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발렌티노}}} [br] Valentino''' || ||<-2> {{{#!wiki style="margin: +20px -10px" [[파일:발렌티노(브랜드) 로고.svg|width=80%]]}}} || || '''기업명''' ||'''Valentino S.p.A.''' || || '''가업 유형''' ||[[주식회사]] {{{-2 (Società per azioni)}}} || || '''분야''' ||[[패션]] || || '''설립일''' ||[[1960년]] ([age(1960-01-01)]주년) || || '''설립자''' ||[[발렌티노 가라바니]] || || '''핵심 인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0.75em" {{{#fff '''CEO'''}}}}}} 스테파노 사시 {{{-2 (Stefano Sassi )}}} [b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0.75em" {{{#fff '''CD'''}}}}}} 피에르파올로 피치올리 {{{-2 (Pierpaolo Piccioli)}}} || || '''제품''' ||[[오트 쿠튀르]], [[패션]], 향수 등 || ||<|2> ''' 소재지 ''' ||[[이탈리아]] [[롬바르디아]] [[밀라노]] Via Turati 16/18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Via Turati 16/18 Milano 20121 Italy, 너비=100%, 높이=100%)]}}}|| || '''소유''' ||Mayhoola for Investments LL || || '''대표 색상'''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8em" {{{#fff '''발렌티노 레드 (Valentino Red)'''}}}}}} || || '''홈페이지''' ||[[https://www.valentino.com/| [[파일:발렌티노(브랜드) 로고.svg|width=40]]]] || ||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aisonValentino, 크기=20)] [[https://www.facebook.com/valentino|[[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www.instagram.com/maisonvalentin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valentin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https://open.spotify.com/user/nksj767gemb3jlbvlo6q7x8u9?si=vt0BCUMaTYmA0B0mC2GVrg&nd=1|[[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width=20]]]] [[https://www.tiktok.com/|[[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0]]]] [[https://www.pinterest.co.kr/valentino/|[[파일:핀터레스트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욕발렌티노1.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욕발렌티노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욕발렌티노3.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욕발렌티노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욕발렌티노5.jpg|width=100%]]}}} || ||<-2> {{{#white '''뉴욕 발렌티노 플래그십 스토어'''}}}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 출신의 쿠튀리에 [[발렌티노 가라바니]]가 [[1960년]]에 설립한 [[명품]] [[패션 하우스]].[* 국내에서는 발렌티노 브랜드 자체의 인지도는 [[연예인]]들을 통해 어느정도 쌓았어도 이상하리만큼 매출이 썩 높지않은 편이지만 발렌티노는 브랜드 매출이 10억 유로 이상이나 되는 거대 기업이다. 패션잡화 브랜드 중에 매출이 10억 유로 이상 되는 곳은 발렌티노를 포함해서 20곳을 넘기지 않는다. 한국 매출 비중도 [[크리스챤 디올]], [[펜디]], [[보테가 베네타]], [[발렌시아가]]같은 브랜드가 전체 매출 대비 한국 매출 비중이 10% 가량이나 되는 것에 비해 발렌티노는 3% 가량 수준.] == 역사 == 파리에서 패션 공부를 하고 로마로 돌아온 발렌티노 가라바니가 1960년에 런칭한 패션하우스이다. 1962년 피렌체에서 발렌티노 패션하우스의 첫 컬렉션을 열었다. 이후 1968년 발표된 화이트 컬렉션으로 단번에 국제적인 디자이너로 이름을 올렸으며, [[재클린 케네디 오나시스]]의 결혼식 드레스 등으로 1970년대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고, 1980년대 여성들의 파워 드레싱과 함께 발렌티노의 최전성기를 맞이한다. 그러다가 창립자인 발렌티노 가라바니가 2008년 은퇴하면서 브랜드의 행방이 불투명해지기 시작했으며 결국 경영난에 시달렸으나, 2012년 [[카타르]] 왕실에서 9,900억 원에 인수하면서 다시 되살아나고 있다. == 상징 == 발렌티노 오뜨 꾸뛰르의 화려한 스타일이 현대 패션에도 고스란히 드러난다. 이는 발렌티노의 4가지 상징으로 이어진다. * '''발렌티노 레드''': 상징 색이나 다름없는 일명 {{{#bf0000 '''발렌티노 레드'''}}}라는, 주홍빛이 감도는 채도 높은 빨간색 덕분에 매우 화려한 느낌이 든다. * '''락스터드''': 발렌티노의 특징적인 스터드--찡--이다. 지갑과 가방은 물론이고 스니커즈나 티셔츠에도 자주 들어간다. 지갑의 경우 직사각형의 테두리 전체에 락스터드를 박아넣은 제품이 많다. 락스터드가 초창기부터 시그니처이기 때문에 여전히 다양한 제품군에 쓰이고 있다. * '''V-RING''': 사실상 발렌티노의 로고와 다름없다. 다만 제품군에 따라 모양이 다른데, 신발이나 의류의 경우 동그란 링에 V가 들어간 모양[* 문서 상단에 있는 로고의 그것]을 자주 쓰며, 가방이나 지갑의 경우 대부분 각진 네모 형태의 링에 V가 들어간 모양을 쓴다. * '''VLTN''': '''V'''{{{#aaa A}}}'''L'''{{{#aaa EN}}}'''T'''{{{#aaa I}}}'''N'''{{{#bbb O}}}으로, 가방과 지갑에서도 볼 수 있으나 의류에서 가장 쉽게 찾을 수 있다. 기존 발렌티노의 제품군 중 이 로고가 사용된 제품들은 스포티브한 것이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OILE-ICONOGRAPHE-TOTALOOP-LOW-TOP-SNEAKER.webp|width=100%]]}}} || || '''발렌티노 트왈 이코노그라프''' || 2022년 하반기에 나온 디자인으로 [[루이 비통]]의 모노그램, [[크리스챤 디올]]의 오블리크, [[구찌]]의 GG 수프림, [[펜디]]의 FF 패턴 처럼 패브릭 소재에 발렌티노의 V 로고를 반복적으로 찍어놓은 패턴이다. * 한 가지 상징이 더 있다면 바로 카무플라주 패턴, 일명 국방 무늬인데, 이 때문에 슈즈군을 제외한 대한민국 남성들에게는 별로 인기가 없다(..). 각종 의류, 신발에 자주 사용되며, 가방과 지갑에도 많이 사용된다. 다만, 202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는, 카무플라주 패턴이 트렌드에서 한 발짝 멀어졌기 때문에 전체 컬렉션에서 잘 등장하지 않는다. == 제품 == === 기성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uaSQ4MHHsU)]}}} || || '''BLACK TIE F/W 2023-24''' || === 가방 === ||
{{{#white 발렌티노 로코백}}} || ||[[파일:발렌티노 로코백.webp|width=100%]]|| 발렌티노를 상징하는 V 이니셜 로고가 붙은 숄더백으로 가로로 긴 바게트백 형태이다. 2023년 기준 국내 매장가는 마이크로 사이즈 171만원, 스몰 사이즈 321만원, 기본 사이즈 357만원이다. 발렌티노에서 가장 주력으로 밀고있는 가방 라인업이기도 하다. ||
{{{#white 발렌티노 브이슬링 탑 핸들백}}} || ||[[파일:발렌티노 브이슬링백.webp|width=100%]]|| 로코백과 함께 발렌티노에서 가장 밀고있는 가방이다. 국내에는 스몰 사이즈만 나오는데, 2023년 기준 국내 매장가는 389만원이다. ||<-3>
{{{#white 그 외 기타 락스터드 등}}}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발렌티노벨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발렌티노미니.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발렌티노클러치.jpg|width=100%]]}}} || || 벨트백 || 파우치 || 클러치백 || 그 외에도 여러가지 종류의 가방이 있다. 게다가 이는 대한민국 발렌티노 공식 사이트에서 판매하는 것이므로 실제 발렌티노 가방의 종류는 어마어마하게 많다.--종류가 많은 만큼 괴이한 것도 많다.-- === 지갑 === ||<-3>
{{{#white 그 외 기타}}} || || [[파일:발렌티노지갑1.jpg|width=100%]] || [[파일:발렌티노지갑2.jpg|width=100%]] || [[파일:발렌티노지갑3.jpg|width=100%]] || || 카드지갑 || 반지갑 || 장지갑 || 지갑도 가방과 비슷하나 V링이 들어간 깔끔한 디자인은 많지 않고, 대부분 디자인에 락스터드가 들어가 있으며 VLTN 로고 또한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 스니커즈 === ||<-2>
{{{#white 발렌티노 히든 스니커즈}}} || || [[파일:발렌티노히든블랙.jpg|width=100%]] || [[파일:발렌티노히든스터드.jpg|width=100%]] || 겉으로 노출되는 신발끈의 일부분을 가려놓은 스니커즈. 발렌티노 스니커즈 중 한국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제품이다. 가격은 60만 원대. 신발끈이 노출되는 부분이 일부 가려져 있어 신발끈을 풀거나 묶을 때 발렌티노 매장에 찾아가 직원에게 부탁하는 것이 좋다. ||<-2>
{{{#white 발렌티노 카모플라쥬 스니커즈}}} || || [[파일:발렌스니커카모1.jpg|width=100%]] || [[파일:발렌스니커카모2.jpg|width=100%]] || 히든 스니커즈와 마찬가지로 한국에서 매우 인기가 많은 제품이다. 특히 현빈이 신은 것으로 유명하다. 가격은 마찬가지로 50만 원대. === 발렌티노 뷰티 === ||<-2>
{{{#white 발렌티노 향수}}} || || [[파일:발렌티노도나.jpg|width=100%]] || [[파일:발렌티노발렌티나.jpg|width=100%]] || || 발렌티노 도나 || 발렌티노 발렌티나 || 발렌티노의 향수도 매우 유명한데,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발렌티노 도나와 발렌티노 발렌티나이다. 가격은 30ml기준 7만원~10만원대로, 패션 브랜드에서 제조한 향수치고는 꽤 고가이다.[* 샤넬 넘버5 35ml가 10만원이다.] 발렌티노 도나의 경우 샤넬의 향수와는 느낌이 정반대로, 넘버5의 세련된 차가운 향보다는, 꽃 향과 같은 달콤한 향이 강하다. 사진 상으로는 액체의 색상이 선명한 분홍색이지만 실제로는 저것보다 채도가 낮다. 2021년에는 쿠튀르 뷰티 브랜드 '발렌티노 뷰티'가 정식 런칭되었다. == 국내 매장 및 매출 == || '''연도''' || '''매출''' || '''신장률''' || '''영업이익''' || || 2017 || 332억 || || 8억 || || 2018 || 459억 || || 26억 || || 2019 || 485억 || || 8억 || || 2020 || 387억 || || 41억 || || 2021 || 480억 || || 27억 || || 2022 || 613억 || 28% || 11억 || * [[갤러리아백화점]] ([[갤러리아백화점 명품관|명품관 EAST]][* 여성RTW], [[갤러리아백화점 명품관|명품관 WEST]][* 남성RTW], [[갤러리아백화점 타임월드|타임월드점]][* 충청권 첫 매장으로, 여성RTW는 2층, 남성RTW는 B1층]) * [[신세계백화점]] ([[신세계백화점 본점|본점]], [[신세계백화점 강남점|강남점]],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센텀시티점]][* 여성RTW 1층, 남성RTW 5층], [[대구신세계]], [[신세계백화점 경기점|경기점]], [[대전신세계]]) * [[롯데백화점]] ([[롯데백화점 본점|본점]], [[롯데백화점 잠실점|에비뉴엘 잠실점]], [[롯데백화점 부산본점|부산본점]], [[롯데백화점 동탄점|동탄점]]) * [[현대백화점]] ([[현대백화점 압구정본점|압구정본점]], [[현대백화점 판교점|판교점]], [[더현대 서울]])[* [[현대백화점 부산점]]에도 매장이 있었으나, 2014년에 철수했다.] 2021년부터 매장망을 점차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남성 매장도 점차 늘리는 추세이다. === 슈즈 매장 === * [[갤러리아백화점]] [[갤러리아백화점 명품관|명품관 WEST]] * [[롯데백화점]] [[롯데백화점 본점|본점]] == 앰버서더 == ||<-6> '''Valentino''' || || '''이름''' || '''직업''' || '''국적''' || '''지역''' || '''역임[br]연도''' || '''부문''' || || [[레이디 가가]] || 가수, 배우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5> 글로벌 || 2020.07~ || 뷰티 || || [[플로렌스 퓨]] || 배우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023.05~ || 패션, 뷰티 || || [[손예진]] || 배우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021.03~ || 패션 || || [[슈가(방탄소년단)|슈가]] || 가수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023.01~ || 패션 || || [[양양(배우)|양양]] || 배우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2023.05~ || 패션 || || [[관효동]] || 배우, 모델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2> 중국 || 2021.03~ || 패션 || || 손려 || 배우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2021.03~ || 패션 || || 양쯔 || 배우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글로벌 || 2023. 11~ || 패션 || == 여담 == * 2015년 배우 [[이정재]]와 열애설이 난 [[임세령]][* [[대상그룹|대상홀딩스]] 부회장이다.]이 파파라치에 찍혔을 때 입었던 코트가 발렌티노 제품으로 알려져 이슈가 되기도 했다. 해당 제품은 2014년 pre-fall 제품으로 가격은 400만 원대. [[파일:external/www.fashionn.com/p19alogteb1nrq1jcm1c5uoo15831.jpg|width=500]] * 똑같이 ‘Valentino’라는 브랜드 네임이지만 다른 폰트에 1/10 가격에 퀄리티 낮은 디자인으로 파는 브랜드가 있다. 그냥 단순한 짝퉁으로 여길 수 있지만 사실 이러한 제품들은 '''발렌티노 바이 마리오 발렌티노'''라는 브랜드의 제품으로 여기도 창립자 이름에 발렌티노가 들어간다. 물론 찐 발렌티노의 창립자이자 브랜드명인 발렌티노 가라바니는 이름이고 마리오 발렌티노는 성이다. * 백화점 VIP 카드 할인이 적용 가능한 명품 브랜드중 하나이다. 사실 발렌티노 정도의 명품 브랜드면 VIP 카드 할인이 안되는 경우가 많은데[* 3대 명품 브랜드인 에르메스, 루이 비통, 샤넬은 당연하게 VIP 카드 할인이 제외되며, 크리스챤 디올, 구찌, 프라다, 몽클레르, 펜디, 페라가모 등도 모두 VIP 카드 할인 제외 브랜드이다.], 발렌티노는 적용이 가능하며, 명품 브랜드라 금액대가 고가이다보니 보통 10%를 할인 받는다고 치면 할인 폭도 꽤 크다. * 2020년 7월 [[레이디 가가]]가 발렌티노 뷰티 글로벌 뮤즈와 앰버서더 동시에 임명되었다. *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더 글로리]]》의 악역 [[박연진]]이 작중에서 즐겨드는 가방도 발렌티노다. 락스터드 레더 크로스바디 클러치 백으로 가격은 240만원. [[https://www.news1.kr/articles/?4980697|#]] == 관련 문서 == * [[발렌티노 가라바니]] [[분류:이탈리아의 패션 브랜드]][[분류:명품 패션 브랜드]][[분류:밀라노]][[분류:신발 브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