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e54b4, #7e80cb, #85bdd6)" {{{#faf2ff '''1st KR Original Digital Single'''[br]{{{+2 '''밤비'''}}}}}}}}} || ||||<#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다즈비 밤비 (Bambi).jpg|width=100%]]}}} || || '''아티스트''' || [[다즈비]] || || '''발매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 [[2022년]] [[10월 11일]] || || '''러닝타임''' || 6:46 || || '''발매사''' || [[드림어스컴퍼니]] || || '''기획사''' || 액셀러즈 || || '''곡 수''' || 2곡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우타이테]] [[다즈비|다즈비(DAZBEE)]]의 싱글. 다즈비가 처음으로 발매한 한국어 오리지널 곡으로, 2022년 10월 11일 발매되었다. [[유키카]]의 [[네온(NEON)]]을 프로듀싱했던 작곡 팀인 [[오레오(프로듀싱팀)|오레오]]가 소속되어있는 [[페이퍼메이커]] 소속 작곡진들이 작곡을 맡았으며, 공교롭게도 두 곡 모두 [[DJMAX RESPECT V]]에 수록되었다. == 수록곡 == ||<-5>
'''Track List''' || || '''트랙''' || '''곡명''' || '''작사''' || '''작곡''' || '''편곡''' || || '''1''' || '''밤비''' || [[임수호]], N!ko, 림고 ||<|2><-2> [[임수호]], [[웅킴]], N!ko || || 2 || 밤비 (Inst.) || || == 뮤직비디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xxRAez0bqA)]}}}|| == 가사 == ||
[br]못 믿겠지만 우린 아마도 연결돼 있었나 봐, 느껴 난 알 수 없는 떨림에 널 찾곤 해 좁혀지지 않는 선 그 사이에 Like a deja vu 긴 속삭임을 던져, 들리니 조금씩 가까워져 더 당겨져 별들도 우릴 비춰 이 밤에 Love to dance 밤에 비친 흔들리는 타이밍 나의 손을 잡아봐 밤비 평행선 사이 겹쳐지는 타이밍 밤비에 밤비에 톡톡톡 젖어가 불이 꺼진 도시에 둘만의 공간 리듬 속에 흐르는 조금의 엇갈림 톡 하고 떨어진 빗방울이 내 어질어질해진 새벽을 깨워 Like a jamais vu 익숙한 풍경 모두 새로워 잠시만 머물러줘 손잡아 줘 어제완 또 다른 이 순간에 Love to dance 밤에 비친 흔들리는 타이밍 나의 손을 잡아봐 밤비 평행선 사이 겹쳐지는 타이밍 밤비에 밤비에 톡톡톡 젖어가 멈춰버린 시간 황홀한 춤과 잦아드는 비와 흩날리는 새벽의 새벽의 그림자 흐린 도시 속에 별빛 끝나지 않을 듯 잠 못 드는 날의 우리 Oh 밤비 기다렸지 너를 만날 타이밍 경계선을 따라가 밤비 평행선 사이 겹쳐지는 타이밍 밤비에 밤비에 톡톡톡 젖어가 이 빗속을 걸어가 톡톡톡 톡톡톡 젖어 들어가 [br] || == [[DJMAX 시리즈]] 수록 (DJMAX Edit) ==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MLTcroSwis)]}}} || ||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EXTENSION 3 (2022)}}} || || {{{-1 '''장르'''}}} ||{{{-1 POP}}} || || {{{-1 '''BPM'''}}} ||{{{-1 120}}} || || {{{-1 '''작곡'''}}} ||{{{-1 임수호, N!ko, 웅킴}}} || || {{{-1 '''작사'''}}} ||{{{-1 임수호, N!ko, 림고}}} || || {{{-1 '''편곡'''}}} ||{{{-1 임수호, N!ko, 웅킴, [[Memme]]}}} || || {{{-1 '''보컬'''}}} ||{{{-1 [[다즈비|다즈비(DAZBEE)]][* 보컬인 다즈비 명의로 수록되었다.]}}} || || {{{-1 '''BGA'''}}} ||{{{-1 [[https://www.youtube.com/@PEPPERCONPANNA|PEPPER CONPANNA]] / Tranquillo}}} || 이후 [[DJMAX RESPECT]]의 V EXTENSION 3 DLC에 [[Memme]]가 DJMAX 전용 버전으로 편곡한 DJMAX Edit가 수록되었다. 오리지널 악곡은 아니지만 사실상 Memme의 첫 DJMAX 시리즈 참여라고 볼 수 있는 곡이다. 2절 부분이 커팅되고 리듬 게임에 적합하도록 많은 세션과 효과음들이 추가되었다. 다만 후반부 후렴 돌입 직전 등장하는 드럼 사운드가 원곡과는 꽤 다른 느낌으로 크게 강조되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살짝 껄끄러움을 느낀다는 평가도 일부 존재한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EXTENSION 3)]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밤비 (Bambi) - DJMAX Edit -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9237ff 0%, #9237ff 15%, #7527ec 15%, #7527ec 29%, #9237ff 29%, #9237ff 38%, #7527ec 38%, #7527ec 52%, #9237ff 52%, #9237ff 61%, #7527ec 61%, #7527ec 75%, #9237ff 75%, #9237ff 100%)" '''{{{#040008 V EXTENSION 3}}}'''}}} || ||<-4>'''{{{+5 밤비}}}{{{+5 (Bambi)}}} {{{+1 - DJMAX Edit -}}}'''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26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47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905}}}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225}}}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30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6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748}}}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326}}}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5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5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940}}}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7'''}}} [br] {{{-5 1237}}}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4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63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883}}}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6'''}}} [br] {{{-5 1017}}}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91f7b, #3b27b6)"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atCc3znepU)]}}}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boV_PWdygg)]}}}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OBNSPYA6rA)]}}}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tz0p304UE8)]}}} ||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gXpluL-QaU)]}}}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4ijRiKfEsc)]}}}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WzCHQOZBK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aN5_lH4cJY)]}}} || 5B SC는 가변을 활용해야 하는 레이저 구간이 종종 섞여있고, 무엇보다 후렴부터 시작해서 곡 내내 등장하는 '''빠른 계단 이후 곧바로 이어지는 동시치기 형식의 드르륵 패턴'''이 상당히 까다롭다. 정확하게 처리하려면 손을 계속 바꿔주는 게 나은데, 정말 곡 내내 등장하기 때문에 일일이 바꿔주는 것 또한 까다롭고, 그렇다고 원핸드로 밀고 나가기엔 판정이 말리기 십상이라 스코어링 면에서는 거의 11레벨 이상의 곡들을 상회할 정도로 어렵다. 하프랜덤 옵션을 걸면 비교적 판별하기 쉽고 정확도도 올릴 수 있는 할만한 패턴이 되지만, 최후반부 후렴구의 난이도는 더 어려워지기 때문에 이 점은 고려를 해야 한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llSYhJWijQ)]}}}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4mcQAM8OM)]}}}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BUj1P1e10k)]}}}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iig12C989I)]}}} || 6B SC는 계단이 질릴 만큼 등장한다. 빠르기도 각기 다르게 내려오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f_t9AYUxe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T28mKmdvgU)]}}}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Z-86iPDgZg)]}}}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DaUyxE5Vjk)]}}} || 8B SC는 타 버튼의 SC 패턴에 비해 패턴 자체가 상당히 단순하게 짜여진 경향이 있다. 패턴 리딩도 어렵지 않고 드르륵 또한 2345 계단 형식으로 처리하기 쉽게 나오기 때문에 8버튼 연습곡으로 활용하기 쉽다. 다만 중후반의 트리거 연타 발광 구간은 주의. [[분류:다즈비]][[분류:2022년 싱글]][[분류:디지털 싱글]][[분류:한국의 음반]][[분류:우타이테 오리지널 곡]][[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