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fff {{{+2 배수아}}} }}}''' [br] '''{{{#fff 裵琇亞 | Bae Suah }}}'''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e_Suah.jpg|width=100%]]}}} || ||<|2> {{{#fff '''출생'''}}} ||<-2>[[1965년]] [[3월]] || ||<-2>[[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필동 || || {{{#fff '''국적'''}}}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 {{{#fff '''직업'''}}} ||<-2>[[소설가]], [[번역가]] || || {{{#fff '''데뷔'''}}} ||<-2>1993년 <천구백팔십팔년의 어두운 방> || || {{{#fff '''학력'''}}} ||<-2>[[이화여자대학교]] {{{-2 (화학과 / 학사)}}} || || {{{#fff '''경력'''}}} ||<-2>[[대한민국]] [[병무청]] [[공무원]][* 10년간 근무하였으며 최종 [[7급 공무원]]으로 병무청 김포공항출장소에서 근무하다 퇴직] {{{-2 (1992년-2002년)}}}[br]《[[Axt]]》 편집위원 {{{-2 (2015년-2019년)}}} || || {{{#fff '''종교'''}}} ||<-2>[[무종교]][* [[http://ch.yes24.com/Famous/Index/321|#]]] || [목차] [clearfix] == 개요 == 1965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이화여자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했다.1993년 《소설과 사상》 겨울호에 <천구백팔십팔년의 어두운 방>이 실리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며, 현재 활발하게 책을 내고 활동하는 [[소설가]]이고, 독일어 [[번역가]]로도 충분히 유명세를 떨치고 있다. 또한 2015년 《Axt》 창간호부터 2019년 22호까지 편집위원을 맡았다. 요즈음은 독일 등 외국을 자주 오가면서 살고 있는 듯 하다. 배수아는 등단 초기와 현재의 글이 완전히 다른 편이며, 최근 작들은 그녀의 입맛대로 온갖 장치와 실험이 이뤄지는 탓에 대중성과는 상당히 거리가 있다. 초기엔 온갖 불순한 이미지로 가득한, 한국문학사에서 볼 수 없던 파격 등의 수식어가 붙었다. 실제로 작가는 등단 이전까지 소설 수업을 한 번도 받지 않았으며, <천구백팔십팔년의 어두운 방>이 첫 습작이라고(...). 이후 2000년대에 들어서 정말 다양한 실험을 소설 속에 주입하여, 과연 이게 소설인지 에세이인지 모르겠다는 평을 받기도 한다. 이는 《에세이스트의 책상》과 《독학자》에서 시작되어 최근 작품인 《알려지지 않은 밤과 하루》까지 이어진다. 백미는 단편소설 <무종>인데, 이 작품은 2010년 [[이상문학상]] 우수상 수상작이기도 하다. 평론가 [[김윤식(1936)|김윤식]]은 이 작품을 숨이 찰 정도로 긴 문장을 늘어 놓는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이러한 기법을 장편에 차용한 것이 《북쪽 거실》. 실제로 북쪽 거실을 읽다가 포기한 사람이 수두룩하다. 책의 한 페이지 모두가 쉼표를 사용해 한 문장으로 되어 있을 정도. 1992년에서 2002년까지 [[병무청]] 공무원으로 일하면서 소설을 썼으며, 당시 '투잡족'이라는 말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 작품 목록 == === 장편소설 === || '''{{{#fff 제목}}}''' || '''{{{#fff 발간연도}}}''' || || 《랩소디 인 블루》 || [[1995년]] || || 《부주의한 사랑》 || [[1996년]] || || 《붉은 손 클럽》 ||<|2> [[2000년]] || || 《나는 이제 니가 지겨워》 || || 《이바나》 ||<|2> [[2002년]] || || 《동물원 킨트》 || || 《일요일 스키야키 식당》 ||<|2> [[2003년]] || || 《에세이스트의 책상》 || || 《독학자》 || [[2004년]] || || 《당나귀들》 || [[2005년]] || || 《북쪽 거실》 || [[2009년]] || || 《서울의 낮은 언덕들》 || [[2011년]] || || 《알려지지 않은 밤과 하루》 || [[2013년]] || === 중·단편집 === || '''{{{#fff 제목}}}''' || '''{{{#fff 발간연도}}}''' || || 《푸른 사과가 있는 국도》 || [[1995년]] || || 《바람 인형》 || [[1996년]] || || 《심야통신》 ||<|2> [[1998년]] || || 《철수》 || || 《그 사람의 첫사랑》 || [[1999년]] || || 《홀》 || [[2006년]] || || 《올빼미의 없음》 || [[2010년]] || || 《밀레나, 밀레나, 황홀한》 || [[2016년]] || || 《뱀과 물》 ||<|2> [[2017년]] || || 《어느 하루가 다르다면, 그것은 왜일까》 || || 《멀리 있다 우루는 늦을 것이다》 || [[2019년]] || === 산문/시집/공저 === || '''{{{#fff 제목}}}''' || '''{{{#fff 발간연도}}}''' || || 《만일 당신이 사랑을 만나면》[* 시집] || [[1997년]] || || 《1999 제23회 이상문학상 수상작품집 내 마음의 옥탑방》[* 공저, 「은둔하는 北의 사람」 수록] || [[1999년]] || || 《잊혀진 자의 고백》[* 공저, 「켈로이드 아이」 수록] ||<|2> [[2000년]] || || 《내 안에 남자가 숨어 있다》[* 산문집] || || 《창비 20세기 한국소설 50》[* 공저, 「푸른 사과가 있는 국도」, 「그 사람의 첫사랑」 수록] || [[2006년]] || || 《잠자는 남자와 일주일을》[* 산문집] || [[2014년]] || || 《처음 보는 유목민 여인》[* 산문집] || [[2015년]] || || 《이것이 나의 도끼다》[* Axt 편집부, 공저 인터뷰집, Axt 편집위원으로서 인터뷰어로 참가] || [[2017년]] || || 《작별들 순간들》[* 산문집] || [[2023년]] || === 주요 번역서 === * 야코프 하인, 《나의 첫 번째 티셔츠》 (2004) * 야콥 하인, 《어쩌면 그곳은 아름다울지도》 (2007) * 미하엘 파인코퍼, 《토트 신전의 그림자》 (2007) * 마르틴 발저, 《불안의 꽃》 (2008) * 예니 에르펜베크, 《그곳에 집이 있었을까》 (2010) * 헬레네 헤게만, 《아홀로틀 로드킬》 (2010) * 베르톨트 브레히트, 《전쟁교본》 (2011) * 디미트리 베르휠스트, 《사물의 안타까움성》 (2011) * 크리스티안 크라흐트, 《나 여기 있으리 햇빛 속에 그리고 그늘 속에》 (2012) * 에트가 힐젠라트, 《나치와 이발사》 (2012) * 사데크 헤다야트, 《눈먼 부엉이》 (2013) * 막스 피카르트, 《인간과 말》 (2013) * 크리스티안 크라흐트, 《제국》 (2013) * [[프란츠 카프카]], 《꿈》 (2014) * 토마스 베른하르트, 《비트겐슈타인의 조카》 (2014) * [[페르난두 페소아]], 《불안의 서》 (2014) * W. G. 제발트, 《현기증. 감정들》 (2014) * 페르난두 페소아, 《불안의 글》 (2015) * 헤르만 헤세, 《헤세가 사랑한 순간들》 (2015)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안데르센 동화집》 (2015) * 안토니우 로부 안투네스, 《대심문관의 비망록》 (2016) * 베른하르트 슐링크, 《계단 위의 여자》 (2016) * W. G. 제발트, 《자연을 따라. 기초시》 (2017) * 로베르트 발저, 《산책자》 (2017) * 헤르만 헤세, 《나르치스와 골드문트》(2018) * 예니 에르펜베크, 《모든 저녁이 저물 때》(2018) * 헤르만 헤세, 《데미안》(2018) * 클라리시 리스펙토르, 《달걀과 닭》(2019) * 클라리시 리스펙토르, 《G.H.에 따른 수난》(2020) * 페터 한트케, 《세잔의 산, 생트빅투아르의 가르침》(2020) == 수상 == || '''{{{#fff 연도}}}''' || '''{{{#fff 시상식}}}''' || '''{{{#fff 작품명}}}''' || || 2003 || '''제36회 [[한국일보]] 문학상''' || 《일요일 스키야키 식당》 || || 2004 || '''제17회 동서문학상''' || 《독학자》 || || 2010 || '''제34회 [[이상문학상]]''' || <무종>[* 우수작 선정. 대상은 박민규의 《아침의 문》] || || 2018 || '''제42회 오늘의 작가상''' || 《뱀과 물》 || [[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대한민국의 번역가]][[분류:1965년 출생]][[분류:이화여자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무종교인]][[분류:1993년 데뷔]][[분류:중구(서울)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