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J2리그)] ||<-2> [[파일:방포레 고후 로고.svg|width=250]] || ||<-2><#005bac> '''{{{#fff {{{+1 방포레 고후}}}}}}''' || ||<-2><#b7183f> '''{{{#fff {{{+1 Ventforet Kofu}}}}}}''' || || '''정식 명칭''' ||ブァンフォーレ甲府 || || '''[[축구단 별명|{{{#fff __별칭__}}}]]''' ||Ventforet || || '''라이선스''' ||J1 || || '''창단''' ||[[1965년|{{{#000,#ddd 1965년}}}]] || || '''구단 형태''' ||[[시민구단]] || || '''소속 리그''' ||[[J2리그]] || || '''연고지''' ||[[야마나시현]] [[고후시]] || || '''홈구장''' ||[[JIT 리사이클 잉크 스타디움]] (17,000명 수용) [br] [[도쿄 국립경기장]] (2023년 [[AFC 챔피언스 리그|ACL]] 한정) || || '''구단주''' ||사쿠마 토오루 (佐久間悟) || || '''감독''' ||시노다 요시유키 (篠田善之) || || '''키트 스폰서''' ||[[미즈노(브랜드)|미즈노]] || || '''공식 웹사이트''' ||[[http://www.ventforet.jp|[[파일:방포레 고후 로고.svg|width=25]]]] | [[https://www.facebook.com/ventforetkofu/|[[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px]]]]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vfk_official, 크기=20px)] | [[https://www.instagram.com/vfk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px]]]] | [[https://www.youtube.com/user/ventforetkofu1965?sub_confirmation=1|[[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px]]]] || ||<-2><#b7183f> '''{{{#fff 우승 기록}}}''' || || '''[[J2리그|{{{#fff J2리그}}}]]'''[br](1회) ||2012 || || '''[[천황배 JFA 전일본축구선수권대회회|{{{#fff 천황배}}}]]'''[br]'''(1회)''' ||2022 || [목차] [clearfix] == 개요 == 방포레 고후는 [[야마나시현]] 고후를 연고로 하는 [[J리그]] 축구팀이다. 1999년에 J리그에 가입했다. 홈 경기장은 [[JIT 리사이클 잉크 스타디움]]이다. 등번호 12번은 서포터 번호로서 영구결번이다. 2004년 평균관중 600명대에서 2014년 12,000명대로 상승했다. ||{{{#ffffff '''방포레 고후 영구결번'''}}} || ||<#b7183f> {{{#ffffff No.12 서포터 }}} || 팀 이름은 [[프랑스어]]에서 바람을 뜻하는 방(Vent)과 숲을 뜻하는 포레(forêt)의 합성어다. 이 말은 유명한 사자성어인 [[다케다 신겐]]의 [[풍림화산]](風林火山)에서 따왔다. == 역사 == 1965년에 고후제일고교 축구부 OB인 카와테공업소 사장 카와테 요시카즈(川手良萬)가 실업팀인 고후 축구클럽으로 창단하여 실업축구인 일본 축구 리그(JSL)에 참가하였다. J리그가 출범하기 직전인 1992년, JSL의 일반 시민 클럽은 교토 시코(현 [[교토 상가 FC]])와 이 고후 클럽이 유이했다. J리그 개막 이후 야마나시현 축구협회와 OB들에 의해 J리그 가입을 위한 준비가 진행되어 1995년에 팀 이름을 반포레 고후로 개칭하였다. 1997년에 지역 기업 등이 출자하고 운영 법인 반포레 야마나시 스포츠 클럽을 설립하여 프로화 하였다. 1998년은 리그 2위를 차지하는 31득점을 올린 바론의 활약으로 [[JFL]] 4위를 차지하였다. 1999년에 발족된 J리그 디비전 2(J2) 참가가 결정됐다. 시즌 종료 후 바론은 이치하라로 이적했다. 2005년 J2리그 3위를 기록하여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가시와 레이솔]]을 꺾고[* 이당시 바레의 전설의 한경기 6골이 터졌다.] [[J1리그]]로 처음 승격하였으나 2007년 17위를 기록하여 다시 [[J2리그]]로 강등되었다. 2010 시즌 J2리그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여 승격을 확정하여 4년만에 J1로 복귀하였다. 이듬해 16위를 기록하여 다시 강등되었다. 그러나 2012 시즌에 J2리그 우승을 하며 다시 1부리그로 복귀하였다가, 2017년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베갈타 센다이]]에게 승리하고도 함께 강등 위기에 있던 [[시미즈 S펄스]]가 [[비셀 고베]]를 상대로 승리하면서 승점에서 밀려 J2리그 강등이 확정되었다. [[https://twitter.com/Jleague_Bot/status/936853663129014272|#]] 2018시즌부터 J2승격 플레이오프 우승팀이 J1의 16위팀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루게 되었다. 1년만 일찍 제도가 바뀌었다면 고후 입장에선 잔류의 가능성이 있었을지도. 이후 J2리그에서는 중위권에서 분투하고 있다. 그러나 승격에 실패하고 우에노 감독과의 계약도 연장하지 않았다. 2019시즌은 5위로 마치면서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했다. 그러나 4위 도쿠시마와 1대1로 비겼고 리그 순위가 밀려서 다음 라운드 진출에 실패했다. 2022년 [[천황배 JFA 전일본축구선수권대회|천황배]]에서 J1리그 3위팀인 [[산프레체 히로시마]]를 연장 승부차기 끝에 꺾어 2011년 당시 J2리그에 있었던 [[FC 도쿄]] 이후로 2부리그 팀이 두 번째로 우승컵을 들어올리는 이변을 일으킨 동시에 최초로 [[AFC 챔피언스 리그/2023-24시즌|2023-24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에 직행하였다. [[AFC 챔피언스 리그/2022년|2022 AFC 챔피언스리그]]의 [[전남 드래곤즈]]처럼 조별리그에 2부리그 소속팀이 연속해서 ACL에 진출한 역사를 남겼다. 다만, ACL 개최를 위해서는 홈구장에서 등받이가 부착된 좌석이 5000석 이상 되어야 한다는 AFC의 규정으로 인하여 홈경기는 고후에서 치를 수 없으며, 모든 홈 경기는 [[도쿄 국립경기장]]에서 진행된다. 여담이지만 동아시아 축구 역사상 최초로 2부리그 소속 시민구단으로서 우승한 기록도 남겼다.[* 2부리그 소속으로 2011년 [[천황배]]를 우승한 [[FC 도쿄]]와 2021년 [[FA컵(대한민국)|FA컵]]을 우승한 [[전남 드래곤즈]]는 모두 기업구단이다. 그리고 2004년 당시 1부리그 소속으로 천황배를 우승했으나 강등돼서 아챔에는 2부리그 소속으로 출전한 [[도쿄 베르디]] 역시 이 시기에도 니혼TV의 지분이 남아있었던 점 때문에 엄연히 기업구단에 속한다.] 그렇게 2부리그 최초의 시민구단 소속으로 AFC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하게 된 방포레 고후는 2차전 태국의 [[부리람 유나이티드]]를 상대로 극장골을 넣어 승리하여 첫승을 신고하였으며, 4차전 중국의 [[저장 FC]]를 실력으로 격파하고 두번째 승리를 챙겼다. 급기야 6차전에 [[부리람 유나이티드]] 원정에서 먼저 3골을 넣고 끝까지 리드를 지키며 3:2로 승리하면서 '''H조 1위'''를 기록하여 '''세계 최초로 2부리그 팀 역사상 최상위 클럽 대항전 토너먼트 진출을 확정지었다!''' == 선수단 == [include(틀:방포레 고후)] == 주요 선수 == * 일본 * [[노자와 히데유키]] : 2021- * [[마이크 하프나]][* 네덜란드 계통이지만 1993년 가족 전원이 일본으로 귀화했다.] : 2010-2011 * [[미치부치 료헤이]] : 2017-2018 * [[아베 타쿠마]] : 2014-2015 * [[이토 준야]] : 2015 * [[코즈카 카즈키]] : 2018 * AFC * [[김신영(축구선수)|김신영]] : 2009-2011 * [[김진규(1985)|김진규]] : 2011 * [[변준범]] : 2018 * [[최성근]] : 2012-2013 * UEFA * [[제난 라돈치치]] : 2007 * CONMEBOL * [[루이스 카를루스 두스 산투스 마르틴스]] : 2008-2012 * [[브루노 파라이바]] : 2022[* [[피게이렌시 FC]]에서 임대.] * [[알렉산드루 마르케스 지 올리베이라]] : 2005 * [[패트릭 올리베이라]] : 2013[* [[아틀레치쿠 고이아넨시]]에서 임대.] * [[호세 오르티고사]] : 2013 [[분류:방포레 고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