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노동운동가]][[분류:한국노동조합총연맹]][[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고려대학교 출신]]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2484, #152484, #152484, #152484)" '''{{{#ffffff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제27대 위원장[br]{{{+1 박홍배}}}[br] Park Hong bae}}}'''}}}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박홍배.png|width=100%]]}}} || ||<|2> '''출생''' ||[[1972년]] [[10월 9일]] ([age(1972-10-09)]세)|| ||[[부산광역시]] || || '''학력''' ||[[고려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금융MBA {{{-2 (졸업) }}} [br] [[고려대학교]] {{{-2 (한국사 / 학사)}}}[br][[대천중학교(부산)]] || ||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약력''' ||(현)[[더불어민주당]] 전국노동위원장[br](현)[[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위원장 [br] (현)[[중앙노동위원회]] 근로자위원 [br](현)매일노동뉴스 이사[br](현)한국비정규노동센터 이사[br](전)[[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br](전)[[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br](전)[[더불어민주당]] 노동존중TF 단장[br](전)[[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KB국민은행지부 위원장||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이다. [[한국노총]] 산하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 제27대 위원장이다. 2019년 12월 금융노조 총유권자 9만4609명 중 선거에서 4만7611표를 얻어 63.7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 2022년 재선에 성공하였다. [[https://www.laborpl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583|#]], [[https://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947|#]] == 생애 및 활동 == 부산 [[광안초등학교]], [[대천중학교]]를 졸업하였다. [[고려대학교]] 사학과 출신으로 1999년 [[한국주택은행]]에 입사하였다. [[https://kr.investing.com/news/economy-news/article-133280|#]] 2000년 (구)국민은행과 (구)주택은행 합병 반대를 위한 총파업을 계기로 노동조합 활동을 시작하였다. 2012년 당시 대표적인 MB맨이던 [[어윤대]] [[KB금융지주]] 회장의 연임 반대를 주도하면서, 노동조합이 우리사주조합을 활용하여 금융지주사의 사외이사를 직접 추천하는 노동조합 추천 사외이사 선임(노동이사제)을 기획하였다. [[https://www.khan.co.kr/economy/finance/article/201201300000005|#]][[http://www.laborpl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123|#]] 이후 2013년 당시 [[어윤대]] 회장이 본인의 연임을 위해 미국계 의결권자문회사인 ISS에 기업 내부정보를 유출한 의혹이 있다는 이른바 'ISS사태' 를 폭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어윤대 회장의 연임이 실패하게 되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130320000787|#]] 2013년부터 2017년까지 [[국민은행]] 논현사거리지점 차장으로 재직하였다. 2017년 금융노조 KB국민은행지부 위원장 선거에 출마하였다. 당시 결선투표에서 7,137표를 얻어 당선되었으나, 이후 선거관리위원회의 당선무효 결정으로 재선거를 실시하고 다시 치뤄진 선거에서 선관위가 다시 후보자 등록무효를 결정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법원의 등록무효 취소 결정을 통해 1차투표에서 57% 지지를 얻어 당선이 확정되었다. 당시 선거와 관련하여, [[박근혜 정부]] 주도의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도입 시도에 반대하는 후보자의 당선을 방해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이 있었다. [[https://www.bizhankook.com/bk/article/12938|#]] [[https://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2020|#]][[https://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3110|#]] [include(틀:한국노총의 산하노조)] === [[금융노조]] KB국민은행지부 위원장 === [[https://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3979|#]] 주 52시간제 시행 강제를 위해 19:00 이후 업무용 PC의 전원을 차단하는 PC온오프제도 도입[[https://www.nocutnews.co.kr/news/4799495|#]], 노동조합 추천 사외이사 선임(노동이사제) 등을 추진하였다. 2019.1.8. 잠실실내체육관에서 국민은행 직원 9천여 명이 참여하는 파업을 주도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oliHOm0b9WQ|#]][[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502206&PAGE_CD=N0002&CMPT_CD=M0112|#]][[https://www.khan.co.kr/economy/economy-general/article/201901191634011|#]] 박근혜 정부의 주요 노동정책이던 청년 신입직원에 대한 [[성과연봉제]](페이밴드) 폐지, L0 정규직 전환 직원(여성 사무직원)에 대한 전환 전 경력 인정, [[임금피크제]] 개정 등을 주요 요구사항으로 주장하여 사회적으로 커다란 이슈가 되었다. || [youtube(CO9GIRS0aVA)]|| 방송인 [[김제동]], 작가 [[유시민]], 노동운동가 [[하종강]] 등이 참여하는 전국순회 토크콘서트와[[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882760.html|#]], 국민은행 사측과 노동조합이 함께 해외에 도서관, 집, 학교 등 을 직접 지어주는 보듬봉사단 등 다른 노동조합과 차별화된 활동으로 주목받았다[[https://www.fnnews.com/news/201803091620055078|#]]. === [[금융노조]] 위원장 === 2019년 12월, 26대 [[금융노조]] 위원장 선거에 출마하여, 4만7611표(득표율 63.7%)로 당선되었다. 주요 공약으로 ▲직무성과급제 도입 저지 ▲KPI제도 개선을 통한 과당경쟁 중단 ▲여성, 저임금직군 차별 해소 및 처우개선 ▲남성 육아휴직 1년 의무화 ▲정부·여당·금노 정책협의회를 통한 국책금융기관 자율성 확보 ▲노사정협의체 신설을 통한 지역은행 발전방안 마련 등을 주장하였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62781|#]] 2022년 9월 16일 금융노조 파업을 주도하였다. || [youtube(2SvA0OxrbB8)]|| 2022년 12월, 전체 유권자 5만9천932명 중 찬성률 89.24%(5만3천482명)로 재선에 성공하였다.[[https://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947|#]] 2022년 [[금융노조]] 파업 당시 요구사항이었던 ▲[[주 4일 근무 제도|주 4.5일 근무제]], ▲[[임금피크제]] 폐지, ▲산업은행 부산이전 중단 등을 주요 공약사항으로 주장하였다. == 정치인으로서의 활동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중앙당)]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2020.8~2021.4) === 2020년 8월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으로 취임하였다.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시인 '[[제페토]]' 의 '[[그 쇳물 쓰지 마라]]' 를 낭독하는 등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입법과정을 주도하였으며[[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690526&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이후 50인 미만 사업장 유예 등이 결정되자 “법이 이대로 통과되면 [[근로기준법]]도 적용받지 못하는 노동권 사각지대에 있는 5인 미만 사업장 노동자들은 이제 그 죽음마저 차별당하게 될 처지” 라며 강력히 비판하였다[[https://stv.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108500124&wlog_tag3=naver|#]][[https://www.vop.co.kr/A00001537656.html|#]]. 대기업 총수일가의 변칙증여와 계열사 간 일감 밀어주기를 지적하는 등 민주당 지도부 중에서도 개혁적, 친 노동적 성향을 대변하였다[[https://www.sedaily.com/NewsView/22IJIF1I04|#]]. 최고위원 재임기간동안 [[더불어민주당]] 지도부 내에서 [[양향자]] [[한국의희망]] 대표와 여러차례 대립하는 모습을 보였다[[https://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974941.html|#]]. [[삼성전자]] 상무 출신인 양향자가 중대재해처벌법, [[공정경제 3법]] 등 논의과정에서 기업의 입장을 대변한다는 점에서 개혁적, 진보적인 성향의 박홍배와의 대립은 피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구의역 참사]]와 관련하여 "업체 직원이 실수로 죽은 것" 이라고 주장한 [[변창흠]] 당시 국토교통부 장관 지명자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청년대변인 출신 [[박성민(1996)|박성민]] 최고위원과 함께 강력히 비판하였다[[https://imnews.imbc.com/news/2020/politics/article/6033734_32626.html|#]]. [[4.7 재보선]] 선거의 책임을 지고 민주당 지도부가 총사퇴하면서 함께 사임하였다. === [[더불어민주당]] 노동위원장 === [[https://www.youtube.com/watch?v=aItiClzMJ0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