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5 쪼이}}}[br]Joy'''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J_Joy_PWS1.png|width=100%]]}}} || || '''본명''' ||박혜민 || || '''출생''' ||[[1994년]] [[12월 17일]] ([age(1994-12-17)]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별명''' ||'''쿼카'''[* 쿼카와 상당히 닮았다. 일부 비제이들은 조이를 부를 때 쿼카라 부른다] || || '''신체''' ||167cm[* 본인이 방송에서 170cm가 넘는다고 주장하나 실제로는 킴성태, 블랙워크보다 약간 작다.], 69kg || || '''학력''' ||[[전남과학대학교]] {{{-2 (e스포츠학과 / 중퇴)}}} || || '''닉네임''' ||'''Joy''', '''조이''', '''쪼이[* 아프리카TV 비제이 중 닉네임이 겹쳐 BJ쪼이로 활동한다고 한다]''' || || '''경력 상금''' ||$20,257.10 USD[* [[https://www.esportsearnings.com/players/37874-joy-park-hae-min]] 경력 상금.] || || '''직업''' ||[[BJ]] || || '''소속''' ||[[ROCCAT ARMOR]][br](2018.09.18 ~ 2018.12.28) '''[[OGN ENTUS ACE]][br](2018.12.28 ~ 2019.12.13)''' [[DeToNator PUBG KOREA|DeToNator]][br](2019.12.13 ~ 2020.03.22) [[BoyeoJulgae]][br](2020.08.16 ~ 2021.06) || ||<-2><#fff,#191919> [[http://bj.afreecatv.com/joyjo2|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8IHdReFH6uWcJJEh23lnN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2>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리그 오브 레전드]], 前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이자 아프리카TV BJ(방송인), 유튜버. 아프리카TV 닉네임은 '''BJ쪼이(조이)'''이며 배틀그라운드를 주로 플레이한다. BJ로 활동하기 이전 20대 초중반까지는 '''[[CTU(프로게임단)]], [[Team Alienware]] , [[Team Yetti/리그 오브 레전드|Team Yetti]]''' 등에서 리그오브레전드의 프로게이머로 활동했으며, 배틀그라운드가 출시된 이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를 그만두고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의 길을 걷게 되었다.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로서 '''샌드박스, [[ATA LAVEGA|ROCCAT ARMOR]], [[OGN ENTUS ACE]], [[DeToNator PUBG KOREA|DeToNator]]''' 에서 활동하다 Detonator가 해체된 이후 2020년도 4월 BJ(방송인)으로 데뷔하였다. == 프로게이머 시절 == === 배틀그라운드 === 대만 LMS 시즌 종료 후 한국에서 휴식기를 취하는 동안 배틀그라운드에 푹 빠졌다고 한다. 이후 리그오브레전드 선수생활을 정리하고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로 도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마침내 샌드박스에 입단하게 된다. 샌드박스 해체 이후 '''[[ATA LAVEGA|ROCCAT ARMOR]]'''에서 러브콜을 받아 이적하게 된다. ROCCAT ARMOR에서도 정상급의 플레이수준을 보여주었는데, 그 중에서도 '''[[OP GAMING Rangers]]'''와 교전 중 4:1 세이브 상황은 당시에 상당한 화제를 몰고왔다. 조이가 아프리카 TV 생방송에서 밝힌 바로는 ROCCAT ARMOR에서 보여준 퍼포먼스를 바탕으로 '''[[OGN ENTUS ACE]]'''에 러브콜을 받고 입단하게 되었다고 한다. '''[[OGN ENTUS ACE]]'''에서 PKL phase1에서는 아쉬운 순위로 마감하였지만 '''PKL phase2에서 6위''', '''PKL phase3에서 10'''위[* 24팀 체제]를 기록하는 등 준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또한 PKL phase3 이후 진행된 '''[[PUBG Global Championship/선발전|2019 PGC 한국대표 선발전]]'''에서 마지막 5라운드에서 기적과 같은 치킨을 흭득하며 최종순위 1위를 기록하고 '''[[PUBG Global Championship]]'''의 마지막 티켓을 거머쥐게 되었다. 총 32개 팀이 참여한 '''2019 PGC에서 Group Stage: 그룹 1'''에 배정받아 '''조 1위'''를 기록하며 Semi Final에 진출하였다. 준결승에서도 24팀중 11위를 기록하며 각각 8위, 10위를 기록한 GEN.G와 형제팀 [[OGN ENTUS FORCE]]와 함께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예선과 준결승에서 보여준 좋은 모습을 바탕으로 '''FIANL 1일차'''에서 젠지와 4AM에 이은 '''3위'''를 기록하였으나 아쉽게도 2일차에서 부진하며 최종 10위로 대회를 마무리하였다. ==== [[OGN ENTUS ACE]] ==== [[파일:조이11.png]] '''[[OGN ENTUS ACE]]'''소속으로 '''2019 PKL phase1~3'''에 출전하였다. OGN ENTUS ACE는 '''조이'''와 '''미키'''를 주축으로 '''Raeng''' 선수와 '''[[방지민|Alphaca]]''' 선수를 영입한 PKL 페이즈2 부터 준수한 성적을 기록한다. '''Alphaca가 메인오더'''를, '''조이가 서브오더'''를 담당하였는데 PCS 대회 전후로 Alphaca의 오더부담을 덜고 전체적인 교전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초반 오더를 Alphaca가, 중후반 오더를 조이가 전담'''하였다고 한다. ==== [[DeToNator PUBG KOREA|DETONATOR]] ==== [[파일:조이2.jpg]] '''[[DeToNator PUBG KOREA|Detonator]]'''소속으로 '''[[인텔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2020]]'''와 2020 '''[[PGS: Berlin Korea Qualifier]]'''에 출전하였다. 이후 Detonator는 2020년 3월 22일, [[https://twitter.com/dtn_kr/status/1241570190938128384|공식 트위터]]를 통해 [[PGS: Berlin Korea Qualifier]]를 마지막으로 활동을 끝낸다고 알렸다. 향후의 배틀그라운드 프로리그 정세를 생각했을 때 결정한 활동 잠정 중단이지만 사실상 한국에서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의 미래가 없다고 판단하고 일본 자국팀에 집중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조이는 Detonator 해체 이후 프로게이머 은퇴를 밝히고 아프리카TV BJ로 전향하였다.''' === [[리그 오브 레전드]] === 리그 오브 레전드 미드라이너 프로게이머 출신으로 '''[[CTU(프로게임단)]], [[Team Alienware]] , [[Team Yetti/리그 오브 레전드|Team Yetti]]''' 등에서 활동하였다. 이후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로 활동해서 그런지 신챔[* 박혜민 기준 2017년 이후 출시된 챔피언]을 다루지 못한다. --닉네임은 조이면서 조이를 할줄 모른다. 닉값을 못하네.-- 미드에서 주로 신드라, 카사딘, 빅토르, 에코, 애니비아, 오리아나 등 정통 메이지 챔프를 선호한다.[* 일명 늙은 챔프폭] * 롤 닉네임 : [[https://www.op.gg/summoner/userName=77oy|77oy]] * 주라인은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width=18]][[미드(리그 오브 레전드)|미드]]이다. || [[파일:league icon.png|height=20]] || '''소환사의 협곡''' || '''라인''' || || '''현재 티어''' || [[파일:lol_platinum_1.png|width=23]]Platinum 3 (S2021)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width=18]],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width=18]] || || '''2020 시즌''' || [[파일:lol_diamond_1.png|width=23]]Diamond 4 (S2020)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width=18]],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width=18]] || || '''최고 티어''' || [[파일:lol_challenger_1.png|width=23]] Challenger 590 (시즌6)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width=18]] || == [[아프리카TV]] BJ쪼이 == === 배틀그라운드 === Detonator가 해체된 이후 2020년도 4월 BJ(방송인)으로 데뷔하였다. 마침 싸패가 ORS 대회의 맴버를 알아보고 있는 '''[[킴성태]]'''에게 조이를 추천해주었는데, 이로써 조이는 아프리카TV BJ로서의 신고식을 배틀그라운드 대통령 [[킴성태]]와 함께 참여하는 ORS 시즌 6를 통해 하게되었다. 방송 초기에는 3인칭 플레이스타일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킴성태와 함께 참여한 ORS 시즌6 첫날 최하위권을 기록하며 킴성태에게 오더를 빼앗기는 굴욕을 맛보았다. 2일차에도 팀 전체적으로 호흡이 맞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며 최하위권의 성적을 기록하였고, 대회가 끝난 직후 스스로 울분을 토해내며 즙방을 하였다. 하지만 점차 피지컬, 오더 측면에서 3인칭에 적응하기 시작하면서 '''나락전 최다킬 여포상'''(10라운드 35킬), '''AKL 3회 우승''' 외에도 많은 스쿼드 대회에서 우승을 휩쓸며 수준 높은 경기력을 선보였다. 처음 방송을 시작했을 시절에는 상당히 절제된 선비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런데 ORS에서 킴성태에게 크게 데인 충격때문인지 점차 흑화되기 시작되어 이제는 예전의 모습을 찾아보기는 어렵다. 일화로 ORS 시즌6 당시 킴성태에게 일방적으로 얻어맞았지만 2020 멸망전 시즌2 에서는 말싸움에서 뒤지지 않는 적벽대전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당시 멸망전 스크림에서 킴성태의 신뢰를 잃어 오더를 빼았길 뻔 했는데 그동한 단련한 말빨을 바탕으로 오더를 지켜냈다. 다행이 이후 진행된 멸망전 스크림과 이프스[* 멸망전 대비 스쿼드 대회(참가팀 모두 멸망전 맴버로 구성)]대회에서 2일 연속 1위를 차지하며 멸망전 우승에 목마른 킴성태와 성빡이들이 기대치를 최대로 끌어올렸다. 멸망전 본선에서 첫날 1위를 차지하는 등 전체 3위로 결승에 진출한다. 이때까지만 하더라도 가장 유력한 우승팀으로 평가받았지만 결승전 미라마에서 진행된 3라운드에서 팀원들을 '''쪼능'''으로 대려가버리는 대참사 사건이 발생한다. --이후 발생한 일화들은 생략한다...-- 배틀그라운드 대회 이회에는 주로 킬내기, 경쟁전, 언노운숫자 킬 빙고, 쪼드백 컨텐츠 등을 진행한다. 쪼드백 컨텐츠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에임, 운영 등을 가르쳐주는 컨텐츠이다. 아프리카TV BJ쪼이 방송국에서 신청할 수 있다. === 現 프로게이머 === 아프리카TV BJ로 활동하는 동시에 배틀그라운드 프로팀 '''[[Kim Pirates]]'''의 '''구단주'''이자 '''선수'''이다. 이하 [[Kim Pirates|Kim-Pirates(KP)]]에 대한 내용은 '''BoyeoJulgae(BJ)'''와 일체하여 서술합니다. BoyeoJulgae와 Kim Pirates의 관계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Kim Pirates]]문서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KP 1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Kim-Pirates|[[파일:Kim-Pirates.png|height=50]]]]||{{{-1 [[Kim-Pirates|{{{#961D2D '''Kim-Pirates'''}}}]]}}} {{{+1 [[틀:Kim-Pirates|{{{#961D2D '''Kim-Pirates 1기'''}}}]]}}} ||}}} || || {{{#!wiki style="margin: 0 -10px"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1px"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박혜민(프로게이머)|박혜민[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961d2d Joy}}}}}}]]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민욱(프로게이머)|김민욱[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961d2d AkaN}}}}}}]]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강태민|강태민[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961d2d taemin98}}}}}}]]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구종훈|구종훈[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961d2d black9}}}}}}]]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정제경|정제경[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961d2d helloweend}}}}}}]] ||}}}}}} || [[파일:조이7.png]] 2020년 하반기 조이는 프로게이머 시절부터 친분이 있었던 '''[[강태민|태민98]]'''과 '''[[구종훈|흑구]]''' 그리고 아프리카TV BJ로 활동하고 있는 '''[[김민욱(프로게이머)|아칸]]''', '''제경'''과 함께 BoyeoJulgae(이하 BJ)라는 팀을 구성하여 PCS3 오픈슬롯 예선에 참여하였다. [[Kim Pirates|BJ]]팀은 전프로출신으로 구성된 AFS[* Afreeca Freecs Stars. [[블랙워크]], [[최성철|빠뽀]], [[김대휘|대휘]], [[전하(인터넷 방송인)|전하]], 주드], AZG, GNGB가 참여하는 LVGG 오픈슬롯 결선에서도 엄청난 여포력을 보여주며 '''전체 1위로 PCS3 한국대표선발전에 진출'''하였다. 2020 PCS3 한국대표선발전에서는 조이가 에란겔 8페이지 학교 서클에서 1:2:2 상황을 이겨내고 치킨을 가져가며 구단주 킴성태[* 실제로는 KP 네이밍 스폰서지만 킴성태의 역할 상 명목상 구단주로 대우한다. ]와 4만명이 넘는 시청자들에게 인상깊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대다수의 매치에서 조직력 측면에서 아쉬움을 보여주며 '''최종 14위'''로 대회를 마무리하였다. >{{{#blue '''Joy가 만든 Kim pirates의 유일한 1치킨'''}}} {{{#green ''' (영상 2분 01초부터)'''}}} > >[youtube(M6BuXE9Jr9E)] ==== KP 2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Kim-Pirates|[[파일:Kim-Pirates.png|height=50]]]]||{{{-1 [[Kim-Pirates|{{{#961D2D '''Kim-Pirates'''}}}]]}}} {{{+1 [[틀:Kim-Pirates|{{{#961D2D '''Kim-pirates 2기'''}}}]]}}} ||}}} || || {{{#!wiki style="margin: 0 -10px"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1px"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박혜민(프로게이머)|박혜민[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961d2d Joy}}}}}}]]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민욱(프로게이머)|김민욱[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961d2d AkaN}}}}}}]]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안강현|안강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961d2d HelleN}}}}}}]]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다현(프로게이머)|김다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961d2d Mick9y}}}}}}]]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황대권|황대권[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961d2d DG98}}}}}}]]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이효범|이효범[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961d2d Rage}}}}}}]] ||}}}}}} || [[파일:조이4.jpg]] '''KP 2'''기에는 '''[[안강현|헬렌]], [[김다현(프로게이머)|미키]], [[황대권|DG98]], [[이효범|레이지]]'''를 영입하고 오더를 조이에서 헬렌으로 변경하며 변화를 주었다. 새로운 맴버구성을 바탕으로 2021 PWS 프리시즌에서 무려 '''4치킨'''을 가져가며 '''종합 7위'''로 대회를 마감하였는데, 이번 시즌에는 팀적으로 잘 조화된 모습과 공격적인 경기 운영을 바탕으로 시청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 KP는 위클리파이널 2주차 day1에서 놀라운 중앙침투력과 교전능력을 바탕으로 50점을 흭득하였지만 아쉽게도 젠지에게 1점 차이로 데이 1위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개인스텟 부분에서 조이는 '''15경기 26킬(kd 1.733)'''을 기록하며 [[서재영(프로게이머)|Renba]]([[VRLU GHIBLI|VLG]])에 이어 킬데스 부분에서 전체 2위에 랭크되었다. 2021 PWS 오픈슬롯 최종순위는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re-Season/결산|'''PWS 프리시즌 결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blue '''Weekly Final 2주차 day1'''}}} {{{#orange '''17킬 Joy'''}}} {{{#blue '''하이라이트'''}}} > >[youtube(cZ1npYeBf5g)] ==== KP 3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Kim-Pirates|[[파일:BoyeoJulgae logo.png2.png|height=50]]]]||{{{-1 [[Kim-Pirates|{{{#fcad3a '''BoyeoJulgae'''}}}]]}}} {{{+1 [[틀:Kim-Pirates|{{{#fcad3a '''BoyeoJulgae 3기'''}}}]]}}} ||}}} || || {{{#!wiki style="margin: 0 -10px"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1px"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박혜민(프로게이머)|박혜민[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fcad3a Joy}}}}}}]]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민욱(프로게이머)|김민욱[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fcad3a AkaN}}}}}}]]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안강현|안강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fcad3a HelleN}}}}}}]]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황대권|황대권[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fcad3a DG98}}}}}}]]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동환(배틀그라운드)|김동환[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fcad3a Draft}}}}}}]]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신동주(1999)|신동주[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fcad3a Makne}}}}}}]]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최성철|최성철[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fcad3a BBABBO}}}}}}]] ||}}}}}} || [[파일:Boyeojulgae Profile.jpg]] 3월 30일, 31일에 열린 [[2021 LVUP SHOWDOWN: PUBG Season1]] 결선에서 종합 7위를 기록하며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hase 1|PWS Phase 1]]진출에 실패하였다. KP는 비록 PWS Phase 1 진출에 실패하였지만, [[MokJul]](이하 MJ)을 인수하며 다시 프로시드를 확보하게 되었다. MJ가 시드권을 양도하게 된 계기를 살펴보자면 당시 결선에서 MJ의 압도적인 경기력을 이끈 [[이재호(2001)|폭시]]와 [[신동주(1999)|막내]][* 2021년 4월 6일 BJ에 재합류하였다 ]선수가 타 프로구단으로의 이적이 확실시 되고 있으며, 결선 이후 MJ에 합류 예정이었던 [[김진형(프로게이머)|위키드]] 또한 PGI.S에서 녹슬지 않은 실력을 보여주며 [[DWG KIA/배틀그라운드|DWG KIA]]로 이적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이스코는 일선상의 이유로 PWS phase 1 불참선언을 하였는데 결과적으로 [[김동환(배틀그라운드)|드래프트]]만이 [[MokJul|MJ]]에 남게 되었다. 이후 드래프트가 조이에게 시드권 양도를 제안함으로써 KP가 MJ의 멤버를 흡수합병하는 형식을 취하게 되었다. 4월 초 팀원 구성을 완료하였다. BoyeoJulgae는 기존의 KP맴버 '''[[박혜민(프로게이머)|조이]], [[김민욱(프로게이머)|아칸]], [[안강현|헬렌]], [[황대권|DG98]]'''과 MJ의 맴버 '''[[김동환(배틀그라운드)|드래프트]], [[신동주(1999)|막내]]''' 외에 '''[[최성철|빠뽀]]'''를 추가로 영입, 7인 로스터로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hase 1|PWS Phase 1]]에 참가한다. 하지만 PUBG 팀명 등록 규정상 Kim-Pirates는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 오픈슬롯 결선에 참여하였다가 탈락한 팀명 사용 불가]에 PWS Phase 1은 BoyeoJulgae(BJ)로 참가하게 되었다. Weekly Final 1주차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남은 경기결과에 상관없이 Grand Final 직행이 확정되었다. Weekly stage 3주차 첫째날 마지막 6라운드에서 23킬 치킨을 흭득하며 Weekly Final에 진출하였다. 여기서 주목해야할 점은 킬포인트인데, BoyeoJulgae는 PUBG 통합리그 출범 이후 최초로 한 라운드 23킬 치킨이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우게 되었다. ||<-9> {{{#white '''위클리 파이널 순위표'''}}} [[BoyeoJulgae|[[파일:BoyeoJulgae logo.png2.png|width=35]]]] || ||<|2> '''주차''' ||<-2> '''종합''' ||<-2>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hase 1/1주/위클리 파이널#s-3.1|{{{#white 1일차}}}]]''' ||<-2>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hase 1/1주/위클리 파이널#s-3.2|{{{#white 2일차}}}]]''' ||<|2> '''종합순위''' ||<|2> '''상금''' || || '''치킨''' || '''킬''' || '''치킨''' || '''킬''' || '''치킨''' || '''킬''' || || '''Weekly Final 1''' || '''2''' || 44 || 1 || 21 || 1 || 23 || '''우승''' || '''₩ 22,000,000''' || || '''Weekly Final 2''' || 0 || 43 || 0 || 27[* 29킬. 그러나 로스터 제출기한 초과, 캠송출 부주의로 인한 주의 2회 누적 적용(-2킬)] || 0 || 16 || 7위 || ₩ 0 || || '''Weekly Final 3''' || 0 || 36 || 0 || 20 || 0 || 16 || 9위 || ₩ 0 || || '''Weekly Final 4''' || 0 || 51 || 0 || 28 || 0 || '''24''' || 8위 || ₩ 0 || || '''Weekly Final 5''' || 1 || '''56''' || 1 || '''43''' || 0 || 13 || 3위 || ₩ 1,000,000 || ||<-9> {{{#ece,#606 보라색:}}} {{{#white 그랜드 파이널 / 다음 주차 1번 | }}} {{{#adf,#2b5797 하늘색:}}} {{{#white 다음 주차 2-8번 | }}} {{{#ff9,#b29a00 노란색:}}} {{{#white 다음 주차 17-24번 |}}} || 보여줄게는 PWS Phase 1을 끝으로 잠정 해체되었다. 그 외 Kim-Pirates에 대한[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im-Pirates)] == [[아프리카TV]] 배틀그라운드 대회 == === 배틀그라운드 BJ 멸망전 === || 년도 || 시즌 || 팀명 || 팀원 || 성적 || ||<|2> 2020 || 배틀그라운드 BJ 멸망전 시즌2 || 코묻은 쪼블닝 || [[킴성태]], [[블랙워크]], 쪼이, [[박나닝]] || 6위 || || 배틀그라운드 BJ 올스타전 || 뽀여줄게 || 쪼이, [[아칸]], 제경, [[걸뽀_|걸뽀]] || 3위 || === 기타 배틀그라운드 스쿼드 대회 === || 년도 || 대회 || 팀명 || 팀원 || 성적 || ||<|8> 2020 || 배요스 시즌 4 || || 심슨, 쪼이, [[맛종욱]], 월매 || 2위 || || 배틀그라운드 낭만 스크림 시즌 1 || || [[김태효(프로게이머)|벤츠]], 쪼이, 투컷, 유이 || 2위 || || 배틀그라운드 요시 스크림 시즌 5 || || 쪼이, 아칸, 제경, 수피 || 1위 || || [[2020 배틀그라운드 BJ나락전 시즌2]] || || 쪼이, 써기, 오렌지, 김진희 || 4위[* 여포상 수상(10R 35킬)] || || 배틀그라운드 윤철 스크림 시즌 1 || || 쪼이, 도토리묵, 우뚝, 홍시 || 1위 || || 배틀그라운드 이프 스크림 || || 쪼이, [[킴성태]], [[블랙워크]], 박나닝 || 1위 || || ORS 시즌 8[* 오렌지 주최 배틀그라운드 리그 ] || || 쪼이, 아칸, 다민, 유이 || 3위 || || [[2020 배틀그라운드 BJ나락전 시즌3]] || || 쪼이, 칸찬, SOON, 유서니 || 11위 || ||<|3> 2021 || 제1회 blackwalk Unknown League || || 쪼이, 투컷, 수힛, 이유아 || 1위 || || 배틀그라운드 유아 리그(BYL) || || 쪼이, [[김민욱(프로게이머)|아칸]], 라스트맨, [[도읍지]] || 3위 || === [[AKL]] === > '''Afreeca KimSeungTae League'''의 줄임말로, BJ[[킴성태]]가 계획하고 주최하는 리그다. > > AKL의 1티어 맴버이자 3회 우승자이다. > > 28회 참가 3회 우승, 1회 준우승, 2회 3위 > > 조이(박혜민)의 AKL에 대한[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KL)] == [[아프리카TV]] LOL 대회 == 팀게임 기준 미드는 다이아, 정글과 원딜은 플레상위~다이아하위로 평가받는다. 배틀그라운드 BJ들과 늦은저녁~새벽 사이에 친목으로 5:5 내전을 많이하였다. 이 덕분에 조이의 LOL실력이 어느정도 알려지게 되었다. [[김민교(인터넷 방송인)|김민교]]가 진행하는 중간계에서 호진LEE, 민찬기, 김민교에 이어 네번째 미드라이너로 선발되었다. 원래 조이 자리에 김동하가 예정되어 있었으나 연략이 되지 않아 조이로 대체되었다고 한다. === 중간계 === * 날짜 : 2020-12-18,19 [[김민교(인터넷 방송인)|김민교]]가 주최하는 중간계에 미드라이너로 참여하였다. ||<-5> '''[[2020 LoL BJ멸망전 시즌3#s-3.1.1|{{{#ffffff 김민교배 중간계 쪼이팀}}}]]'''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width=25]][br]'''TOP'''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width=25]][br]'''JG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width=25]][br]'''MI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width=25]][br]'''BO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width=25]][br]'''SUP''' || || '''[[변준형(방송인)|{{{#a9a9a9 변준형}}}]]''' || '''{{{#00bfff 박프로}}}''' || '''[[박혜민(프로게이머)|{{{#9400d3 쪼이}}}]]''' || '''[[블랙워크|{{{#00bfff 블랙워크}}}]]''' || '''[[안녕수야|{{{#ffa500 안녕수야}}}]]''' || 4강 조별 풀리그에서 민찬기팀, 김민교팀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2승을 확보, 똑같이 2승을 확보한 호진팀과 결승매치업이 확정되었다 * '''중간계 결승전'''(마지막 라운드 블라인드 모드[*블라인드픽]로 진행) ||<:><-5>'''{{{#white 결승전 (5전 3승)}}}'''|| ||<:><-2>'''{{{#white 쪼이팀}}}'''||<:>'''{{{#white vs}}}'''||<:><-2>'''{{{#white 호진팀}}}'''|| ||<:><-2>'''X'''||<:>'''{{{#white MATCH 1}}}'''||<:><-2>'''O'''|| ||<:><-2>'''X'''||<:>'''{{{#white MATCH 2}}}'''||<:><-2>'''O'''|| ||<:><-2>'''O'''||<:>'''{{{#white MATCH 3}}}'''||<:><-2>'''X'''|| ||<:><-2>'''O'''||<:>'''{{{#white MATCH 3}}}'''||<:><-2>'''X'''|| ||<:><-2>'''X'''||<:>'''{{{#white MATCH 3}}}'''||<:><-2>'''O'''|| ||<:>'''{{{#red 패}}}'''||<:>'''{{{#white 2}}}'''||<:>'''{{{#white RESULT}}}'''||<:>'''{{{#white 3}}}'''||<:>'''{{{#blue 승}}}'''|| === 롤CK === 조이(박혜민)의 CK 전적은 [[http://eloboard.com/lol/bbs/board.php?bo_table=bj_list&wr_id=443|이곳]] 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수상 경력 == * '''[[리그 오브 레전드]]''' * '''ECS 2017 Spring 1위''' * '''[[배틀그라운드]]''' * '''[[PUBG Global Championship/선발전|2019 PGC 한국대표 선발전]] 우승''' * [[PUBG Global Championship|2019 PGC FIANL]] 10위 * [[서울컵 OGN 슈퍼매치 2019]] 준우승 == 여담 == * 대단한 [[알쓰]]다. 맥주 1000ml + 소주 100ml로 필름이 나가버리곤 한다. * [[킴성태]]와 ORS, 멸망전 등 굵직한 대회를 함께하며 방송을 배운 탓인지 쪼성태(킴성태화)가 되었다. * 맨탈이 정말 약한 편이다. 대회나 킬내기 등에서 맨탈이 급격하게 악화되는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이러한 점 때문에 프로시절에도 감독님이 경기중 강한 피드백은 지양했다고 한다. * --쿼카답게 상추를 좋아한다-- [[파일:쿼카쪼이.jpg]] == 둘러보기 == [include(틀:미다스공대)] [include(틀:학버드)] [include(틀:미다스공대/2기)] [[분류:프로게이머/배틀그라운드]][[분류:1994년 출생]][[분류:e스포츠 관련 인물]][[분류:아프리카TV 베스트B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