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계양구의 법정동)] ||<-2> '''[[계양구|{{{#000000,#dddddd 계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박촌동}}}'''[br]朴村洞 | Bakcho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계양구 박촌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계양구 || || '''행정표준코드''' || 2824510900 || || '''관할 행정동''' || 계양1동 || || '''면적''' || 1.51㎢ || [목차][clearfix] == 개요 ==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있는 [[법정동]]. 행정동상으로는 [[계양동(계양구)|계양1동]]에 속한다. 동쪽으로는 [[동양동]]과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부천시)|대장동]]을, 서쪽으로는 [[방축동(인천)|방축동]]을, 남쪽으로는 [[병방동]]을, 북쪽으로는 [[귤현동]]을 접한다. == 지명 유래 == [[박(성씨)|박씨(朴氏)]] 집성촌으로 조선조 중기까지 300호 이상의 [[박(성씨)|박씨]]가 모여산 부평 제1의 집성촌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 역사 == * 조선시대에 부평부 동면에 속하였던 지역이다. *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박촌리로 개칭하고, 동면·당산면·황어면을 통합한 부천군 계양면에 편입되었다. * 1973년 부천군의 폐지로 김포군에 편입되었다. * 1989년 인천직할시 북구에 편입되며 박촌동으로 개칭하였다. * 1995년 신설된 계양구에 편입되었다. == 주요 시설 == === 교육 === * 인천소양초등학교 * 인천예일중학교 * [[인천예일고등학교]] === 아파트 === ||<-2> '''시공사''' ||<-4> '''단지명''' ||<-2> '''입주''' ||<-2> '''세대수''' || ||<-2> [[풍림산업|[[파일:풍림산업 로고.svg|height=20]]]] ||<-4> 박촌 [[풍림아이원]] ||<-2><|2> 2005년 11월 ||<-2> 207세대 || ||<-2> [[한화건설|[[파일:한화건설 로고.svg|height=20]]]] ||<-4> 박촌 한화[[꿈에그린]] ||<-2> 670세대 || ||<-2> [[남광토건|[[파일:남광토건 CI.svg|height=20]]]] ||<-4> 계양 [[하우스토리]] 1차 ||<-2> 2009년 11월 ||<-2> 257세대 || ||<-2> [[남양건설|[[파일:남양건설 로고.svg|height=20]]]] ||<-4> 박촌 휴먼시아 1단지 ||<-2> 2009년 12월 ||<-2> 230세대 || ||<-2> [[남광토건|[[파일:남광토건 CI.svg|height=20]]]] ||<-4> 계양 하우스토리 2차 ||<-2> 2010년 4월 ||<-2> 182세대 || ||<-2> [[한양(기업)|[[파일:한양구로고.jpg|height=20]]]] ||<-4> 계양 [[한양수자인]] ||<-2> 2011년 12월 ||<-2> 376세대 || == 교통 == ||<-2> 지하철역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white 인천 지하철 1호선}}}]] || [[박촌역]] || ||<-2> 운행 버스 || || [[간선급행버스|{{{#white 급행버스}}}]] || [[인천 버스 급행97|급행97]] || || [[간선버스|{{{#FFFFFF 간선버스}}}]] || [[인천 버스 30|30]]ㆍ[[인천 버스 66|66]]ㆍ[[인천 버스 76|76]]ㆍ[[인천 버스 87|87]]ㆍ[[인천 버스 300|300]] || || [[지선버스|{{{#white 지선버스}}}]] || [[인천 버스 583|583]]ㆍ[[인천 버스 584|584]] || || [[시내버스|{{{#white 일반시내버스}}}]] || [[김포 버스 81|81]]ㆍ[[김포 버스 81-1|81-1]]ㆍ[[김포 버스 841|841]] || == 기타 == 은근히 계양구 내에서 도시화가 예전부터 된 남부와 비교적 최근에 도시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아직도 농촌이 많이 남아있는 북부 지역을 가르는 기준이 되기도 하는데, 일례로 1999년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초기 개통 때는 [[박촌역]]이 종착역이기도 했으며, [[귤현차량사업소]] 인입선 때문에 지금도 박촌 종착 입고열차가 꽤 많이 남아있다. 또한 1992년 이전에는 인천시내버스의 계양구 최북단 종점으로 운행하였는데, 1992년 인천인혜학교가 개교하기 전에는 그 이북 지역은 인항여객 시외버스만 운행하였고, 인천시내버스는 박촌까지 운행하였다.[* 해당 노선은 26, 30, 32, 32-1, 45, 101번 등이 있으나, 65번이 오류동을 거쳐 검단까지 연장된 후 65번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이 박촌동에 시종착을 하였다. 다만 IMF 시대로 들어서게 된 1998년에는 65번이 박촌동으로 단축하였으며 그 이북 지역은 태건여객 71번 마을버스와 선진버스 80번 직행버스(강화에서 출발하여 김포, 부평 경유 안산행)와 81번 좌석버스 등이 이를 대신하여 다녔다.][* 박촌동 버스 종점은 이미 재개발하여 현재는 [[빌라]]가 들어서 있는 상태이다. 다만 이 곳을 주박하여 있던 버스 노선은 오류동으로 이동하였다가, 30번은 매립지까지 연장되었고 나머지 노선들(32, 39번)은 단축 또는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계산동 이북 계양구 지역은 부천군에서 김포군으로 편입된 이후 김포군 계양면으로 존속하다 1989년에서야 인천직할시(현 [[인천광역시]]) 북구(현 [[부평구]], [[계양구]])로 편입되었기 때문이다. 즉 박촌동 지역은 89년까지는 김포 땅이었기 때문에 오히려 인천 시내버스가 시외 지역까지 운행했던 것. 다르게 말하면 89년 인천 편입 이후에도 인혜학교 개교까지 3년이나 시외버스로 때운 것이다.] [[분류:계양구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