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0년 철도사고]][[분류:탈선 사고]][[분류:강서구(서울)의 사건사고]] [include(틀:사건사고)] ||<-5> '''{{{#white 철도사고 요약도}}}''' || ||<-5>[[파일:5호선탈선.jpg|width=100%]]|| ||<-2> '''발생일''' ||<-3> [[2020년]] [[5월 24일]] 오전 1시 40분경 || ||<-2> '''유형''' ||<-3> 열차탈선 || ||<-2> '''원인''' ||<-3> 회송열차의 궤도이탈 || ||<-2> '''발생 위치''' ||<-3>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 지하 267[br][[발산역]] || ||<-2> '''중단 구간''' || [[방화역]]~[[화곡역]] || ||<-2> '''탑승인원''' || 승무원 2명 || ||<|4> '''피해''' || '''인명''' || 없음 || || '''차량''' ||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전동차]] 1편성 폐차 || || '''시설''' || [[스크린도어]], [[광케이블]], [[승강장]] 파손. || || '''기타''' || 방화~화곡 구간 임시수송버스([[셔틀버스]]) 운행 || ||<-2> '''운영기관''' ||<-3> [[서울교통공사]] || ||<|5> '''사고열차''' || '''열차편성''' ||<-2>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s-4.1|518편성]][* 해당 사고 차량은 결함으로 인해 2017년부터 영업에서 배제되어 휴차 중이던 차량이다.] || || '''사고화차''' || - || || '''동력차''' || 5318호 || || '''운행 재개일''' || 당일 오후 12시 50분경 || [목차] [clearfix] == 사고 개요 == [youtube(Rc9TQ5OXB6c)] [[2020년]] [[5월 24일]] 새벽 1시 40분경 [[수도권 전철 5호선]] [[발산역]]에서 발생한 탈선 사고. == 사고 진행 == 518편성이 [[고덕기지]]에서 점검을 받고 [[방화기지]]로 회송하다가 새벽 1시 40분경 [[발산역]] 진입 도중 사고가 났는데 스크린도어 유리와 역사 승강장 진입 부분이 크게 파손되었다. [[2020년]] [[5월 24일]] [[고덕차량사업소]]에서 점검을 받고 [[방화차량사업소]]로 회송 중이던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518편성]]이 발산역을 새벽 1시 40분경 통과하던 중 탈선하여 [[방화역|방화]]~[[화곡역|화곡]]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이로 인해 발산역의 승강장과 [[스크린도어]] 일부가 파손되었다.[[https://m.blog.naver.com/tnrgusgp7/221976530270|#]] 다행히 새벽이라 인명 피해가 없었지만 568편성이 518편성을 끌고 가다가 5호차 앞쪽 대차가 탈선하고 이를 인식한 기관사가 급제동을 작동시키자 연이어 3~4호차도 탈선했다고 하며 해당 차호는 5318호다. 이후 탈선된 차량을 1~3호차, 4~8호차로 나눠 각각 1~3호차는 567편성으로, 4~8호차는 568편성으로 구원 연결해 회송하였으나 1~3호차를 567편성이 밀고 가다가 발산역을 조금 못 가 다시 탈선하여 사고 발생 12시간 후인 12시 50분경에 복구가 완료되었다. 방화역에서 화곡역까지는 임시수송버스 11대를 투입해서 운행하였으며 광케이블이 망가지고 승강장의 철근이 드러날 정도로 파손되는 피해가 생겨 방화 방면의 파손된 스크린도어는 모두 떼어냈다. 복구까지는 약 3개월이 걸린다고 하며[* 더 걸릴 수도 있다.] 스크린도어 재설치가 이루어질 예정으로 전해졌다. 이것 때문에 발산역에 정/발차 하는 방화행 열차가 전부 서행운전하기도 했는데 하루에 3만여명이 넘는 사람이 이용하는 만큼 사회복무요원과 안전요원을 배치해서 안전에 신경썼다. 현재는 재설치가 완료되어서 작동하고 있다. == 사고 원인 == 사고 발생 초기에는 차량 노후화와 결함으로 인한 가능성을 원인으로 지목했다.[[http://www.pmnews.co.kr/101825|#]] 약 1년 뒤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에서 작성한 [[http://araib.molit.go.kr/USR/BORD0201/m_34513/DTL.jsp?id=araib0306&cate=&mode=view&idx=246234&key=&search=&search_regdate_s=&search_regdate_e=&order=&desc=asc&srch_prc_stts=&item_num=10&search_dept_id=&search_dept_nm=&srch_usr_nm=N&srch_usr_titl=Y&srch_usr_ctnt=N&srch_mng_nm=N&old_dept_nm=&search_gbn=&search_section=&source=&search1=&lcmspage=1|최종 사고 보고서]]에 따르면 사고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장기간 방치되어 공기 스프링이 기능을 상실한 상태 * 제동력, 공기 스프링 기능이 없는 무동력 상태로 견인 * 발산역 인근 하구배(아래쪽 경사)에서 제동 취급으로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은 고장 차량에서 탈선 발생 * PSD 이상 코드 발생후 육안 확인 없이 차량 발차로 PSD 추가 손상 발생 == 기타 == 대체수송으로 [[셔틀버스]] 11대가 방화~화곡 구간을 운행하였다. 탑승 장소는 각각 방화역 2·3번 출구, 개화산역 2번 출구,김포공항역 1번 출구, 송정역 1·4번 출구, 마곡역 1·6번 출구, 발산역 7·9번 출구, 우장산역 1·3번 출구, 화곡역 1·8번 출구 등에서 승/하차가 이루어졌다. 2022년 4월 기준으로 사고 발생으로부터 18개월 가량이 지나고 518편성은 5018호가 529편성의 5029호가 화재로 사용 불능 상태가 되어 529편성[* 기존 붙어 있던 5018 블록 패찰의 1과 8을 5029호의 2, 9를 붙이고 내부 편성번호도 5029호 스티커로 붙어 있다. 그 흔적으로 블록 패찰은 땜질한 흔적과 보라색 라인이 다른 차량보다 진하다는걸 볼수 있다.]에 조립되어 운행하고 있으며 남은 518편성의 7량과 구 5029호는 2022년 1월에 폐차매각되어 차적에서 완전히 삭제되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발산역, version=215, paragraph=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