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장애인]][[분류:복지]][[분류:방송]][[분류:UI]] [목차] == 개요 == {{{+1 Barrier-free}}} [[장애인]] 및 [[노인]] 등 [[사회적 약자]]들이 편하게 살아갈 수 있게 물리적인 장애물, 심리적인 벽 등을 제거하자는 운동 및 정책을 말한다. 영문을 직역하자면 [[장벽]](barrier)으로부터 자유롭게 하자는 의미이다. 이와 비슷한 단어로는 스텝 프리 엑세스(step-free access)가 있다. 이 경우에는 영국 철도에서 장애인들도 역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설계하는 것을 말한다. 유사어로 '[[유니버설 디자인]]'이 있다. == 역사 == 1974년 [[국제연합]] 장애인생활환경전문가회의에서 '장벽 없는 건축 설계(barrier free design)'에 관한 보고서가 나오면서 건축학 분야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후 선진국을 중심으로 [[휠체어]]를 탄 고령자나 장애인들도 비장애인과 다름 없이 편하게 살 수 있게 하자는 뜻에서 주택이나 공공시설을 지을 때 문턱을 없애자는 운동을 전개하면서 세계 곳곳으로 확산되었다. == 필요성 == 장애인은 이동, 문화생활을 포함한 여러 방면에서 불편함을 겪고 있다. 배리어프리의 확산과 실현으로 인해 비장애인과 같은 수준의 문화생활, 또 이동권 보장을 받을 수 있게 한다. == 사례 == === 영화 및 방송 === * [[배리어프리영화]][* 웹툰 [[나는 귀머거리다]]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659934&no=69&weekday=wed|69화]]에서 잘 설명되어있다.] * [[넷플릭스]] 자막 지원 및 음악 정보 지원 * [[카와세 나오미]]의 [[빛나는]]. 배리어프리용 [[화면해설방송]] 대본을 쓰는 작가와 시각장애인 사진작가의 연애담을 다루고 있다. === 뮤지컬 === * 배리어프리 뮤지컬[* 웹툰 [[나는 귀머거리다]]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659934&no=173&weekday=wed|172화]] 참조] === IT === * [[접근성]] 기능 === 교통 === * [[교통약자석]] * [[저상버스]] * [[장애인 콜택시]] * [[주차장#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 [[2층열차]]의 폐지 - [[JR 동일본]]의 [[E1계]], [[E4계]]의 폐지 * [[고상홈]] === 건축물 ===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https://blog.naver.com/kead1/221064252092|#]] * 장애인의 날, 생활 속에서 만난 배리어 프리-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https://www.korea.kr/news/reporterView.do?newsId=148871653|#]] == 관련 문서 == * [[배리어프리맵]] * [[배리어프리영화]] * [[유니버설 디자인]] * [[장애인]] * [[접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