중. 17일 [[KIA 타이거즈]]전에서는 6-7로 뒤진 8회에 등판해 뜬공 3개로 삼자범퇴 처리했다. 20일 [[한화 이글스]]전에서는 4-3으로 뒤진 9회에 등판해 삼자범퇴로 막아넀다. 21일 경기에서는 1-6으로 앞선 7회에 구원 등판했으나 1사 이후 안타 하나를 맞고 바로 마운드에서 내려갔다. 이후 [[임정호(야구선수)|임정호]]가 자신의 책임 주자를 실점하면서 1실점을 기록했다. 25일 [[kt wiz]]와의 더블헤더 2차전에서는 1-5로 뒤진 6회에 등판해 단 6구로 삼자범퇴를 만들어냈다. 26일 [[두산 베어스]]전에서는 9-3으로 앞선 9회에 등판해 삼자범퇴로 경기를 끝냈다. 30일 [[롯데 자이언츠]]전에서는 3-4로 앞선 7회 무사 1루에서 구원 등판했으나 바로 안타를 맞으며 무사 1, 3루가 되었고, 내야 뜬공으로 1아웃을 잡고 마운드에서 내려갔다. 하지만 직후 [[배재환]]이 쓰리런 홈런을 맞으면서 자책점 하나만 얻었다. === 7월 === 2일 [[롯데 자이언츠]]전에서는 6-5로 뒤진 6회 2사 2루에서 구원 등판해 땅볼로 이닝을 끝냈다. 6-7로 역전에 성공한 7회에는 몸에 맞는 공 하나를 내줬지만 병살타로 실점을 막았다. 하지만 6-9로 앞선 8회에는 1사 이후 안타 - 볼넷 - 볼넷을 허용하면서 결국 마운드에서 내려갔다. 다행히 [[원종현]]이 1실점으로 이닝을 끝낸 후 팀이 7-9로 승리하면서 두 번째 승리 투수가 되었다. 총 1.2이닝 33구 1피안타 2볼넷 1실점. 4일 [[KIA 타이거즈]]전에서는 1-8로 앞선 7회에 구원 등판해 1이닝 2피안타 무실점을 기록했다. 11일 [[LG 트윈스]]전에서는 6-6 동점이던 12회말에 올라와 삼자범퇴로 막아내면서 경기를 무승부로 끝냈다. 21일 [[삼성 라이온즈]]전 4회초 3대 3 상황에서 최성영이 1사 2,3루 위기에 몰리자 구원등판했고, 첫 타자 박승규를 삼진, 강민호를 범타 처리하며 승계 주자 실점없이 마무리했다. 이후 5회에도 올라와 삼자범퇴로 처리하고 마운드를 내려왔다. 총 1.2이닝 25구 1K 무실점. === 8월 === 5일 한화를 상대로 6회말 강윤구의 뒤를 이어 세 번째 투수로 올라왔으나 강윤구와 함께 경기를 터트렸다. 무사 1-2루에서 올라와 번트 수비 상황에서 3루로 던지려다 악송구를 저질렀고 이후 폭투와 희생플라이로 동점을 내주고 거기에 몸에 맞는 공을 연속적으로 내주고 반즈에게 1타점 2루타를 맞으며 역전을 헌납했다.이후 후속투수 송명기가 책임주자까지 다 불러들였다. 기록은 0.1이닝 4실점 3자책. 이 날 패전투수가 됐다. 이 후 8월 6일 1군에서 말소되어 퓨처스에서 3경기 등판해 ERA 0를 기록하며 호투를 이어가 21일 다시 1군에 복귀했다. 8월 21일 [[KIA 타이거즈]] 전에서는 무실점 호투를 펼치며 아웃카운트 두개만 잡고 내려갔고, 23일 [[kt wiz]] 전에서는 2이닝 4피안타(1홈런) 3자책점으로 기복을 겪었다. 그러던 중 갑자기 8월 26일 1군에서 말소되었다. 딱히 내려갈 이유가 없었는데도 말소되어 팬들은 부상을 걱정했지만... === 9월 === 퓨처스 9월 3일 [[kt wiz]] 전에서 뜬금없이 '''선발투수로 등판했다!''' 아마도 [[이재학]]의 부진이 답이 없을 정도로 길어지면서 팀 3,4,5선발이 모두 공백인 비상상황이라 급하게 전환된 듯 하다. 이날 4이닝 58구(43S) 4피안타 1사사구 3K 무실점으로 좋은 투구를 펼쳤다. 9월 20일 롯데와의 DH 1차전의 선발투수로 낙점되었다. ~~이재학보단 잘 던지겠지~~ === 10월 === == 시즌 후 == == 총평 == [[분류:야구선수/커리어]][[분류:NC 다이노스/2020년]][[분류:박진우(야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