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성근)] [목차] [clearfix] == 개요 == [[배성근]]의 선수 경력을 기록한 문서. == [[롯데 자이언츠]]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롯데 배성근.jpg|width=100%]]}}} || === 2014~2018 시즌 === 2014 KBO 신인 드래프트에서 2차 4라운드 전체 40번으로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했다. 2년간 퓨처스 리그에서 백업으로 가끔 나왔지만, 아직 좋은 성적은 보여주지 못했다. 2016~17년에 사회복무요원으로 군 복무를 수행했다. 군 복무 이후 타격이 좋아지며 아직 부족하지만 전보다는 훨씬 발전한 0.273을 기록했다. === 2019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롯데 배성근2.jpg|width=100%]]}}} || 시범경기에서 1차례 타석에 나왔고 4월 21일 데뷔 이후 처음으로 콜업되었다. 이후 3루수로 꾸준히 출장하면서 기회를 얻고 있다. 5월 3일 [[SK 와이번스]]전에 선발로 출장했다. 4회초 [[이재원(1988)|이재원]]의 타구가 불규칙 바운드로 튀어 처리를 못하면서 실책을 기록했다. 또한 5회초 [[최정]]의 타구와 [[정의윤]]의 타구를 모두 잡을 수 있는 것을 못 잡으면서 결국 동점을 허용했고, 정의윤의 타구를 처리를 하지 못한 이후 [[강로한]]과 교체되었다. 현재 타격 면에서는 [[신본기]]보다 괜찮은 컨택과 선구안을 보여주고 있다. 6월 13일 [[LG 트윈스]]전에 연장 10회말에 상대 [[이성우(야구선수)|이성우]]의 타구를 알까기하면서 패배의 원흉이 되었다. 7월 18일 [[KIA 타이거즈]]전에 선발 출전하여 '''[[양현종]]을 상대로 장타를 치고''' 이후 도루까지 성공하며 이날 '''3타수 2안타 1도루'''로 맹활약했다. 데뷔 첫 시즌 최종 성적은 36경기 44타수 9안타 2타점 4득점 1도루 4볼넷 13삼진 3실책 타출장 0.205/0.271/0.227를 기록했다. === 2020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롯데 배성근3.jpg|width=100%]]}}} || 시즌을 시작하기 전에 앞서 [[김동규(야구선수)|김동규]], [[김주현(1993)|김주현]], [[김재유]]와 함께 [[시카고 컵스]] 유망주 캠프에 파견되어 연수를 받고 왔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giants_new2&no=3158163|링크]] 2군에서 개막을 맞이해 주전 유격수로 뛰었지만 타격 사이클이 좀처럼 올라오지 않다가 6월부터 타격감이 상승하기 시작했다. 6월 16일 [[키움 히어로즈]]전을 앞두고 1군에 콜업되어 바로 7번 유격수로 선발 출장했다. 타격은 3타수 무안타였지만 [[딕슨 마차도]] 못지 않는 수비 범위를 보여줬다. 그러나 [[정훈]]이 올라오면서 다음 날 바로 2군으로 돌아갔다. 2군 주전 키스톤으로 많은 타석을 먹으며 경험을 쌓는 중이다. 9월 23일 2군 [[삼성 라이온즈]]전에서 [[딕슨 마차도|마차도]] 같은 점프 캐치를 보였고 타석에서도 4타수 2안타를 기록하며 활약했다. 10월 27일 1군에 콜업되었다. 차기 유격수를 빨리 키워야 하기 때문에 경험을 쌓기 위해 올린듯 하다. 5회초 대수비로 들어왔는데 아이러니하게도 들어온 이후 단 한 번도 공이 유격수 쪽으로 가질 않았다. 이후 타석에 들어와 잘 친 타구가 라이트에 들어갔지만 전진수비를 하고 있던 우익수에게 아쉽게 잡혔다. 시즌 퓨처스 리그 최종 성적은 68경기 255타수 75안타 4홈런 0.294/0.351/0.416 OPS 0.767 다만 1군 성적은 7타수 무안타로 제한된 기회에서 작년보다 훨씬 안정된 수비와 동시에 넓은 수비 범위를 보여주었지만 타격에서 눈에 띄는 모습은 보여주지 못하였다. === 2021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롯데 배성근4.jpg|width=100%]]}}} || 2020년 10월 8일에 [[김대륙]]이 방출되었고, 뒤이어 12월 3일에 [[신본기]]가 [[kt wiz]]로 트레이드되면서 당장 백업 유격수 역할이라는 중책을 맡게 되었다. 20대 중후반에 군대도 다녀왔으니 [[딕슨 마차도|마차도]]의 백업으로 많은 기회를 받을 것이고, 마차도는 언젠가 떠날 수 밖에 없으니 차기 주전 유격수가 되어줘야 한다. 다만 전역 후 3년 내내 퓨처스에서 2할 후반의 타율, 7할 중후반의 OPS를 기록하는 등 타격에 있어서 성장이 더딘 것은 우려사항이다.[* 1군에서는 탱탱볼인 2018 시즌을 제외하면 별다른 활약을 하지 못한 [[신본기]]도 경찰청 2년간은 OPS .9를 기록했다. 배성근의 현재 모습은 [[신본기]]보다는 [[김대륙]]에 가까우며 앞으로 본인이 얼마만큼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냐에 따라 달렸다.] 1군 스프링캠프 명단에도 들어갔으니 가진 기량을 얼마나 갈고 닦느냐가 중요하며, 같이 1군 캠프에 합류한 백업 유격 자원인 [[신용수]]와의 경쟁이 좋은 시너지로 나와야할 것이다.[* 그러나 [[신용수]]는 외야수로 명단에 기록되어 있어 외야수에 전념할 수도 있다.] 3월 3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연습경기에서 타격은 무안타였으나 수비에서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이어지는 연습경기와 시범경기에서도 타격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고 그 사이 발목 부상까지 당하면서 한동안 결장하게 되었는데, 학창시절 유격수를 소화했었던 [[김민수(1998년 3월)|김민수]]가 기회를 놓치지 않고 백업 유격으로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결국 개막 엔트리에서 제외되었다. 2군 개막전에 9번타자 유격수로 출장하여 2타수 1안타 2실책으로 썩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이면서 밀려나나 싶었지만, 같은 날 저녁에 열린 [[NC 다이노스]]와의 1군 경기에서 [[딕슨 마차도|마차도]]가 예기치 못한 헤드샷 부상으로 이탈함에 따라 그 다음날 곧바로 1군에 등록되었다. 이날 선발 유격수로 출장해 2타수 1안타 1볼넷 2득점으로 공격에서 눈도장을 받은 데다 호수비까지 보여주면서 마차도의 공백을 메꿔주었다. 4월 8일 [[NC 다이노스]]전에서 9번타자로 출장해 4타수 3안타 3타점 1볼넷으로 맹활약하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고 생애 첫 수훈 선수 인터뷰까지 하면서 선수 본인에게는 잊지 못할 날이 되었다. 4월 17일 [[삼성 라이온즈]]전에서 8회초에 [[추재현]]의 뒤를 이어 '''구원투수로 등판'''했다. [[손승락]]을 연상시키는 역동적인 투구 동작을 보여주었고 [[김상수(타자)|김상수]]를 2루수 플라이, [[김동엽(1990)|김동엽]]을 우익수 플라이로 아웃시키며 추재현의 승계주자 2명을 지웠다. 최고 구속은 141km/h. 이 날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에서는 오모시로이 피챠 및 [[세이콘 드립]]이 터져나왔다. 5월 1일 '''또 다시 투수로 등판'''했고, [[임종찬]]을 삼진으로 잡는 등 무실점으로 막았다. 그 뒤 계속해서 1군 엔트리에는 있으나 많은 출장은 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6월 3일 9회초 대타로 등장해 안타를 때렸다. 6월 4일에는 3회말 통증으로 빠진 [[한동희]]의 대타로 출장, 7회말에 [[딕슨 마차도|마차도]] 수비를 복제한 듯한 호수비로 [[박세웅]]의 완봉을 도왔다. 6월 6일 [[kt wiz]]전에서 10회말 1사 1루 상황에서 [[조용호(야구선수)|조용호]]의 강습 타구를 잘 막아내 병살로 엮어내는데는 실패했지만 환상적인 수비로 2루에서 아웃카운트를 잡아냈다. 6월 15일 [[한화 이글스]]전에 9번 2루수로 선발 출장하여 2타수 1안타를 기록한 뒤 7회초 대타 [[김재유]]로 교체됐다. 6월 17일 [[한화 이글스]]전에 9번 2루수로 선발 출장하여 6회초에 '''데뷔 첫 홈런'''을 만들어냈다. 6월 20일 [[삼성 라이온즈]]전에서 부상을 당한 [[딕슨 마차도|마차도]] 대신 들어가 8회말에 병살을 치고 9회초 뜬공을 놓치면서 경기를 말아먹을 뻔했다. 9월 12일 [[키움 히어로즈]]와의 더블헤더 1차전에서 1루수의 키를 훌쩍 넘기는 송구를 보여주며 팀 패배에 일조했다. 9월 25일 고척 [[키움 히어로즈]]전에서 [[안치홍]] 대신 2루수로 선발 출장하여 '''3타수 3안타 2타점'''으로 활약했다. === 2022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잘성근.jpg|width=100%]]}}} || || '''[[은퇴|{{{#FFFFFF 배성근의 현역 마지막 시즌.}}}]]''' || [[김민수(1998년 3월)|김민수]], [[이학주]], [[박승욱]]과 함께 1군 주전 유격수 경쟁을 할 전망이다. 수비에서는 전임자인 [[딕슨 마차도|마차도]]만큼은 아니어도 롯데 유격수 유망주 중에서 그나마 나름 안정적인 수비를 가진 선수이기에 타격능력의 성장을 보이면 주전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것으로 보인다. 3월 12일 [[박승욱]]의 대타로 나와 2타수 1안타 1타점을 기록하며 존재감을 과시하였고 1안타도 장타인 2루타를 치며 유격수 경쟁을 더욱더 치열하게 하였다. 그러나 정규시즌에 돌입하자 [[박승욱]]이 주전 유격수로 낙점되었고 이후 박승욱이 공수주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이자 [[이학주]]가 주전 유격수가 되어 1군에 설 자리가 없어졌다. 또한 내야수 백업으로 1군에 설려고 하니 박승욱이 주전 유격수에서 밀리긴 했어도 나름대로 백업 내야수로 괜찮은 모습을 보이며 안치홍의 체력 안배를 위해 주전 2루수, 또는 경기 후반에 대수비로 출전하고있고 이른바 배민 듀오로 불리며 자신과 주전 유격수 경쟁을 할 것 같았던 [[김민수(1998년 3월)|김민수]]가 박승욱과 같은 역할을 해주며 타격에서는 이학주, 박승욱보다 더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 2군에서 예년 동안 나름대로 2할 후반대에서 3할대의 타율로 나쁘지 않은 컨택능력을 증명하였으나 올 시즌 2군에서도 1할대의 타율로 허덕이며 오히려 올 시즌 전 지명을 받은 신인 유격수 [[윤동희]], [[한태양]]보다 좋지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박승욱이 부상으로 1군에서 말소되자 1군에 콜업되었으나 딱히 눈에 띄는 모습은 없다. 연장 10회말 1사만루 찬스에서 포수 뜬공을 기록했고 12회말 파울홈런을 보였으나 파울은 파울이었고 유격수 땅볼로 경기를 종료시켰다. 활약은 작년 [[이호연(야구선수)|이호연]]보다 더 심각한 물빠따. 더군다나 나이도 애매하고 백업으로 박승욱이 더 나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사실상 이번 시즌이 마지막이라 보는 팬들이 많다. 이후 2군으로 말소되었다. 퓨처스 경기에서 2군 선수들의 줄부상으로 잠시 중견수를 뛰는 해프닝이 있었는데 이후로도 계속 중견수로 계속 출장하면서 전향의 가능성도 어느정도 있어보인다. 그 후 [[이학주]]가 부상으로 말소되면서 1군에 콜업되었다. 그러나 [[이학주]]가 부상 회복 후 콜업되면서 1군에서 말소되었다. 시즌 전엔 주전 유격수 후보 중 한 명으로 언급이 되었지만 시즌에 들어서니까 1군 백업은 커녕 2군에서도 부진하는 타격을 보이면서 방출 후보로 꼽히고 있는 상황이다. 7월 27일 기준 퓨처스에서 타율 .164를 기록하고 있다. 8월 7일 대타로 나와 삼진을 당했다. 잘 맞은 타구가 나왔으나 파울이 되었으며, 이는 그의 '''현역 마지막 타석이 되었다.''' 최종 퓨처스 타율은 0.173으로 올해는 마지막이 될 수도 있다. 그런데 10월 22일 자신의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투수 전향'''을 암시하는 스토리를 올렸다. 이후 21일 교육리그에서 투수로 등판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최고구속은 148km/h를 기록했다. 10월 26일 LG와의 교육리그 경기에서 1이닝 1실점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결혼식을 올렸다. === 2023 시즌 === 스프링캠프를 앞둔 1월 31일, 갑작스럽게 은퇴를 발표했다. 구단에서는 그의 은퇴를 만류했지만, 본인은 지난 시즌 여름부터 고민해왔다고 한다.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남긴 은퇴 메시지에서 유격수는 자신의 꿈이자 자부심이었으며, 마음과는 달리 결과가 따라주지 않아 투수 전향으로 돌파구를 찾으려 했지만, 유격수가 아니고서는 선수 생활을 지속할 의미가 없다는 것을 비시즌 동안 깨달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일부 팬들은 진짜 은퇴 이유는 따로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렇게 유격수를 하고 싶어했다면 굳이 투수 전향을 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동료 및 선후배들을 위해 1,000만원을 기부한다는 소식을 전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109&aid=0004781378|#]] 이 날 오후 임의해지 공시되었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 타자 === ||<-17>
{{{#fff 역대 기록}}} || || 연도 || 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볼넷 || 삼진 || 출루율 || 장타율 || sWAR || || 2014 ||<|9> [[롯데 자이언츠|롯데]] ||<|2><-15> 1군 기록 없음 || || 2015 || || 2016 ||<|2><-15> 군 복무([[사회복무요원]]) || || 2017 || || 2018 ||<-15> 1군 기록 없음 || || 2019 || 36 || 44 || .205 || 9 || 1 || 0 || 0 || 2 || 4 || 1 || 4 || 13 || .271 || .227 || -0.08 || || 2020 || 4 || 7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2 || .000 || .000 || -0.22 || || 2021 || 79 || 93 || .204 || 19 || 4 || 0 || 1 || 9 || 21 || 1 || 14 || 36 || .308 || .280 || 0.03 || || 2022 || 22 || 39 || .128 || 5 || 1 || 0 || 0 || 0 || 3 || 0 || 2 || 12 || .171 || .154 || -0.37 || ||<-2> '''[[KBO 리그|KBO]] 통산'''[br](4시즌) || 141 || 183 || .180 || 33 || 6 || 0 || 1 || 11 || 28 || 2 || 20 || 63 || .261 || .230 || -0.63 || === 투수 === ||<-17> {{{#fff 역대 기록}}} || || 연도 || 팀 || 출장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ERA+ || FIP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WHIP || sWAR || || 2021 || [[롯데 자이언츠|롯데]] || 2 || 2 || 0 || 0 || 0 || 0 || 0.00 || - || 3.83 || 2 || 0 || 1 || 1 || 1.50 || 0.08 || ||<-2> '''[[KBO 리그|KBO]] 통산'''[br](1시즌) || 2 || 2 || 0 || 0 || 0 || 0 || 0.00 || - || 3.83 || 2 || 0 || 1 || 1 || 1.50 || 0.08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배성근, version=308, paragraph=4)] [[분류:야구선수/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