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배재대학교)] [include(틀:배재대학교의 단과대학)] [목차] == 개요 == > 최초의 근대교육 최고의 미래교육 [[배재대학교]]의 공과대학이다. 후문의 건물인 미래창조관(MC), 아펜젤러관(A), 하워드관(H), 자연과학관(J) ,정보과학관(C)관에 위치해 있다. ||<-3> {{{+1 {{{#ffffff '''배재대학교 AI·SW창의융합대학'''}}}}}}[br]{{{#ffffff '''College of AI•SW Creative Convergence'''}}} || ||<-2> {{{#ffffff '''학장'''}}} ||정회경 || ||<-2> {{{#ffffff '''주소'''}}} ||[[대전광역시]] [[서구(대전)|서구]] 배재로 155-40 정보과학관(C) 101호 || ||<-2> {{{#ffffff '''링크'''}}} ||[[https://hakgwa.pcu.ac.kr/aisw| {{{#000000,#e5e5e5 배재대학교 AI·SW창의융합대학 홈페이지}}}]] || [clearfix] == 편제 == ||<-3>
{{{+1 {{{#fff '''AI•SW창의융합대학'''}}}}}} [br] {{{#fff College of AI•SW Creative Convergence}}}|| || {{{#A72B43 '''학과'''}}} || {{{#A72B43 '''전공'''}}} || {{{#A72B43 '''트랙'''}}} || ||<|3> [[전기전자공학과|전자공학과]] ||<|3> - || || 전기공학 || || 전자공학 || ||<|5> 소프트웨어공학부 || [[컴퓨터공학과|컴퓨터공학전공]] || 빅데이터 || || || 모바일응용SW || || [[소프트웨어학과|소프트웨어학전공]] || IOT || || [[정보보안학과 |정보보안학전공]] || 정보보안 || || [[게임학과|게임공학전공]] || 지능형게임 || || [[철도공학과|철도건설공학과]] || - || - || || [[로봇공학과|드론로봇공학과]] || - || - || || [[재료공학과|스마트배터리학과]] || - || - || ||<-3> 표시 설명 || || [include(틀:표시, other1=#FF0000, other2=#FFFFFF, other3=모집중단)] ||<-2> 학제개편으로 모집이 중단된 학과이다.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배재대학교/학부, version=169)] [[분류:배재대학교]][[분류:공과대학]] == 학과 == === 전기전자공학과 === >에너지 대변환 시대에 신재생에너지, 전기자동차, 에너지 저장장치 관련 전문인력이 필요함 >에너지 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비지니스모델과 스타트업 진출을 위한 ICT 소양 >전기분야 기본 소양과 업무 지식을 포함한 전문 교육 과정 운영 >전기분야 시뮬레이션 학습 및 산업체 견학등을 통하여 전기분야 전문인력으로서 필요한 경험을 위한 과정구성 >전기분야 취업 및 진로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전기기사 자격증 동아리 구성 [[전기공학]] 혹은 [[전자공학]]을 배울 수 있는 학과이다. 트랙제가 운영되어 전기공학 혹흔 전자공학을 선택할 수 있다. [[https://hakgwa.pcu.ac.kr/aiee|학과 사이트]] === 소프트웨어공학부 === 컴퓨터와 관련된 학문을 배우는 학부로, 4개의 전공이 존재한다. 학부제이지만 입학 시 전공을 지정하여 들어와야 한다. 학부 단위로 입학한 경우, 타 전공의 강의를 이수해 그 전공의 트랙제 이수를 받거나 전공학점을 채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컴퓨터공학전공 ==== >21세기 정보화시대에서 요구하는 컴퓨터 및 정보산업 분야에 종사할 전문공학도를 양성하며, 동시에 인성의 개방화로 공동체를 중시하고 사회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컴퓨터공학도를 양성한다. 전문기술의 "현장화/실용화 교육"을 통해 학생 1인 1전문 기술 갖기를 권장한다. 또한 공동체 의식(Community Spirit) 교육을 실시한다. >즉 개방화 교육을 실시하는 것인데, 인성의 개방화, 전문 기술의 개방화, 정보의 개방화를 통해 학생 개개인의 각종 정보를 체계적으로 개방화하여 시대와 함께하는 전공실현을 구현한다. [[https://hakgwa.pcu.ac.kr/ce|학과 사이트]] [[컴퓨터공학]]을 배우는 전공이다. 모바일SW학 전공이 있었으나 본 전공으로 통합되었다. ==== 소프트웨어학전공 ====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차세대 기술 : 최근에는 컴퓨터와 통신 분야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술 융합을 통한 IT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새로운 인터넷서비스들이 창출되고, 첨단 스마트시대로 변해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양한 스마트기기 및 센서를 활용하는 IoT 기술과 AI를 활용한 지능형 인터넷서비스 등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발전할 것입니다. >스마트시대의 미래 인재상 : 따라서 이러한 스마트시대에서는 AI를 활용한 기술의 성숙으로 인해 융합, 창의, 공유를 잘하는 지식근로자들이 환영을 받게 될 것입니다. [[https://hakgwa.pcu.ac.kr/is|학과 사이트]] [[정보통신학]]을 배우는 전공이다. 이름이 소프트웨어학이라 컴퓨터공학이랑 별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실은 정보통신학문을 공부하는 학과이다. ==== 정보보안학전공 ==== >사이버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범죄를 예방, 방어, 공격하는 기술을 체계적으로 교육시켜 차세대 사이버 보안전문가를 양성하여 안전한 사이버 공간을 이루고자 2014년에 설치된 전공입니다. [[https://hakgwa.pcu.ac.kr/security|학과 사이트]] [[정보보호학]]에 대해 공부하는 전공이다. ==== 게임공학전공 ==== >게임산업은 고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정부의 신성장 동력사업 중 하나인 디지털 콘텐츠의 핵심분야로서 기술적인 측면 뿐 아니라 문화적으로도 막대한 영향력을 가진 중요 산업입니다. 이와 더불어 현재의 게임개발 기술 분야는 단순한 엔터테인먼트를 넘어 실시간 그래픽, 인공지능, 가상/증강현실 등의 기술들을 통하여 다른 주요 산업분야에서의 기술적 혁신과 창의성을 촉진하는 데 기여하는 파워하우스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본 게임공학전공에서는 첨단 스마트 IT 기술을 접목한 차세대 게임프로그래밍, 게임디자인 및 가상/증강현실 등에 대한 기술교육과 함께 대학의 창의력 증진, 글로벌화 관련 교육 등의 프로그램으로 국제적 감각을 지닌 공학예술인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전공은 정부의 대형 국가사업인 AI‧SW중심대학사업, 지역지능화 혁신인재 양성사업, 디지털 신기술 혁신공유대학 사업 등의 지원을 받아 우수한 시설 및 교육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으며, 한국의 실리콘밸리인 대전 대덕연구단지의 연구소 및 기업체와 밀착형 산학연협력 체계도 구축하고 있습니다. [[게임공학]]에 대해 공부하는 전공으로, 게임 개발에 대하여 배우게 된다. === 철도건설공학과 === >철도건설공학과는 21세기 인간이 필요로 하는 공간 환경을 개발·보존·디자인할 수 있는 건설 환경 및 철도분야의 전문기술인 양성을 목표로 하며 펄도, 도로, 교량,항만, 공항, 상하수도 시설 등 사회간접 자본시설의 효율적인 설계, 경제적인 건설 및 안전한 운용에 필요한 공학적인 지식과 기술은 물론 환경 친화적인 개발과 보존 방안을 연구하고 교육하여 21세기 친환경 고도산업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우수한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 [[https://hakgwa.pcu.ac.kr/civil/|학과 사이트]] 24학년도부터 철도드론건설학과에서 분리되어 기존 편제로 회귀한 학과이다. 철도 및 토목에 대한 내용을 공부하게 된 과이다. === 드론로봇공학과 === >드론 제작부터 비행제어 컴퓨터 프로그래밍, 조종 및 항공 촬영 훈련, 자동비행까지 전 과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로봇과 자동화기기를 제작/운용하는 능력을 기르며, 로봇 산업에서 가장 필수적인 관련이론 실습 그리고 다양한 실무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 학사 운영을 진행합니다. [[https://hakgwa.pcu.ac.kr/robot|학과 사이트]] 드론과 로봇에 대해 전공하는 학과이다. 2024학년도에 신설되는 학과로, 기존 드론철도건설시스템공학과에서 분리된 뒤, 로봇 관련 커리큘럼이 추가된 형태이다. === 스마트배터리학과 === >스마트배터리학과는 기초화학의 기반 위에 공학의 여러 분야가 유기적으로 복합된 새로운 융합응용학문이며, 물리, 화학, 재료 및 시스템공학에 기반을 둔 첨단나노 및 환경기술을 신에너지 생산, 저장 및 활용시스템에 학문적으로 접목할 수 있는 이론과 공정기술을 교육하고 연구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기본적으로 배터리의 소재, 구조, 물성, 공정 및 기능 등의 본질을 규명하고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배터리의 특성을 극대화시키며 구체적으로는 차세대 성장동력분야인 이차전지, 연료전지 및 태양전지의 기술발전을 도모하고 차세대 배터리의 에너지 절감 소재 및 공정기술, 신재생에너지 융합분야의 교육 및 연구개발에 역점을 두고 전문인력을 양성함을 목표로 하고 있다. [[https://hakgwa.pcu.ac.kr/battery|학과 사이트]] 구 신소재공학과이다. 2차전지 열풍과 함께 과의 이름과 성격이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