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az6W7p8xjM, start=2)]}}} || || 배음 창법으로 부른 [[카논(음악)#파헬벨의 카논|파헬벨의 카논]] || [목차] == 개요 == {{{+1 [[倍]][[音]] [[唱]][[法]] / Throat singing, Overtone singing}}} [[배음]]을 이용해서 낮은 음과 높은 음을 동시에 내는 [[창법]]이다. 하는 방법은 혀를 말아 입천장에 둬서 입앞을 막아 배음을 늘리는 것이다. 다만 초보자 기준으로 회메이 창법을 해보면 알 텐데 하다보면 정말 숨이 찬다. 이는 입을 막아 공기가 빠져나가는 속도가 느려져 숨을 정말로 길게 내빼는 것과 같은 효과가 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식호흡]]이 잘되어야 숙련자가 될 수 있다. == 난이도 == [[몽골인]] 1,000명 중 1명이 될까 말까한 [[창법]]이라는 이야기가 널리 퍼져 있는데 이는 와전된 것이다. 정확히 말해 [[흐미(창법)|흐미]]라는 형식을 갖고 [[공연]]을 할 수 있는 사람이 흐미 연습생 1,000명 중 1명이라는 뜻이다. 배음 창법은 어느 정도 연습하면 소리내기는 그렇게 어렵지 않으나 보통 30분에서 1시간 정도를 쉬지않고 한다는 것에서 공연을 하기 힘든 것이다. 일단 [[유튜브]]의 배음 창법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들 중 배음 창법을 10년 이상 공부했다는 Alex Glenfield의 동영상을 보면 목을 조이면서 1차적으로 낮은 음, 혀를 입천장에 대고 비강을 진동시키며 2차, 3차적으로 높은 음을 낸다. 국내에서는 "오오", "외-", "아" 와 같은 모음으로 하는 것만 흐미라고 생각하지만 이것은 어찌보면 그냥 발성 연습이다.[* 실제로 이 발성 연습을 하면 몽골 음악가가 아니더라도 목이 풀리고 발성이 깔끔해지는 효과가 있으니 목이 잘 풀리지 않는 친구들은 한 번 연습을 해보자.] 발성을 하면서 말을 하는데, 낮은음으로 가사를 읊조리며 높은음은 화음을 넣는다. 그리고 '''더럽게 힘들다'''. 20~30분 간 숨을 최대한 덜 쉬면서 노래를 하는데, 일반 사람들은 10분도 못가서 몸이 벌벌벌 떨리며, 침이 새고 땀도 날 것이다. == 구사자 == 아카펠라 그룹으로 유명한 [[Pentatonix]]의 [[펜타토닉스#s-2.5|아비 캐플런]]이 구사할 수 있다고 알려져있다. 그리고 기계음을 주력으로 사용하는 비트박서 꽤 여럿이 구사할 줄 안다. 국내에는 Bigman, 해외에는 Chezame 등이 구사할 줄 안다. [[유튜브]]에서 'Overtone singing Tutorial'을 검색하고 대표적인 유튜버 Alex Glenfield, yuichi tuba, jonnymcboingboing, Alex Kuular 등의 강좌 동영상을 보고 배우면 된다. 알렉스 글렌필드 같은 경우에는 10년 이상 배음창법을 연구해 온 사람으로서, 블로그에도 많은 내용을 써 놓았다. 하지만 쏟아지는 영어의 압박을 버틸 수 있다면 배음 창법을 해보고 싶은 사람들은 이 블로그를 가보는 것이 좋다. [[http://www.Alexanderglenfield.blogspot.com|글렌필드의 블로그]] ~~영어로 쓰여있어 포기가 빠를 수도 있다.~~ 국내에는 일단 [[하림(가수)|하림]]과 [[JYJ]]의 [[김준수(JYJ)|김준수]]가 구사할 수 있다. 임재범의 경우 매우 뚜렷하게 배음을 구사하는데, 이름 모를 그 소녀를 부르는 영상을 유튜브에서 확인해보면 소리가 복합적으로 들려 신기하다는 반응이 매우 많다. 단, 상기한 유목민족의 배음과 국내 가수들이 구사한다고 적시되어있는 배음은 사실 상당히 다른 개념인데 상기한 국내가수들의 배음은 사실 일반인들도 마음을 먹으면 많이들 낼 수 있는 소리이다. 가성을 내면서 소리를 밑으로 깔면서 긁는다는 느낌으로 앓는 듯한 허스키한 음을 길게 끌면서 녹음을 해보면 배음이 나는걸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상기한 김준수의 배음이 이러한 원리로 나는 배음이다. 임재범도 마찬가지로 허스키보이스의 보컬의 경우 긁혀서 나는 소리와 긁는 도구가 되는 소리가 함께 들리기에 이러한 배음이 들리기가 쉽다. === 가상 매체에서 === 만화 [[오디션(만화)|오디션]]의 등장인물 [[이노무시키]]가 이 창법을 쓴다. 하지만 고음에 너무 집착해 곡의 감정을 무너뜨려 오디션 대결에서 패배하고 다시 수련에 들어간다. == 세계의 배음 창법 == === 아시아 === * [[몽골]] - '''[[흐미(창법)|흐미]]''' * [[투바 공화국]] - 회메이[* [[목]]이나 [[후두]]를 의미하며, [[몽골어]]로 목구멍을 뜻하는 "Khooloi", 몽골조어 "koɣul-aj"에서 차용했다는 주장이 있다.]: [[투바어]]로 흐미를 뜻하며, 배음 창법 기술은 7개 정도 있는데, 가장 주요한 기술은 회메이(xөөмей)[* 그중 회메이는 입천장에 혀를 대고 비강을 진동시키는 기술이며 이 셋 중에 제일 쉽다고 할 수 있다.], 카르그라(kаргыраа)[* 카르그라는 티벳 승려들의 불경 독송에서부터 시작한 것인데, 카르그라라는 말은 가짜 성대를 말하는 것이다. 카르그라는 목을 조이면서 본인의 음역대보다 더 낮은 음역대로 내려가며 다른 것은 회메이와 비슷하다.], 스긋(cыгыт)[* 스긋은 이 세 개의 기술 중에서 제일 생소한 기술인데, [[팔세토]]보다 더 높은 소리를 냄으로써 [[휘슬 레지스터]]의 영역까지 간다. 가사 내용은 대부분 초원의 자연 환경과 [[말(동물)|말]]에 대한 이야기를 쓰며 가사 내용 자체는 [[서부개척시대]] [[카우보이]]들의 [[컨트리 뮤직]]과 비슷하다.] 3개이다. [[투바]]에서 [[훙후르투]], 사인코 남치락(Sainkho Namtchylak), 세이다쉬 몽구쉬(Saidash Mongush) 등 여러 가수들이 사용한다. * [[알타이]], [[하카시야 공화국]] - [[카이#s-1.2]][* [[알타이어]]: кай / [[하카스어]]: хай] * [[일본]] - [[https://youtu.be/3ijAaLHBi18|레쿳카(レクッカㇻ)]][* [[아이누어]]로 レクㇳ/レクッ([[홋카이도]]), レクㇷ([[사할린]]).]: [[아이누]] 사이에서 간간히 이어져오던 배음 창법으로 [[1976년]]에 마지막 숙련자가 사망하여 맥이 끊겼다.[* 하는 방법은 두 여성이 서로 마주보고 있으면 한 여자는 손을 튜브처럼 둥글게 하고, 다른 여자가 입구멍에 소리를 외치는 식인데 이때, 그 소리를 받은 여자는 [[성문#s-4]]을 닫은 채로 [[성대]]를 이용하여 받은 소리의 음량을 조절하는 식이다.] * [[추코트카]]([[축치 반도]]) - 픽-에이네르킨(Pic-eine'rkin): 극소수의 [[축치인]] 및 [[유픽]] 여성들 사이에서 불리는 배음 창법. * [[쿠르디스탄]] - [[https://youtu.be/7WhvUIZIh3g|뎅베즈(Dengbêj)]]: [[쿠르드족]] 및 [[야지디족]] 사이에서 불려지는 배음 창법으로 주로 쿠르디스탄의 지리, 사랑, 자장가를 주제로 한다. [[1930년대]] [[터키]]에서 [[쿠르드어]]로 말하는 것에 [[벌금]]을 부과하고 [[1980년대]]에는 쿠르드어로 노래하는 것 자체를 금지했는데, 이 때문에 많은 박해를 받아 몰래 카세프테이프로 녹음하여 배포해야 했던 [[흑역사]]가 있다. === 유럽 === * [[이탈리아]] - [[https://youtu.be/-h2IbeGdGd0|칸토 아 테노레(Canto a Tenore)]]: [[사르데냐]] 지역의 배음 창법으로, [[사르데냐어]]로 'Su Tenòre', 'Su Cuncòrdu', 'Su Cuntràttu' 등으로 불려진다. * [[안달루시아]] - 칸테 혼도(Cante Jondo): [[스페인어]]로 "깊은 노래"를 의미하며, 이름의 의미처럼 칸테 혼도는 [[플라멩코]]에서 음이 무겁고 진지한 편이다. * [[라플란드]] - [[https://youtu.be/2_gnoljjBW8|요익(Joik/Yoik)]]: 북유럽 등지에 거주하는 [[우랄어족|우랄계 소수민족]] [[사미족]] 사이에 이어져오는 배음 창법. 사미족의 조상이 [[시베리아]]에서 기원한 탓에 해당 배음 창법은 자연의 소리를 모방하는 시베리아 [[샤머니즘]] 문화와 여러가지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한다.[[https://youtu.be/woEcdqqbEVg|#]][[https://youtu.be/odpREEp-uOo|#]] *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 [[https://youtu.be/vsNXhJJcsY8|외즐래우(Өзләү)]]: [[러시아]]의 [[튀르크]]계 소수민족 [[바시키르인]]들의 배음 창법으로 몽골의 흐미와 매우 비슷하다. === 아메리카 === * [[캐나다]] - [[https://youtu.be/qnGM0BlA95I|카타짜크(Katajjaq)]]: 캐나다 북부에 거주하는 [[이누이트]]들의 배음 창법으로 한때 소실되었다가 최근에 부활한 전통음악이다. 기원은 남자들이 [[사냥]]하러 멀리 나가있는 동안 여자들 사이에서 유행한 것인데, 사실 음악이라기보다 호흡을 이용한 [[리듬 게임]]에 가깝다. 지역에 따라 불리우는 명칭이 다 다른데, [[누나부트]]에선 Iirngaaq 또는 Nipaquhiit, [[배핀 섬]]에선 Piqqusiraarniq이나 Pirkusirtuk 등으로 불려진다. === 아프리카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https://youtu.be/MYj-55T6Uzs|움코콜로(Umngqokolo)]]: 남아공의 일부 [[코사족]] 여성들에게서 이어져오는 배음 창법으로 투바 공화국의 카르그라처럼 음역대가 낮은 편이다. == 기타 == [[트럼펫]], [[트롬본]], [[튜바]], [[호른]], [[수자폰]] 등의 '''[[금관악기]]'''를 부는 데에 반드시 익혀야 하는 것이 바로 배음체계인데 [[복식 호흡]]의 세기에 따른 정확한 배음체계를 익혀놓아야 알맞은 [[계이름]]의 소리를 낼 수 있으므로 [[금관악기]]를 배우는 데에 반드시 거쳐야 하는 관문이다. [[분류:창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