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다키스트 던전]]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방패 파괴자)] [include(틀:다키스트 던전)] [include(틀:다키스트 던전/도살자의 서커스 영웅들)] || [[파일:The_Shieldbreaker.png|width=600]] || || {{{+1 {{{#red '''Shieldbreaker''' }}} }}} || [목차] == 개요 == 본 문서는 [[방패 파괴자]]의 도살자의 서커스 버전 성능을 적었다. 기존 켐페인의 [[방패 파괴자]]를 원한다면 이쪽을 참고. == 능력치 == ||<-9> '''{{{#white 기본 능력치}}}''' || || 체력 || 회피 || 방어력 || 명중률 보정 || 치명타 확률 || 공격력 || || 30 || 20 || 0% || 0 || 10% || 8 - 15 || 스탯이 도굴꾼과 거의 동일하다. 차이점은 최대 공격력이 더 높다. 또한 치명타율도 매우 높은 것이 특징. ||<-9> '''{{{#white 저항력}}}''' || || '''{{{#white [[파일:stun.png]]기절}}}''' || '''{{{#white [[파일:move.png]]이동}}}''' || '''{{{#white [[파일:poison.png]]중독}}}''' || '''{{{#white [[파일:bleed.png]]출혈}}}''' || '''{{{#white [[파일:debuff.png]]약화}}}''' || '''{{{#white [[파일:Deathsdoor.png]]죽음의 일격}}}'''|| || 10% || 35% || 10% || 35% || 30% ||<|7> 75% || 원정 때와 마찬가지로 본인이 중독 딜러이면서도 중독 저항율이 매우 낮다. 기절 저항율도 낮아 기절 공격을 회피에 실패하면 거의 무조건 당한다. 이동 가능 범위는 앞 2칸, 뒤 2칸이다. == 스킬 == ||<-8> {{{#white {{{+1 스킬 목록}}}}}} || || [[파일:Shieldbreaker.ability.one.png]] ||<-7> '''{{{#white 찌르기[br](Pierce)}}}''' || || '''레벨''' || '''공격위치''' || '''대상 위치''' || '''스킬 타입''' || '''명중률''' || '''DMG 보정''' || '''CRIT 보정''' || '''특이사항''' || || '''5''' ||<|5> '''{{{#e19b50 ○ ● ● ●}}}''' ||<|5> '''{{{#red,#ff0000 ● ● ● ●}}}''' ||<|5> 근거리 || 100 ||<|5> -10% || 9% ||<|5> 자신: {{{#deepskyblue 앞}}}으로 1열 이동[br]방어 관통 || 방패 파괴자의 평타기. 역시 모든 열을 타겟팅할 수 있다. || [[파일:Shieldbreaker.ability.two.png]] ||<-7> '''{{{#white 구멍내기 [br] (Puncture)}}}''' || || '''레벨''' || '''공격위치''' || '''대상 위치''' || '''스킬 타입''' || '''명중률''' || '''DMG 보정''' || '''CRIT 보정''' || '''특이사항''' || || '''5''' ||<|5> '''{{{#e19b50 ● ● ● ●}}}''' ||<|5> '''{{{#red,#ff0000 ● ● ● ●}}}''' ||<|5> 원거리 || '''120''' ||<|5> -50% ||<|5> - || 자신: {{{#deepskyblue 앞}}}으로 1열 이동[br]보호 무시[br]대상: 보호 해제/보호 받을 수 없음'''(기본 500%)'''[br]{{{#deepskyblue 앞}}}으로 2열 당기기 (기본 100%) || 보호 무시, 보호 불가가 달린 2칸 끌어오기 진형파괴 스킬. 명중률마저도 매우 높다. 방패 파괴자를 쓴다면 거의 반드시 채용한다. 전체적으로 능력이 평준화된 서커스의 환경에서 유독 밸런스가 어긋난 사기 스킬로, 보통 이 스킬에 피격당하는 후열 영웅은 석궁사수를 제외하고는 이동 저항이 5~20%대로 전반적으로 매우 낮다. 따라서 공용 장신구 '망꾼 그물'을 채용한 구멍내기는 사전에 방패 파괴자를 기절이라도 시켜두지 않는 한 '''대처할 수단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 때문에 방패 파괴자의 전투는 거의 무조건 이 스킬로 상대방의 패턴을 꼬이게 만드는 데에서 시작한다. 버그가 있는 모양인지, 구멍내기에 피격당한 영웅은 원래 해당 영웅이 2차례를 소모한 뒤에야 보호 불가 디버프가 해제되어야 하는데 1차례만 넘기고 직후 상대 영웅이 1차례를 소모하고 나면 보호 불가 디버프가 해제되어 그 턴 내로 다시 보호를 걸어줄 수 있는 등 디버프의 효과가 정상적으로 지속되지 않는 현상이 있다. ~~최후의 양심?~~ || [[파일:Shieldbreaker.ability.three.png]] ||<-7> '''{{{#white 독사의 입맞춤 [br] (Adder's Kiss)}}}''' || || '''레벨''' || '''공격위치''' || '''대상 위치''' || '''스킬 타입''' || '''명중률''' || '''DMG 보정''' || '''CRIT 보정''' || '''특이사항''' || || '''5''' ||<|5> '''{{{#e19b50 ○ ○ ○ ●}}}''' ||<|5> '''{{{#red,#ff0000 ● ● ○ ○}}}''' ||<|5> 근거리 || 85 ||<|5> -20% || 9% || 자신: {{{#deepskyblue 뒤}}}로 1열 이동[br]대상: {{{#bbc040 중독}}} (기본 100%) 피해 '''5 x 5 라운드''' || 1열 중독 딜링기. 원정과 비교하면 중독 지속 시간이 대폭 늘어났지만 대미지율과 명중률이 떨어졌다. || [[파일:Shieldbreaker.ability.four.png]] ||<-7> '''{{{#white 꿰뚫기 [br] (Impale)}}}''' || || '''레벨''' || '''공격위치''' || '''대상 위치''' || '''스킬 타입''' || '''명중률''' || '''DMG 보정''' || '''CRIT 보정''' || '''특이사항''' || || '''5''' ||<|5> {{{#e6b36d ○ ○ ○ ●}}} ||<|5> '''{{{#red,#ff0000 ●-●-●-●}}}''' ||<|5> 원거리 || 90 ||<|5> -70% || -2% || 자신: {{{#deepskyblue 뒤}}}로 1열 이동[br]대상: {{{#bbc040 중독}}} (기본 100%) 피해 2 x 3 라운드 || 1열 후퇴 공격기. 원정과 마찬가지로 모든 열에 약한 딜을 끼얹는다. 3레벨 이후부터 붙는 중독 피해는 서커스에서는 기본으로 붙었다. 전체공격이라 치명 보정이 조금만 붙으면 치명타가 펑펑 터진다. || [[파일:Shieldbreaker.ability.five.png]] ||<-7> '''{{{#white 노출 [br] (Expose)}}}''' || || '''레벨''' || '''공격위치''' || '''대상 위치''' || '''스킬 타입''' || '''명중률''' || '''DMG 보정''' || '''CRIT 보정''' || '''특이사항''' || || '''5''' ||<|5> {{{#e6b36d ○ ● ● ●}}}||<|5> {{{#red,#ff0000 ● ● ● ○}}} ||<|5> 근거리 || 100 ||<|5> -40% || 6.5% || 자신: {{{#deepskyblue 뒤}}}로 1열 이동 [br] 대상: {{{#indigo 은신}}} 무시 / 해제[br]{{{#orange 약화}}} (기본 100%): 치명타 받을 확률 '''+20%''' (3차례) [br]스트레스 공격 +20 || 스트레스 딜링기이자 디버프기. 받는 치명타율을 무려 20%나 증가시키는 무시무시한 디버프를 가지고 있다. || [[파일:Shieldbreaker.ability.six.png]] ||<-7> '''{{{#white 휘감기 [br] (Captivate)}}}''' || || '''레벨''' || '''공격위치''' || '''대상 위치''' || '''스킬 타입''' || '''명중률''' || '''DMG 보정''' || '''CRIT 보정''' || '''특이사항''' || || '''5''' ||<|5> {{{#e6b36d ○ ● ● ○}}} ||<|5> {{{#red,#ff0000 ○ ● ● ○}}} ||<|5> 원거리 || 80 ||<|5> -30% || 8% || 대상: {{{#bbc040 중독}}} (기본 100%) 피해 4 x 4 라운드[br]{{{#gold 멍해짐}}} (기본 100%) || 표식 대상 피해가 삭제된 대신 멍해짐 부여가 추가되었다. 명중률이 낮은 것이 단점. || [[파일:Shieldbreaker.ability.seven.png]] ||<-7> '''{{{#white 뱀의 형상 [br] (Serpent sway)}}}''' || || '''레벨''' || '''공격위치''' || '''대상 위치''' || '''스킬 타입''' || '''명중률''' || '''DMG 보정''' || '''CRIT 보정''' || '''특이사항''' || || '''1''' ||<|5>{{{#e6b36d ○ ● ● ●}}} ||<|5> 자신 ||<|5> 버프 ||<|5>-||<|5>-||<|5>-|| 전투당 2회 사용 가능[br]자신: {{{#deepskyblue 앞}}}으로 1열 이동[br]이지스: 피해 차단 2회[br]{{{#deepskyblue 강화}}}: 회피 +15 || 물리 피해 차단기. 속도 버프가 의미 없어진 서커스 특성상 회피 증가로 대체되었다. 가하는 피해를 막긴 하지만 도트딜이나 스트레스 피해는 얄짤없이 받는다. == 장신구 == || [[파일:Inv_trinket_graceful_anklet.png]] || '''{{{#E19B50 우아한 발찌[br](Graceful Anklet) }}}''' ||{{{#red 단장}}}||방패 파괴자||회피 +15[br]명중 +4[br][br]위신 단계 24에 해금 || 최고의 회피 장신구 중 하나. 이걸 끼면 회피가 35로 증가한다. 약간 명중률도 오르기 때문에 안정성이 크게 는다. 공용 장신구 '원숭이 손'에는 받는 스트레스 증가와 치명타를 받을 확률이 증가하는 무시 못할 디메리트가 존재함에도 가장 인기가 좋은 장신구 중 하나인데, 이 장신구는 그런 디메리트도 일절 없어 상위 호환에 가깝다. || [[파일:Inv_trinket_viper_spear_tip.png]] || '''{{{#E19B50 독사 창촉[br](Viper Spear Tip) }}}''' ||{{{#red 단장}}}||방패 파괴자||명중 +10[br]{{{#bbc040 중독}}} 기술 확률 +20%[br][br]위신 단계 41에 해금 || 무난히 준수한 성능. 상시 명중이 +10이나 되는 서커스 장신구는 의외로 흔치 않은 편. || [[파일:Inv_trinket_scaled_shoulder.png]] || '''{{{#E19B50 비늘 견갑[br](Scaled Shoulder) }}}''' ||{{{#red 단장}}}||방패 파괴자||방어 +5%[br]최대 체력 +10%[br]{{{#red 죽음의 일격}}} 저항 +12%[br][br]위신 단계 45에 해금 || 이 장신구만 착용했을 때의 체력이 33으로 증가한다. 전열 딜러 치고는 나약한 체력과 방어력을 약간 보완해주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죽음의 일격 저항은 눈여겨볼만 하지만 방패 파괴자의 일반적인 운용은 회피율을 높여서 피하거나, '뱀의 형상'으로 아예 데미지 차단을 이용해 죽음의 일격을 막는 것이 보통이다. || [[파일:Inv_trinket_fang_talisman.png]] || '''{{{#E19B50 송곳니 부적[br](Fang Talisman) }}}''' ||{{{#red 단장}}}||방패 파괴자||피해 +15%[br]치명타 +3%[br]피해 +10% ({{{#bbc040 중독}}} 대상)[br][br]위신 단계 62에 해금 || '꿰뚫기'의 광역 중독이 잘 맞으면 이후 '찌르기'와 '구멍내기'로 상대의 4열까지 위협적인 공격을 가할 수 있다. 기본 대미지가 9-17로 증가하는데 치명타율이 13%로 증가하고, 중독 대상에게도 추가 피해가 들어가는 등 방파자의 결정력이 증가한다. == 운용법 == 본편과 동일하게 찌르기는 방어관통에 1-4열 타격 가능이라 매우 유연한 딜링을 가능하게 한다. 꿰뚫기와 살모사의 입맞춤, 휘감기는 석궁사수로 대처가 불가능한 중독딜을 걸 수 있다. 구멍내기는 보호 해제 + 열이동으로 보호를 받고 있는 역병의사나 신비학자 등을 견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멍내기는 상대를 2열에서 1열로 끌어올 수 있는 유일한 기술이라 2열에서도 사용가능한 위협적인 스킬 [* 신비학자의 악마의 아귀팔, 성녀의 눈부신 광채, 역병의사의 유독기체 폭발 등]을 봉쇄할 수 있다. '''뱀의 형상''' 스킬의 존재 때문에, 후반부 소수대 소수의 싸움에서부터 강해진다. 이외에도 방패파괴자의 장점이라면 전용 장신구를 통해 회피를 50까지 끌어올 수 있기에 명중보정이 없는 상대를 엿먹일 수 있다. 다만 방어 관통을 제외하고는 딜이 2% 모자라고, 킬 결정력이 아쉬운데다 뱀의 형상과 회피를 제외한 방어 관련 스탯이 부실한 것이 단점이라, 적들이 작정하고 시작부터 방패 파괴자를 노리고 덤벼들면 운 좋게 회피하는 거 아니면 활약도 못 하고 허무하게 죽기도 한다. 뱀의 형상은 스트레스를 막아주지 않기 때문에 스트레스 공격에는 뚫린단 것도 단점. 이런 단점 때문에 메인 딜러로는 굴리기 힘들고 사실상 메인 딜러를 중심으로 한 보조딜 및 서포트 역할이 메인이 된다. 방어력이 높은 적을 전담마크 한다던가[* 중보병, 성전사 등 특히 중보병의 보호를 무력화할 수 있기 때문에 중보병의 카운터 중 하나로 꼽힌다.] 찌르기와 구멍내기가 모든 열을 공격할 수 있기에 성녀나 신비학자를 저격하는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