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9%E6%BF%EB%BC%AE.png|width=100%]]}}}|| || '''이름''' || 방용석 || || '''직업''' || 고등학생 || || '''좋아하는 것''' || [[이기영(검정 고무신)|기영이]]와 친구들, 음악, 만화 || || '''싫어하는 것''' || 딱히 없음 || || '''{{{#ffffff 성우}}}''' || [[문관일]] || [목차] == 개요 == [[검정 고무신(애니메이션)|검정 고무신]]의 등장인물. == 상세 == 동네 만화방에 다니는 형. 그래서인지 기영이하고도 많이 친한 듯 하나, [[이기철|기철]]과는 접점이 많지 않아서 불명. [[기타]] 치는 것이 취미인 탓에 음악에 대한 열정이 깊다. 똑같이 기타가 취미인 만화방 아저씨를 여러모로 짜증나게 한다.[* 고리타분한 노래말고 좀 더 품위있는 노래를 부르라며 미국의 록밴드 [[CCR]]의 cotton fields을 즉석에서 불러준다. 기영이가 마치 [[엘비스 프레슬리]]를 보는 것 같다고 하는데 실제 원곡을 부른 가수는 CCR이지 엘비스 프레슬리가 아니다. 그냥 엘비스 흉내만 낸 듯.] 작중 묘사를 보면 노래 실력이 상당하며, 또한 정확하지는 않은 듯 하지만 음대 진학이 꿈인 듯. 텔레비전 사던 날에서 처음 등장하며, 집에 TV가 있는데다 수제 기타를 들고 다니는 것을 보아 부잣집인 듯 하다.[* 만화방 아저씨의 기타를 한번 쳐 보고 싸구려 기타라 음이 안 맞는 것 같다면서 대놓고 [[디스(비판)|디스]]를 하기도 했다. 만화방 전체 다 팔아도 수제 기타는 절대 못 살 거라고 디스한 것은 덤.] 그래서 기영이와 친구들에게 TV를 못봐서 속상해 하는 얼굴들을 보고는 쿨하게 만화표를 나눠주기도...[* 그런데 비겁하게 기철이가 가로채서 TV를 봤는데, 기영이 친구들은 기철이가 준 가짜 만화표에 걸리고 만 것.] 전설의 라면 에피소드 꼬부랑 트위스트에서는 '라면송'을 기영이네 집에 찾아와서 부르기도... 참고로 국내 애니 음악을 거진 독점하다 시피했던 '헐리우드 매너'라는 스튜디오 대표가 [[방용석(작곡가)|방용석]][* '피카츄 라이츄 파이리 꼬부기~'로 시작하는 포켓몬스터 무인편 엔딩 '우리는 모두 친구'를 작곡한 인물이다.]인데, 아마 [[마이콜|이 분]]을 모티브로 만든 캐릭터인 듯 하다. 기영이와 친구들이 [[둘리 일당]]이고 부엉이 만화방 아저씨가 [[고길동]]이라면 이 분은 [[아기공룡 둘리]]의 [[마이콜]] 같은 포지션이다.[* 우연인지 마침 방용석과 마이콜 둘 다 라면을 소재로 한 오리지널 곡을 불렀다.] 할아버지 저금통에서도 등장하여 라면송을 부른다. 이후 등장이 크게 없었으나 극장판에 오프닝에서 노래를 부르며 재등장. 근데 트레이싱인지 3기에서 노래할 때 보인 모습이랑 똑같으며, 새로 그린 그림에는 머리가 없는 등 여러모로 피해를 봤다. 교복 명찰에 간혹가다 방춘석으로 오기되어 나올 때가 있다. 참고로 실존인물인 [[방용석(작곡가)|작곡가 방용석]]은 '''문서에도 나오다시피 검정 고무신의 애니메이션 음악까지 맡았다'''. 고로 저 고등학생은 훗날 작곡가가 된다는 것일지도? 보나마나 제작사 측에서 노린 캐릭터. ~~게다가 생긴 것도 왠지 비슷하다.~~ 여담으로 작곡가 방용석은 1959년생으로 오히려 기영이와 동갑뻘인 반면 검정고무신의 방용석은 1951 ~ 53년 생으로 추정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검정 고무신/등장인물, version=922)] [[분류:검정 고무신/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