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방글라데시의 대외관계)] [include(틀:카타르의 대외관계)]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100%]]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100%]] || || [[방글라데니|{{{#ffffff '''방글라데시'''}}}]] || [[카타르|{{{#FFFFFF '''카타르'''}}}]] || [목차] [clearfix] == 개요 == [[방글라데시]]와 [[카타르]]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양국은 영국의 지배 이후 독립하였고, 팔레스타인을 지지하고 이스라엘을 규탄하는 공통점이 있다. 양국은 [[이슬람 협력기구]]의 회원국들이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양국은 [[영국]]의 지배를 받은 이후 독립하였으며, 방글라데시는 동파키스탄으로 부터 독립하여 오늘날 방글라데시가 세워졌다. 이후 카타르를 비롯한 걸프 아랍국가들은 경제적 상황이 좋지 못한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등지에서 물자지원을 약속하여 많은 근로자를 수용하기 시작했다. === 21세기 === ==== 2010년대 ==== 2010년도 이후부터 카타르에 거주하는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네팔, 인도, 스리랑카 출신 근로자의 6,751명이 사망했다고 한다.[[https://n.news.naver.com/sports/wfootball/article/005/0001563520|#]] 2015년 6월 1일, 카타르의 군 관계자가 미국에서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국적 노동자를 혹사시킨 혐의로 법정에 섰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6555772?sid=104|#]] ==== 2020년대 ==== 2020년 초부터 [[코로나19]] 팬데믹이 전세계로 퍼지며 양국에서 확진자가 크게 발생하는 등 큰 피해가 생겼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9928297?sid=104|#]] 2022년 카타르 월드컵 개최에서 파키스탄 및 방글라데시 등지에서 외국인노동자틀 혹사시키는 이유로 논란이 되기 시작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087835?sid=102|#1]][[https://n.news.naver.com/article/469/0000708808?sid=104|#2]][[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533932?sid=104|#3]] 8월 14일, 카타르의 외국인 노동자의 임금체불 시위로 방글라데시 및 타 국가의 근로자들이 강제추방 당했다고 전해졌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391703?sid=104|#]] 카타르에서 근무중이던 방글라데시 노동자는 열악한 환경에서 일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566035?sid=104|#]] 9월 28일, 덴마크 축구협회는 카타르에서 사망한 방글라데시 및 파키스탄 근로자를 추모하기 위해 검은색 유니폼을 발표하였다.[[https://n.news.naver.com/article/469/0000699594?sid=104|#]] == 경제 교류 == 양국은 [[AIIB]]에 가입돼 있다. 2017년 9월, 방글라데시는 카타르 가스를 수입하기로 합의했다.[[http://www.e-platform.net/news/articleView.html?idxno=45058|#]] == 문화 교류 == 양국은 문화 교류가 활발한 편이다. 방글라데시는 [[아랍어]]가 주요 외국어이며 카타르에는 방글라데시인 공동체가 존재한다. 양국은 대다수의 주민들이 [[이슬람교]]를 믿으며 종파에서 [[순니파]]에 속해 있지만, 방글라데시가 세속경향이 강한 반면[* 돼지고기 정육점이 따로 존재한다.], 카타르는 [[이슬람 근본주의]] 경향이 강한 면이 있어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방글라데시인 공동체의 영향으로 [[벵골어]] 화자들이 카타르에 존재하며 [[방글라데시 요리]]를 판매하는 식당이 존재한다. === 스포츠 === 카타르는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위해 오만, 인도, 방글라데시, 아프가니스탄과 조별 예선을 치루었다.[[https://sports.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6432069|#]] 2018년 8월 20일, 방글라데시 축구팀은 카타르 대표팀을 격파하여 아시안컵 16강에 진출했다.[[https://n.news.naver.com/sports/kfootball/article/468/0000417959|#]] 2020년 12월 5일, 카타르 축구팀이 방글라데시 축구팀과의 경기에서 승리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1&aid=0012061665|#]] == 갈등 == 경제적으로 상황이 좋지 않은 방글라데시는 카타르로 많은 근로자를 보내고 있지만 이와 달리, 수니파가 주류인 카타르의 아랍인들은 같은 수니파가 주류인 방글라데시 출신 근로자들을 이단자 취급하며, 이로인한 인종차별 문제는 매우 심각하다. 카타르에 근무중인 방글라데시의 많은 근로자는 카타르의 고용주에 의해 반나절 이상의 중노동에 시달리거나 여권을 뺏기고 온갖 구박 및 핍박을 받는 등의 문제가 심각한 편이다. == 대사관 == [[다카(방글라데시)|다카]]에는 주방글라데시 카타르 대사관, [[도하]]에는 주카타르 방글라데시 대사관이 있다. == 관련 기사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087835?sid=102|"카타르 이주노동자, 취업알선료로 10년간 수십억달러 뜯겨"]] - 연합뉴스 == 관련 문서 == * [[방글라데시/외교]] * [[카타르/외교]] * [[이슬람 협력기구]] * [[카타르/외국인 노동자 문제]] * [[방글라데시/경제]] * [[카타르/경제]] * [[방글라데시인]] / [[벵골인]] / [[걸프 아랍인|카타르인]] * [[벵골어]] / [[아랍어]] / [[이슬람교]] / [[순니파]]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남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서아시아 국가]] [각주] [[분류:방글라데시의 대국관계]][[분류:카타르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