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발롱도르)] [목차] == 개요 == [[발롱도르]]의 역사를 설명하는 문서. == 역사 == === 1956년: 창설 === [[파일:external/cs411020.vk.me/BDjdhE4CaAI.jpg]] 발롱도르는 1956년에 '유럽 최우수 선수상'으로 창설됐다.[* 때문에 투표 기자단도 유럽인으로 한정돼있었고 지금도 그 전통이 어느정도 이어져 유럽은 전체 각국 53개 기자단이 투표를 하는데 유럽 외 지역은 [[월드컵]]에 출전한적 있는 43개 기자단이 투표를 한다. 따라서 유럽선수나 유럽에 뛰는 선수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하다는 비판과 함께 전 세계를 대표하는 상이 맞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1995년까지도 발롱도르는 유럽인만 받을 수 있었고, 이 제한으로 인해 20세기 축구의 양대 산맥으로 꼽히는 [[펠레]], [[마라도나]]도 발롱도르를 받을 수 없었다.]발롱도르의 창설 이유는 최초 수상자 [[스탠리 매튜스]]가 뛰어난 실력과 업적, [[페어플레이]] 정신[* 현역 생활 33년간 [[옐로카드]] 한 장 받지 않았다.]에도 유달리 상 복이 없었던 것을 아쉽게 여겨 그가 현역으로 뛰고 있는 동안 그에게 최고의 선수라는 타이틀을 달아주기 위해서로 알려져 있다. 의도에 맞게 첫 발롱도르는 47:44의 접전 끝에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를 제친 매튜스에게 돌아갔고, 3위엔 [[레몽 코파]]가 올랐다. === 1995년: 국적 제한 해제 === [[파일:b36fffab0a414195a248e1b76cb8a751.jpg]] 1995년, 발롱도르는 선수의 국적을 불문하는 형태로 변경됐다.[* 다만 [[UEFA]] 소속 클럽의 선수들로 한정된 제한적 확대였다.] 덕분에 [[조지 웨아]]는 최초의 비유럽인 발롱도르 수상자가 되는 영예를 안았고, 현재까지도 유일한 비유럽, 비남미 수상자로 남게 됐다. 또한 1994년까진 후보를 공개하지 않았고 득표자 순위만 공개를 했으나, 1995년부턴 후보 명단을 공개하기 시작했다. === 2007년: 클럽 제한 해제 === 2007년부터 발롱도르는 국적, 팀에 상관 없는 전 세계 대상의 상으로 변경됐고 투표 기자단도 전 세계 기자들로 확장됐다. 수상자는 [[카카]]. === 2008년: 후보 축소 === 후보 수가 50인에서 30인으로 축소됐다. 수상자는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 2010~2015년: [[FIFA 발롱도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IFA 발롱도르)] 2010년부터 2015년까진 발롱도르와 [[FIFA 올해의 선수]]가 통합된 [[FIFA 발롱도르]]가 수여됐다. === [[발롱도르/2018년|2018년]]: 여성 부문, [[코파 트로피]] 신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발롱도르/2018년)] [[발롱도르#s-5.2|여성 발롱도르]]와 [[코파 트로피]]가 신설됐다. 첫 수상자는 각각 [[아다 헤게르베르그]], [[킬리안 음바페]]. === [[발롱도르/2019년|2019년]]: [[야신 트로피]] 신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발롱도르/2019년)] [[야신 트로피]]와 발롱도르 후보 인증서가 생겼다.[[https://instagram.com/p/B5NzQv8IXYX/?utm_source=ig_embed&utm_campaign=embed_video_watch_again|#]] 야신 트로피의 첫 수상자는 [[알리송 베케르]]. === [[발롱도르/시상 논란#s-2.10|2020년]]: 미시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발롱도르/시상 논란, 문단=2.10)] 2020년, 프랑스 풋볼은 최초로 발롱도르 시상식을 개최하지 않았다. === [[발롱도르/2021년|2021년]]: 올해의 팀, [[뮐러 트로피]] 신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발롱도르/2021년)] 시상식이 다시 정상적으로 개최됐고 올해의 팀과 [[게르트 뮐러 트로피]]가 신설됐다. 첫 수상자는 각각 [[첼시 FC]],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 [[발롱도르/2022년|2022년]]: [[소크라치스|소크라테스]]상 신설, 평가 기간 변경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발롱도르/2022년)] 2022년 3월 12일, 프랑스 풋볼은 수상자 평가 기간을 연간에서 시즌으로 변경, 수상 기준도 개인의 성과가 최우선 기준이며 팀 성과, 선수 클래스, [[페어플레이]] 등은 개인 성과보다 후순위로 밀린다고 발표했다. [[발롱도르/시상 논란|결과에 지속적으로 논란이 발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시상식은 9월이나 10월에 열릴 확률이 높아졌고 투표에 참여하는 기자단의 규모[* 남자부는 기존 170명의 기자단 투표를 [[FIFA 랭킹]] 기준으로 100명으로 줄였고 여자부도 FIFA랭킹 50위 국가의 기자까지만 투표권을 준다.]도 축소된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417&aid=0000793594|#]] 예상대로 시상식은 10월에 개최됐고, 2022년 발롱도르의 평가 기준은 2022년이 아닌 2021-22 시즌이 됐다. 또한 사회공헌에 힘쓴 선수에게 수여되는 [[소크라치스|소크라테스]]상이 신설, 첫 수상자는 [[사디오 마네]]가 됐다. === [[발롱도르/2023년|2023년]]: 올해의 팀 분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발롱도르/2023년)] 올해의 팀이 남성 올해의 팀과 여성 올해의 팀으로 분리됐고, 수상은 각각 [[맨체스터 시티 FC]], [[FC 바르셀로나 페메니]]에 돌아갔다. === [[발롱도르/2024년|2024년]]: [[UEFA 클럽 풋볼 어워드]] 흡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발롱도르/2024년)] 2023년 11월 2일, 2024년부터 프랑스풋볼은 [[UEFA]]와 발롱도르 시상식을 공동 주최한다고 발표했다. 사실상 [[UEFA 클럽 풋볼 어워드]]가 발롱도르 시상식에 흡수되는 형태다. UEFA 올해의 선수는 더 수여되지 않고, 남자 감독상과 여자 감독상이 발롱도르에 추가된다고 하며, 발롱도르 시상 기준은 동일하다고 한다. == [[발롱도르/역대 시상식|역대 시상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발롱도르/역대 시상식)] === 역대 수상자 === ==== 남성 ==== || '''연도''' || '''수상자''' || '''클럽''' || '''국적''' || || 1956 || [[스탠리 매튜스]] || [[블랙풀 FC]] || [[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 || 1957 ||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3> [[레알 마드리드 CF]] || [[프랑코 정권|[[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width=30]]]][* 원래 [[아르헨티나인]]이나 스페인으로 귀화했다.] || || 1958 || [[레몽 코파]]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 || 1959 ||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2> [[프랑코 정권|[[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width=30]]]] || || 1960 || [[루이스 수아레스(1935)|루이스 수아레스]] || [[FC 바르셀로나]] || || 1961 || [[오마르 시보리]] || [[유벤투스 FC]]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원래 아르헨티나인이나 이탈리아로 귀화했다.] || || 1962 || [[요제프 마소푸스트]] || [[FK 두클라 프라하]] || [[체코슬로바키아|[[파일:체코 국기.svg|width=30]]]] || || 1963 || [[레프 야신]][* 유일한 [[골키퍼]] 수상자] || [[FC 디나모 모스크바]] || [[소련|[[파일:소련 국기.svg|width=30]]]] || || 1964 || [[데니스 로]]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스코틀랜드|[[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30]]]] || || 1965 || [[에우제비우]] || [[SL 벤피카]] ||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 1966 || [[바비 찰튼]]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 || 1967 || [[플로리안 알베르트]] || [[페렌츠바로시 TC]] || [[헝가리|[[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30]]]] || || 1968 || [[조지 베스트]]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북아일랜드|[[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width=30]]]] || || 1969 || [[잔니 리베라]] || [[AC 밀란]]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 1970 || [[게르트 뮐러]] || [[FC 바이에른 뮌헨]] || [[서독|[[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 1971 || [[요한 크루이프]] || [[AFC 아약스]] || [[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 1972 || [[프란츠 베켄바워]][* 최초의 [[수비수]] 수상자] || [[FC 바이에른 뮌헨]] || [[서독|[[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 1973 ||<|2> [[요한 크루이프]] ||<|2> [[FC 바르셀로나]] ||<|2> [[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 [[발롱도르/1974년|1974]] || || 1975 || [[올레흐 블로힌]] || [[FC 디나모 키이우]] || [[소련|[[파일:소련 국기.svg|width=30]]]] || || 1976 || [[프란츠 베켄바워]] || [[FC 바이에른 뮌헨]] || [[서독|[[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 1977 || [[알란 시몬센]] ||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 [[덴마크|[[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30]]]] || || 1978 ||<|2> [[케빈 키건]] ||<|2> [[함부르크 SV]] ||<|2> [[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 || 1979 || || 1980 ||<|2>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2> [[FC 바이에른 뮌헨]] ||<|2> [[서독|[[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 1981 || || 1982 || [[파올로 로시]] ||<|4> [[유벤투스 FC]]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 1983 ||<|3> [[미셸 플라티니]][* 최초 3년 연속 수상. [[리오넬 메시]]의 2009~2012년 4년 연속 수상 이전 최고 기록으로, 현재도 메시와 함께 유이한 3년 연속 수상자다.] ||<|3>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 || 1984 || || 1985 || || 1986 || [[이고리 벨라노프]] || [[FC 디나모 키이우]] || [[소련|[[파일:소련 국기.svg|width=30]]]] || || 1987 || [[루드 굴리트]] ||<|3> [[AC 밀란]] ||<|3> [[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 1988 ||<|2> [[마르코 반 바스텐]] || || 1989 || || 1990 || [[로타어 마테우스]]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 1991 || [[장피에르 파팽]]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 || [[발롱도르/1992년|1992]] || [[마르코 반 바스텐]] || [[AC 밀란]] || [[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 1993 || [[로베르토 바조]] || [[유벤투스 FC]]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 1994 ||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 [[FC 바르셀로나]] || [[불가리아|[[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30]]]] || || 1995 || [[조지 웨아]][* 최초의 비[[유럽]] 수상자, 유일한 비유럽, 비[[남미]] 수상자.] || [[AC 밀란]][* [[PSG]]에서의 활약으로 수상했지만 여름 이적시장에서 이적해 수상 당시 소속팀은 [[AC 밀란]]이었다.] || [[라이베리아|[[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width=30]]]] || || 1996 || [[마티아스 자머]][* 두번째 수비수 수상자]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 1997 || [[호나우두]][* 역대 최연소 수상자(21세 95일), 최초 남미 수상자]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 1998 || [[지네딘 지단]] || [[유벤투스 FC]]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 || 1999 || [[히바우두]] || [[FC 바르셀로나]]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 2000 || [[루이스 피구]] || [[레알 마드리드 CF]] ||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 2001 || [[마이클 오언]] || [[리버풀 FC]] || [[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 || 2002 || [[호나우두]] || [[레알 마드리드 CF]]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 2003 || [[파벨 네드베드]] || [[유벤투스 FC]] || [[체코|[[파일:체코 국기.svg|width=30]]]] || || 2004 || [[안드리 셰브첸코]] || [[AC 밀란]] || [[우크라이나|[[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 || 2005 || [[호나우지뉴]] || [[FC 바르셀로나]]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 2006 || [[파비오 칸나바로]][* 세번째 수비수 수상자. 이전 수비수 수상자 [[프란츠 베켄바워]]와 [[마티아스 자머]]는 모두 [[스위퍼]]였고 [[수비형 미드필더]]로 뛴 적이 있기에 유일한 [[스토퍼]] 및 순수 수비수 수상자다.] || [[레알 마드리드 CF]][* 유벤투스에서의 활약으로 수상했지만 여름 이적시장에서 이적해 수상 당시 소속팀은 레알 마드리드였다.]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 2007 || [[카카]] || [[AC 밀란]]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 2008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 2009 ||<|4> [[리오넬 메시]][* 최초 4년 연속 수상. 메시는 2009년에 발롱도르와 FIFA 올해의 선수를 모두 수상했기에 4년 연속 수상이란 표현에 하자가 없다.] ||<|4> [[FC 바르셀로나]] ||<|4> [[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 [[FIFA 발롱도르|2010]] || || [[FIFA 발롱도르|2011]] || || [[FIFA 발롱도르|2012]] || || [[FIFA 발롱도르|2013]] ||<|2>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2> [[레알 마드리드 CF]] ||<|2>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 [[FIFA 발롱도르|2014]] || || [[FIFA 발롱도르/2015년|2015]] || [[리오넬 메시]] || [[FC 바르셀로나]] || [[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 2016 ||<|2>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3> [[레알 마드리드 CF]] ||<|2>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 2017 || || [[발롱도르/2018년|2018]] || [[루카 모드리치]][* 2008년부터 이어진 [[메날두]]의 발롱도르 독식을 끊었다.] || [[크로아티아|[[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30]]]] || || [[발롱도르/2019년|2019]] || [[리오넬 메시]] || [[FC 바르셀로나]] || [[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 [[발롱도르/시상 논란#s-2.10|2020]] ||<-3> [[코로나19]]로 인한 시상 취소[* [[FC 바이에른 뮌헨]] 소속으로 [[트레블]]과 [[득점왕]] 트레블을 달성한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의 수상이 확정적이었으나 [[코로나]]로 인해 [[발롱도르/시상 논란#s-2.10|주최측이 시상을 취소했다.]]] || || [[발롱도르/2021년|2021]] || [[리오넬 메시]] || [[파리 생제르맹 FC]][* 바르셀로나에서의 활약으로 수상했지만 여름 이적시장에서 이적했기에 수상 당시 소속팀은 PSG였다.] || [[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 [[발롱도르/2022년|2022]] || [[카림 벤제마]] || [[레알 마드리드 CF]]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 || [[발롱도르/2023년|2023]] || [[리오넬 메시]][* 최초의 비유럽팀 수상자] || [[인터 마이애미 CF]] || [[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2008년]]부터 [[발롱도르/2017년|2017년]]까지 무려 10년간 [[메날두]]가 발롱도르를 양분했다. 둘다 [[2011년]]부터 2017년까지 2위 밑으로 떨어진 적이 없고, [[2007년]]에도 둘다 [[포디움]]에 들었으니 10년 넘게 세계 최고의 기량을 유지했다고 볼 수 있다. 심지어 메시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2위 이상을 기록했다. [[모드리치]]가 [[발롱도르/2018년|2018년 발롱도르]]를 수상해[* 이땐 호날두가 2위, 메시가 5위를 기록했다.] 독식이 끊겼지만, 모드리치도 [[레알 마드리드 CF]]소속이기에 10년간 [[엘 클라시코|두 팀]]이 발롱도르를 휩쓸었다. 심지어 포디움에 든 선수조차 두 팀을 제외하면 [[2013년]] [[프랑크 리베리]]의 3위, [[2014년]] [[마누엘 노이어]]의 3위, [[발롱도르/2019년|2019년]] [[버질 판데이크]]의 2위,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의 3위로 단 4명에 불과하다. 또한 호날두와 5개 동률을 이루던 메시가 2019, [[발롱도르/2021년|2021]], [[발롱도르/2023년|2023년]] 수상으로 역대 최다인 8회 수상을 달성, 이들 밑엔 각각 발롱도르를 3번 수상한 3명의 선수[* [[미셸 플라티니]], [[요한 크루이프]], [[마르코 반 바스텐]].]가 있다. [[2005년]]부터 2019년까지 [[FIFA 올해의 선수]]와 수상자가 일치했고[* 때문에 2019년에 메시가 [[버질 반 다이크]]를 누르고 FIFA 올해의 선수를 수상하자 많은 사람들이 반 다이크보다 메시의 발롱도르 수상 확률을 더 높게봤고, 실제로 메시가 수상했다.], 2018년 [[모드리치]]를 제외하면 2007년부터 2019년까지 [[UEFA 챔피언스 리그]] [[득점왕]]이 FIFA 올해의 선수와 발롱도르를 모두 수상했으나[* [[UEFA 챔피언스 리그/2019-20 시즌|2019-20 시즌 챔피언스리그]] 득점왕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는 [[코로나19]]로 시상식이 개최되지 않아 발롱도르는 받지 못했지만 [[더 베스트 FIFA 풋볼 어워드]]가 정상적으로 개최돼 FIFA 올해의 선수는 받았다.][* [[장지현]] 해설위원은 '세계축구의 경쟁력을 집대성한 무대가 유럽축구고, 챔피언스리그는 그 중에서도 최고의 별들이 나서는 대회'라며 '4년 주기로 열리는 [[월드컵]]이 최고의 권위를 가진 대회이긴 하지만 매 시즌 진행하는 데다 관심 면에서도 월드컵 다음인 만큼 이 대회에서 득점왕이 되어 '당대 최고 골잡이'를 입증한 선수가 최고의 축구선수로 주목받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했다.], 2021년엔 수상자가 갈려 기록이 끊겼다.[* 챔스 득점왕은 [[엘링 홀란드]]가, 발롱도르는 메시가, FIFA 올해의 선수는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가 수상했다. FIFA 올해의 선수 투표기간이 발롱도르 투표기간보다 늦었기에 [[리오넬 메시/2021-22 시즌|2021-22 시즌 초반 메시의 기대 이하의 활약]]이 발롱도르엔 상대적으로 덜 반영됐기 때문. 거기에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FC 바이에른 뮌헨#s-9|레반도프스키가 2021년에도 대단한 모습을 보여줬으니.]]] ==== 여성 ==== ||
'''연도''' || '''수상자''' || '''클럽''' || '''국적''' || || 2018 || [[아다 헤게르베르그]] || [[올랭피크 리옹 페미닌]] || [[노르웨이]] || || 2019 || [[메건 라피노]] || [[OL 레인]] || [[미국]] || || 2020 ||<-3> [[코로나19]]로 인한 시상 취소 || || 2021 ||<|2> [[알렉시아 푸테야스]] ||<|3> [[FC 바르셀로나 페메니]] ||<|3> [[스페인]] || || 2022 || || 2023 || [[아이타나 본마티]] || 2018년부터 프랑스 풋볼은 '발롱도르 페미닌'이란 이름으로 한 해 여자 축구 최고의 선수에게도 발롱도르를 수여하고 있다. ==== [[트로페 코파]] ==== ||
'''{{{#c18e33 연도}}}''' || '''{{{#c18e33 수상자}}}''' || '''{{{#c18e33 소속팀}}}''' || '''{{{#c18e33 국적}}}''' || || 2018 || [[킬리안 음바페]] || [[파리 생제르맹 FC]]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 || 2019 || [[마테이스 더리흐트]] || [[유벤투스 FC]] || [[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 2020 ||<-3> [[코로나19]]로 인한 시상 취소 || || 2021 || [[페드리]] || [[FC 바르셀로나]] ||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 || 2022 || [[가비(2004)|가비]] || [[FC 바르셀로나]] ||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 || 2023 || [[주드 벨링엄]] || [[레알 마드리드 CF]] || [[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 2018년에 창설한 그 한해 최고의 활약을 보인 21세 이하 축구 선수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이름의 유래는 스타드 드 랭스와 레알 마드리드에서 활약한 프랑스인 공격형 미드필더 레몽 코파이다. ==== [[트로페 야신]] ==== ||
<:> '''{{{#c18e33 연도}}}''' ||<:> '''{{{#c18e33 수상자}}}''' ||<:> '''{{{#c18e33 소속팀}}}''' ||<:> '''{{{#c18e33 국적}}}''' || || 2019 || [[알리송 베케르]] || [[리버풀 FC]]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 2020 |||||| 수상자 없음 || || 2021 || [[잔루이지 돈나룸마]] || [[파리 생제르맹 FC]]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 2022 || [[티보 쿠르투아]] || [[레알 마드리드 CF]] || [[벨기에|[[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 || 2023 || [[에밀리아노 마르티네스]] || [[아스톤 빌라 FC]] || [[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2019년에 창설한 한해 최고의 활약을 보인 [[골키퍼]]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이름의 유래는 소련 출신의 전설적인 골키퍼 [[레프 야신]]이다. ==== [[트로페 게르트 뮐러]] ==== ||
'''{{{#c18e33 연도}}}''' || '''{{{#c18e33 수상자}}}''' || '''{{{#c18e33 소속팀}}}''' || '''{{{#c18e33 국적}}}''' || || 2021 ||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당시의 상 명칭은 '올해의 스트라이커상'이다.] || [[FC 바이에른 뮌헨]] || [[폴란드|[[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5]]]] || || 2022 ||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 [[FC 바르셀로나]] || [[폴란드|[[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5]]]] || || 2023 || [[엘링 홀란드]] || [[맨체스터 시티 FC]] || [[노르웨이|[[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5]]]] || 2022년에 창설된 한해 가장 골을 많이 넣은 축구 선수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이름의 유래는 [[독일]]과 [[바이에른 뮌헨]] 역사상 최고의 [[중앙 공격수|스트라이커]]인 [[게르트 뮐러]]이다. 2020년 발롱도르 시상식이 취소되어 당시 남성 발롱도르 수상이 매우 유력한 후보였던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의 수상이 무산되면서 이를 위로하기 위해 만든 상이 아니냐는 의혹이 있다. ==== 소크라테스상 ==== ||
'''{{{#c18e33 연도}}}''' || '''{{{#c18e33 수상자}}}''' || '''{{{#c18e33 소속팀}}}''' || '''{{{#c18e33 국적}}}''' || || 2022 || [[사디오 마네]] || [[리버풀 FC|[[파일:리버풀 FC 로고.svg|width=25]] 리버풀 FC]] || [[세네갈|[[파일:세네갈 국기.svg|width=25]]]] || || 2023 ||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 [[레알 마드리드 CF|[[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width=25]] 레알 마드리드 CF]]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5]]]] || [[분류:발롱도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