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지질학]] [목차] == 개요 == 암석이 지각변동에 의하여 힘을 받을 때, 두 방향 또는 여러 방향의 절리들이 교차하여 거대한 장방형이나 육면체로 잘리게 되는 암석 사이의 틈을 말한다. == 상세 == 절리는 암석이 지각변동에 의하여 압축력 또는 장력을 받을 때나 화성암이 냉각·수축할 때 생긴 틈을 말하며, 갈라진 두 암체에 극히 적은 이동이나 아무런 이동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절리에는 일반적으로 육각기둥모양으로 아래로 쪼개지는 주상절리(현무암), 얇은 널판같이 옆으로 쪼개지는 판상절리(안산암, 화강암), 아래와 옆으로 절리가 생겨 육면체로 쪼개지는 방상절리(화강암)가 있다. 두 방향 또는 여러 방향의 절리들이 교차하게 되면 암석들은 거대한 장방형이나 육면체로 잘리게 되어 방상 절리를 만든다. 절리 생성에 작용하는 힘은 다음과 같다. 위에서 내리누르는 지층의 무게로 인하여 생기는 압력은 암석내에 세로 방향의 한 조(組)의 절리를 생성시킨다. 또한, 침식작용 때문에 위에서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서생기는 압력의 감소는 가로 방향의 또 다른 조(組)의 절리를 생성시킬수도 있다. 이렇게 두 방향으로 교차한 절리는 암석을 육면체 모양으로 잘리게 하는데 이것을 방상절리라 한다. 절리의 생성은 암석 내의 지하수의 흐름의 통로가 되기도 하며, 넓어진 표면적으로 인해 풍화 작용이 촉진되는 시발점이 되기도 한다. == 관련 문서 == * [[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