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F3333 0%, #BF3333 20%, #BF3333 80%, #BF3333); color: #fbe673" '''배명순[br]{{{裵命純}}}'''}}} || ||<|2> '''출생''' ||[[1597년]]|| ||김천시 조마면 신안리|| || '''사망''' ||[[1636년]]|| || '''묘소'''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 계상리|| || '''관직''' ||절충장군[br]함경북도병마우후[br]덕원도호부사|| ||<|4> '''가족관계''' ||조부:[[배흥립]](裵興立)|| ||부친: 배시망(裵時望) || ||처가: [[의성 김씨]](義城金氏) || ||자녀: 배상경(裵尙瓊), 배상행||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성주 배씨]] || || '''자''' ||수초(遂初) || || '''시호''' ||충숙(忠肅)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무신. 본관은 [[성주 배씨|성산]]. 자는 수초(遂初). 할아버지는 효숙공(孝肅公) [[배흥립]](裵興立)이고, 아버지는 배시망(裵時望)이다. == 생애 == 배명순은 1597년 [[김천시]] 조마면 신안리에서 배시망(裵時望)의 아들로 태어났다. 1624년(인조 2)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청의 선전관이 되었다. 1627년 [[정묘호란]]이 발생하여 [[인조]]가 강화도에 [[후금]]을 치려 했다. 이에 배명순은 안릉(安陵)에서 후금 군인 300명의 목을 베는 공적을 세워 도총부도사(都摠府都事)에 승진하였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발생하고 왕이 40여 일간 [[남한산성]]에 포위되었다. 배명순이 죽기를 각오하고 싸울 것을 강력하게 주장하며, 철수하는 청나라 군대를 철령에서 맞아 싸워 크게 이겼다. [* [[병자호란]] 때의 공을 인정받아 순절공신(殉節功臣)이 되었고, [[병조판서]]에 증직되었다.] 남산역(南山驛)까지 추격하였으나 피로에 치진 배명순의 병사들이 매복한 청나라 병사들의 기습을 받아 패하였고, 선봉에서 맹렬히 맞선 배명순도 병사들과 청나라 군대에 맞서 싸우다 장렬하게 전사하였다. [각주] [[분류:1597년 출생]][[분류:1636년 사망]][[분류:조선의 무관]][[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성주 배씨]][[분류:전쟁 사망자]][[분류:김천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