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구 도시철도에 있는 동명의 역, rd1=반야월역)] ---- [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 ||<-5> [[파일:정부상징.svg|width=30&height=30]]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ffffff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 || 269호 ||<|2> ← || '''270호''' ||<|2> → || 271호 || || 서울 [[청량리역]] 검수차고 || '''대구 구 반야월역사''' || 구 포천성당 || ---- {{{+1 半夜月驛 / Banyawol Station }}} ||<-3> {{{+2 '''반야월역'''}}}[br]{{{#red '''(폐역)'''}}} || ||<-3> [include(틀:지도, 장소=35.873159 128.708707, 너비=100%, 높이=225px)]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Banyawol || || [[한자]] ||<-2><|2> 半夜月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パニャウォル || ||<-3> '''주소''' || ||<-3> 구 위치: [[대구광역시]] [[동구(대구)|동구]] [[신기동(대구)|신기동]] 1-6, 3-3, [[각산동]] 865-2[br]현 위치[* 반야월역사작은도서관.]: [[대구광역시]] [[동구(대구)|동구]] 신서로 50 ([[신서동]] 818-1) || ||<-3> '''개업일·폐지일''' || || 경동선 ||<-2> 1917년 12월 24일[* 최초 개업일([[협궤]]로 개설).] || || [[대구선]] ||<-2> 1938년 7월 1일[* [[표준궤]]화로 [[경부선]]과 직결된 날짜.] [br]~ 2005년 11월 1일[* 대구선이 이설한 날짜.] || || [[통근열차(한국의 열차등급)|{{{#fff 통근열차}}}]] ||<-2> 2004년 4월 1일 [br]~ 2005년 10월 31일[* 여객영업 취급 중단일.] || || 폐지일 ||<-2> 2008년 5월 15일 || ||<-3> '''열차거리표''' || || [[동대구역|{{{#!html
동대구 방면}}}]]~~[[동촌역(대구선)|동 촌]][br]← 5.4 ㎞~~ || '''[[대구선|옛 대구선]]'''[br]--반야월--[br]{{{#red '''(폐역)'''}}} || [[영천역|{{{#!html
영천 방면}}}]][[청천역|청 천]][br]5.5 ㎞ → || || [[파일:반야월역(대구선).jpg|width=100%]] || || 폐 역사를 활용한 반야월역사작은도서관.[* 본래 위치에서 동쪽으로 1,430m 옮겨갔으며 과거와 마찬가지로 (구)대구선 선로가 있었던 곳이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선]]의 폐지된 철도역. 과거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신기동(대구)|신기동]] 1-6, 3-3, [[각산동]] 865-2번지 소재. >'''수평과 수직의 조화''' >반야월역은 1917년 12월 24일 대구선 개설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현재의 역사는 인근의 동촌역, 영천역과 함께 1930년대에 지어진 것이다. 광복 이후 화물수송량 증가에 따라 1960년 12월 12일에 화물전용홈을 신설, 준공하였으며, 1971년에는 한일시멘트 전용선을 부설하는 등 지역 교통의 중심으로 역할 해왔다. 건물의 외관은 1930년대 일제강점기에 유행한 박공형태의 지붕으로 건물의 평면에서는 장방형이 기준이지만 대합실의 맞배지붕에서는 높고 넓은 박공면을 앞뒤로 강조하며 정면과 배면의 지붕 방향성을 돋보이게 하는 역설적 표현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반야월역사의 정면 지붕은 낮은 이등변삼각형을 띠고 있어 안정감을 주고 있는데, 이 박공면의 모습이 다른 역사에 비해 넓은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자칫 심심해보일 수 있는 박공면에 박공 수직 목재 구조체를 돌출시키면서 형상의 수평성을 보완해주고 있다. 이처럼 일제강점기 건립된 박공지붕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철도역사의 건축사적 중요성과 남다른 건축미를 인정받아 2006년에 등록문화재 제270호로 지정되었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 역 정보 == 선로 북쪽은 산업단지, 남쪽은 주거지구였기에 여객과 화물 수요 모두가 많았다. [[대구선]] 이설 전까지만 해도 반야월-안심 지역은 재료공업단지였기 때문에 연탄, 시멘트 등 화물을 많이 수송했으며, 역도 상당히 컸었다.[* 현재도 각산네거리와 신서네거리 사이에는 시멘트 공장이 있다.] 2005년 10월 31일 통근열차 2108호[* 18:15 포항발 20:39 동대구행 열차이며 20:27에 정차하였다.]를 마지막으로 여객 영업을 중지하게 되었으며, 다음날인 2005년 11월 1일부로 신 대구선의 여객 영업이 시작된 이후에도 화물열차에 한해 기존 동대구역~동촌역 구간은 여전히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다 2008년 2월 15일 화물열차 운행도 중단되면서 구 대구선 전 구간이 폐선되었고 가천역, 금강역이 생기면서 2008년 5월 15일에 공식적으로 폐역되었다. 이설이 끝나고 [[동촌역(대구선)|동촌역]]처럼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201호 ~ 제300호#s-8|국가등록문화재 제270호]]로 지정됐으나,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jsessionid=bdAxbHywMJKkgityFkRar1ObCJQTJYVuS8pWuJ8djFQ3N4Vkx4dwsu5aOmtkcugM.cpawas_servlet_engine1?pageNo=1_1_2_0&ccbaCpno=4412202700000|#]] 2008년 [[동대구역|동대구]]-[[청천역|청천]] 구간이 폐선되면서 2009년에 철거돼 1.4km가량 떨어진 신서동롯데캐슬레전드 아파트 단지 옆으로 옮겨가 어린이 도서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주소는 [[대구광역시]] [[동구(대구)|동구]] 신서로 50 (신서동 818-1).[* 구 역사 부지는 현재 [[반야월로]]에서 안심뉴타운으로 진입하는 사거리로 변했다. 역 주변 건물들도 모두 철거되어 로드뷰를 아주 옛날로 돌려야 옛 역사를 볼 수 있다.] == 현재 == [[동대구역|동대구]]-[[청천역|청천]] 구간이 폐선 결정되었을 때 주변 공단에서 반대를 많이 했으나 남쪽의 신기-동호지구 거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찬성했기에 반야월공단은 쇠퇴했고, 연탄을 만드는 [[안심연료단지]]만 주거단지 사이에 덩그러니 끼어있었다가 이마저도 2017년 11월 말부터 철거에 들어갔다. [[경부고속도로]] 북쪽으로 현재 [[신서혁신도시]]가 올라가는 고로 주변 거주민들이 연료단지를 빠른 시일 내에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라고 요구했고, 연료단지가 없어진 자리에는 [[안심뉴타운]]이 생길 예정이다. == 기타 == 도심구간 이설 및 선로 철거로 인해 폐역된 지 10년이 넘었지만 구 역사 앞에 있던 버스정류장 명칭은 오랫동안 반야월역(국철)으로 유지되어 있었으며 2021년 주위 아파트명[* [[각산 태영데시앙]]앞/건너. 앞 정류장은 2023년 9월부터 [[대구 안심 파라곤 프레스티지|대구파라곤프레스티지아파트]]로 한 번 더 이름이 바뀌었다.]으로 변경되어 해결되었다. 다만 일부 버스정류장에 붙은 노선도에는 아직도 반야월역으로, 심지어 국철 표시 없이 표기되어 있으니 주의. 이름이 반야월역인데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 아이콘]]이 없으면 이쪽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선의 역 목록)] [[분류:1917년 개업한 철도역]][[분류:2008년 폐지된 철도역]][[분류:동구(대구광역시)의 폐지된 철도역]][[분류:대구선의 폐지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근대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