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구 도시철도 1호선에 있는 동명의 역, rd1=반야월역(도시철도))]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2,프로젝트1=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프로젝트2=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 [include(틀:폐역)] ||<-6><:> {{{+2 '''영천역'''}}} || ||<:><-6>[include(틀:지도,장소=35.873159 128.708707,너비=100%,높이=225px)]|| ||<:><-6><#c0c0c0>'''다국어 표기''' || ||<:><-2>[[영어]]||<:><-4>Banyawol|| ||<:>[[한자]]||<:><-4>半夜月|| ||<:>[[중국어]]||<:><-4>半夜月|| ||<:>[[일본어]]||<:><-4>パニャウォル|| ||<:><-6><#c0c0c0>'''주소'''|| ||<:><-6>[[대구광역시]] [[동구(대구)|동구]] 반야월로 349 (舊 각산동 865-2)|| ||<:><-6>'''관리역 등급'''|| ||<:><-6>[[폐역]][br](~~[[한국철도공사]] 대구본부~~)|| ||<-6><:><#c0c0c0>'''일반 철도'''|| ||<-3><:>[[대구선]] 개업일||<:><-3>1917년 12월 24일|| ||<-3><:>[[대구선]] 폐업일||<:><-3>2008년 5월 15일|| ||<-6><:>'''열차거리표'''|| ||<:><-2>[[동대구역|{{{#!html
동대구 방면}}}]][[신평역(대구선)|신 평]][br]← 2.9 ㎞||<:><-2>'''[[대구선|옛 대구선]]'''[br]~~반야월~~[br]{{{#red '''(폐역)'''}}}||<:><-2>[[영천역|{{{#!html
영천 방면}}}]][[청천역|청 천]][br]5.5 ㎞ →|| {{{+1 半夜月驛 / Banyawol Station}}} [[파일:attachment/반야월역(대구선)/banyawol.jpg|width=500]] 대구기점 12.0km [[대구광역시]] [[동구(대구)|동구]] 각산동 865-2번지에 있었던 [[대구선]]의 폐역. 역을 사이에 두고 선로 북쪽은 산업단지, 남쪽은 주거지구였기에 여객수요와 화물수요 모두가 많았다. [[대구선]] 이설 전까지만 해도 반야월-안심 지역은 재료공업 단지였기 때문에 연탄, 시멘트 등의 화물을 많이 수송했고 따라서 역 규모도 상당히 컸었다.[* 현재도 각산네거리와 신서네거리 사이에는 시멘트 공장이 있다.] [[대구선]] 이설이 끝나고 [[동촌역(대구선)|동촌역]]처럼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201호 ~ 제300호#s-7|제270호]]로 지정됐으나, 2008년 [[동대구역|동대구]] - [[청천역|청천]] 구간이 폐선되면서 2009년에 철거돼 지금 위치에서 1km 떨어진 신서동롯데캐슬레전드 아파트 단지 옆으로 옮겨가 어린이 도서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주소는 [[대구광역시]] [[동구(대구)|동구]] 신서로 50(신서동 818-1). [[동대구역|동대구]] - [[청천역|청천]] 구간이 폐선된다고 결정났을때 주변 공단에서 반대를 많이 했으나 남쪽의 신기-동호지구 거주민들이 폐선에 적극적으로 찬성했기에 반야월공단은 쇠퇴해 현재는 연탄을 만드는 연료산업단지만 주거단지 사이에 덩그러니 끼여 있다. [[경부고속도로]] 북쪽으로 현재 [[신서혁신도시]]가 올라가는 고로 주변 거주민들이 연료단지를 빠른 시일내에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라고 성화지만 현재로선 먼 훗날의 일이 될 듯하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는 폐역된 옛 [[대구선]] 반야월역을 아직도 '''"반야월역(국철)"'''으로 정류장명을 명기해 놓고 있다. 안내방송도 "반야월역"으로 고스란히 나가고 있다.~~탁상행정~~ [[분류:대한민국의 폐지된 철도역]] [[분류:대구선(폐지된 구간)]] [[분류: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