Балаклава/Balaclava/Balaklava [목차] == 지명 == ||||<#000000><:>{{{#white {{{+3 발라클라바 (우크라이나)[* 2014년부터 러시아가 점령중.]}}}}}}|| ||<-3><:> [include(틀:지도, 장소=세바스토폴 발라클라바)] || [[우크라이나]] [[크림 반도]] [[세바스토폴]]에 있는 지역. 1957년에 세바스토폴로 편입되었다. [[크림 전쟁]] 당시 [[발라클라바 전투]]로 유명하며 이후에도 전략적 요충지([[제2차 세계대전]] 시 [[독소전쟁|독소전선]]의 최남단)인 탓에 수많은 전투가 벌어졌고 지금은 전쟁기념비만 50여개가 넘는다고 한다. == 의류 == === 개요 === [[파일:external/4.bp.blogspot.com/balaclava004.jpg]] 눈이나 입을 제외한 머리 전체를 덮는 방한의류. 스키 마스크로도 불리며 [[한국어]]로 '목[* 눈 목자]출모(目出帽)', '안면모'. '[[안면마스크]]', '복면' 이라고 번역되며 나이 많은 산악인들은 '바라카바'로 부르기도 한다. 본래는 군용으로 [[크림 전쟁]]에서 [[영국군]]이 추위로부터 몸을 지키기 위해 털실로 짜 만든 것에서 유래됐다. 이름도 전쟁의 배경이 된 지명에서 유래한다. 주로 동계 스포츠나 동계 아웃도어 활동에서 방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위 사진처럼 눈 위치 2개와 입 위치 1개에 구멍을 터 놓은 디자인은 거의 없고 눈 부위를 전체 터 놓고 나머지는 다 가리는 디자인이 대부분이다. [[https://m.smartstore.naver.com/gwgmall/products/4843671406?NaPm=ct%3Dkz3a5h8w%7Cci%3D0Bq0001UnJvviQPme1l3%7Ctr%3Dpla%7Chk%3Dbdef7fa7ecbca33005dfac77e1604ea1bb83e6f1|예시]]. [[파일:cCTd0L0.jpg|height=450]] 이것 때문에 밈이 되어버린 선수가 바로 [[페이튼 매닝]]. [[파일:pg2_g_brady_300.jpg]] 잘생긴 [[톰 브래디]]도 추위엔 얄짤없다. 그 외에도 소방관과 레이싱 드라이버도 사용한다.[* [[F1]] 등의 고속 경주에서는 충돌 등으로 인한 화재가 드문 일도 아니다.] 둘 다 안면을 화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착용한다.[* 이 경우엔 폴리프로필렌, 폴라 플리스 등의 방한 소재가 아니라 열에 강한 아라미드 계열 섬유인 노멕스 등으로 만들어진다.] 기능성 의류이지만 사실상 [[복면]]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신분노출을 꺼리는 [[테러리스트]]와 [[대테러부대]], [[도둑]], [[범죄자]]와 [[경찰청 의무경찰|전투경찰]] 등이 애용한다. 또한 [[사막]]에서 모래바람이 입과 코로 들어가지 않게 하는데 굉장히 유용하다고 한다. 이게 원래부터 복면 용도로 만들어진 줄 아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간혹 발라클라바라는 이름을 잘 모르는 사람들은 '테러리스트 복면', '도둑놈 복면'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물론 그러면 이름을 모를테니 이 항목에 들어오질 않겠지만.. 아무래도 매체에서 강력범죄자와 강도(특히 은행 등)가 쓰는 모습이 주로 등장하는 이유가 크다. 영화, 애니, 게임 등 가상매체서 [[강도죄|강도]], [[도둑]], [[테러리스트]] 역할 배우들이 자주 착용하는 이유는 시청자가 범죄자와 시민, 경찰을 쉽게 구분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그 밖에도 인물의 정체를 감춰서 시청자의 호기심과 극적 효과를 강조하거나 스토리 반전에 떡밥 역할도 충실하기 때문이다. 그 밖에도 군대나 경찰의 훈련에서 테러범이나 간첩 역할에게 발라클라바를 씌워 팀을 나누는 용도로도 쓴다. 오토바이 헬멧 착용시에도 장시간 운행시 착용하면 좋다. 특히 머리기름이나 땀 등을 잘 흡수해서 내피 세척 주기를 길게 유지할수 있고, 헬멧 내피에 피부가 쓸리는것도 방지 가능하다. 장발일 경우 헬멧을 쓰고 벗으면서 머리카락이 엉키는 것도 어느정도 막아준다. 또 다른 용도로는 인형탈, 실리콘 마스크와 같이 청소가 힘들고 머리카락 등에 오염 가능성이 높은 코스튬을 착용할 때도 자주 사용한다. 착용하지 않으면 머리의 분비물 등으로 인해 고생한다고 한다. 착용상의 주의점은, 입 부분이 막힌 유형의 제품들의 경우 입으로 숨쉬거나 말하면 입김 때문에 축축하게 젖어서 굉장히 찝찝하다. 코 부분에 구멍이 뚫렸으면 가급적 코로만 숨을 쉬고 담화를 금하자. 아예 다 막혀있다면 그냥 답이 없다. [[마스크]]와 같이 착용할 수밖에 없다.[* 다만 눈부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제품도 있는 듯하다. 소방관을 위한 제품의 경우로, 발라클라바 위에 호흡용 마스크를 착용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 사용 사례 === * [[크림 전쟁]] 당시 동원된 영국 군인들이 착용했다. *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2014년 크림 사태]] 당시 동원된 러시아 군인들이 착용했다. 당시 찍힌 군인들 모두 눈과 미간만 내보이는 발라클라바를 착용한 상태였다. * [[제707특수임무단]] 및 [[해군 특수전전단 특수임무대대]] - 대원들의 신상정보자체가 2급 비밀이다. 따라서 언론에 노출될때는 발라클라바를 쓴다. * [[육상총대]] 예하 [[특수작전군]] 및 [[자위함대]] 예하 [[특별경비대]] - 신분을 노출해서 안되기 때문에 정복 차림에도 바라클라바를 착용한다(명찰도 달아 놔서도 안된다). 원래 특수부대인만큼 신상 자체가 기밀인 것도 있지만 또 하나의 이유는 '신좌익'이라는 극좌파 계열 사람이나 그외 여러 사람들이 그 대원의 가족들에게 해코지를 가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단, 지휘관은 발라클라바를 착용하지 않고 명찰을 패용한다. * [[Life of Boris]] - 보리스, 아나톨리. 애초에 여기 나오는 고정멤버들은 대부분 우샨카에 발라클라바 차림이다. * [[사파티스타]] 민족 해방군의 [[부사령관 마르코스]] * [[소방관]] * [[마미손(래퍼)|마미손]] - 이 사람으로 인해 핑크 발라클라바가 유행하게 되었다. * [[Malaa]] - [[Tchami]]의 Confession label에서 활동 중인 일렉트로닉 뮤지션이다. * [[초학생]]이 고양이 얼굴이 프린팅된 발라클라바를 쓴 적이 종종 있다... === 창작물 === * [[AVA]] - 현질 이용자들[* 개발사 공인 현질 아이템. 발라클라바 아이템을 캐시로 구매하면 게임 내의 총기를 구매할 수 있는 사이버 머니인 [[유로]]를, 그것도 상당한 액수를 준다. 주객전도. 다른 경쟁자인 위장복과 보호대도 있지만 이 녀석이 가성비는 그런대로 좋은 편이다.] * [[Escape from Tarkov]] - 여러 종류의 발라클라바가 구현되어 있는데, 방어력에는 아무 영향이 없는 룩템이다. 하지만 착용했을 때의 외형이 나름 멋있고, 무엇보다 백인인 PMC들이 수풀에 숨었을 때 새하얀 얼굴 때문에 색적당하는 경우가 있는데 검은 발라클라바를 착용하면 이런 상황을 막아줄 수 있어서 항시 착용하는 유저가 꽤 있다. * [[개장수(웹툰)|개장수]] - [[개장수(하이브)|개장수]] * [[논논비요리]] - 미야우치 카즈호[* 새해맞이 에피소드에서 이걸 착용하고 손전등을 든 채 밤의 산길을 걸어다녔다.] * [[듀라라라]] - [[블루스퀘어(나리타 월드)|블루스퀘어]] (상어모양을 애용한다.) * [[레인보우 식스 시즈]] - [[예비 병력(레인보우 식스 시즈)|예비 병력]], [[레인보우 식스 시즈/오퍼레이터/GIGN|GIGN]] 대원 전원, [[레인보우 식스 시즈/오퍼레이터/GSG-9|GSG-9]] 대원 전원, [[라이온(레인보우 식스 시즈)|라이온]], [[에이스(레인보우 식스 시즈)|에이스]] * [[메탈기어 시리즈]] - 게놈병, [[죠니(메탈기어 시리즈)|죠니]], [[MSF]]와 [[다이아몬드 독스]][* 마더 베이스 자유행동에서는 벗고 있지만, 컷신에서는 전부 쓰고 나온다.] 대원 * [[블루 아카이브]] - 시로코의 제안에 따라 [[대책위원회]]들이 발라클라바를 쓰고 [[은행강도]]를 한다. * [[요르문간드]] - 체키타 * [[우리들은 푸르다]] - 하태호[* 평소에는 비니처럼 쓰고 다닌다.] * [[주술회전]] - [[이노 타쿠마]][* 우연의 일치로 바로 위의 인물처럼 평소엔 비니처럼 머리에만 쓰고 다니다 전투 시 얼굴에 전체적으로 쓴다. 허나 장르가 액션장르이고 그의 능력의 특성으로 인해 완전히 쓰는 장면의 빈도가 잦은 편. 입 부분이 막혀있는 형태.] * [[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 - 피닉스 커넥션, 아틱 어밴져[*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온라인]]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2|시리즈]]는 착용하지 않고,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글로벌 오펜시브]]에서는 아예 없어졌다.] * [[콜 오브 듀티: 고스트]] - [[키건 P. 러스]], 해쉬를 제외한 고스트팀 전원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 '''[[사이먼 "고스트" 라일리]]''' - 이 캐릭터의 등장 이후 발라클라바에 해골 무늬가 유행하게 되었다. * [[그림자 중대]] 대원 전원 * [[쿠키런]] - [[근육맛 쿠키]] * [[팀 포트리스 2]] - '''[[스파이(팀 포트리스 2)|스파이]]''' * [[페이데이 2]] - 악명가면을 착용한 하이스터들 * [[러브라이브 선샤인]] - [[타카미 치카]] * [[하프라이프|하프라이프1]] - [[유해 환경 전투 부대|군인]] 중 산탄총병이 고글과 함께 착용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마스크]] * [[복면]] * [[테러]] * [[테러리스트]] [[분류:동음이의어]][[분류:세바스토폴]][[분류: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