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학교법인 배재학당)] ---- ||<-2> [[배재학당|[[파일:배재학당 심볼.svg|width=30]]]] {{{#005aab {{{+1 '''배재학당 역사박물관'''}}}[br]{{{-1 培材學堂歷史博物館 }}}}}}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배재학당 동관,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서소문로]]11길 19[br]([[정동]] 34-5, 배재학당역사박물관) || || '''{{{#fff 종류}}}''' || 대학박물관(제1종 전문박물관) || || '''{{{#fff 개관일}}}''' || [[2008년]] [[7월 24일]] || || '''{{{#fff 관장}}}''' || 김종현 || || '''{{{#fff 전화}}}''' || 02-319-5578 || || '''{{{#fff 웹사이트}}}''' || [[https://appenzeller.pcu.ac.kr/main/index.ph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B5211P4yQrdlQweqoVat2w|[[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2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kcutThbOt0)]}}} || || '''{{{#fff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홍보 동영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정동]]에 있는 [[배재학당]]의 역사박물관. == 상세 == [[배재학당]]은 [[1885년]]([[고종(대한제국)|고종]] 22년)에 [[미국]]의 [[감리회]] [[선교사]]인 [[헨리 아펜젤러]]가 정동에 세운 [[한국]] 최초의 근대식 중등교육기관이다. 자세한 학교의 역사에 대해서는 [[배재학당#s-2|배재학당 문서의 역사 단락 참조.]] 배재학당 역사박물관은 2008년 7월 24일에 개관했다. 100년 넘게 이어온 배재학당의 역사성을 기리고 관련 유물들을 보존하기 위해 재단 측에서 [[2003년]] 박물관설립추진위원회를 결성했고, [[2006년]] 박물관으로 사용할 건물을 복원 및 보수했다. 그리고 상술했듯 2008년 7월에 개관했고, 4개월 뒤인 그해 11월에는 제1종 전문박물관으로 등록하여 배재학당 역사박물관을 탄생시켰다.[[https://appenzeller.pcu.ac.kr/museum/history.php?top=1|#]] == 건물(배재학당 동관) == ||<-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기념물|{{{#fff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 || 15호 ||<|2> ← || '''16호''' ||<|2> → || 17호 || || [[아차산#s-5|아차산 봉수대 터]] || '''배재학당 동관''' || [[완성군(1454)#s-4|조석견과 완성군 이귀정 묘역]]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fff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16호}}}''' || ||<-2> {{{#fff {{{+1 '''배재학당 동관'''}}}[br]{{{-1 培材學堂 東館}}}}}}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배재학당 동관,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서소문로11길 19[br](정동 34-5, 배재학당역사박물관)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근대교육문화 / 학교시설 || || '''{{{#fff 수량 / 면적}}}''' || 건물 1棟(3면 계단 포함), 토지 365.6㎡ || || '''{{{#fff 지정연도}}}''' || [[2001년]] [[3월 15일]] || || '''{{{#fff 시대}}}''' || [[일제강점기]]([[1916년]]) || || '''{{{#fff 관리자[br](관리단체)}}}''' || [[배재학당|학교법인 배재학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ejae_history_museum_cc0.jpg|width=100%]]}}} || || '''{{{#fff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건물[* [[https://pixabay.com/ko/%ED%95%9C%EA%B5%AD-%EC%84%9C%EC%9A%B8-%EC%A4%91%EA%B5%AC-%EB%B0%B0%EC%9E%AC%ED%95%99%EB%8B%B9-%EC%A0%95%EB%8F%99%EA%B8%B8-%EC%97%AD%EC%82%AC-%EC%9D%B4%EC%8A%B9%EB%A7%8C-%EA%B9%80%EC%86%8C%EC%9B%94-435322/|사진 출처]]]}}}''' || [clearfix] ---- [[근대]]에 사용했던 3층 건물을 [[박물관]]으로 [[리모델링]]하여 활용하고 있다. [[1916년]]에 지은 이 건물은 '아펜젤러 홀'이란 별칭으로도 불렸으며, 배재학당의 후신 중 하나인 [[배재고등학교]]가 [[1984년]]에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서울)|고덕동]]으로 옮겨갈 때까지 실제 학교 교실로 썼던 건물이다. 좌, 우 대칭이 뚜렷하고 벽돌을 주 자재로 하여 부분부분 석재를 쓴 것이 특징이다. 건물은 2001년 3월 15일에 '배재학당 동관'이란 이름으로 [[서울특별시의 기념물|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16호로 지정받았다. == 교통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5]][[서울 지하철 2호선]] [[시청역(서울)|시청역]]: 도보로 약 4분 걸린다. 10번 출구로 내려서 [[대한항공]] 빌딩을 지나 쭉 걷다가 고려삼계탕 건물에서 오른쪽으로 꺾어 조금 걸으면 보인다. * 가능하면 [[자가용]]은 이용하지 않는 것이 편하다. 일단 서소문로에서는 진입할 수 없기 때문에, [[덕수궁]] 돌담길을 따라 들어가는 수밖에는 없다. 그나마 [[서대문]]이나 [[경복궁 광화문|광화문]] 쪽에서 가는 건 그런대로 무난한데, [[숭례문]]이나 서울 동부 쪽에서 오는 경우에는 서소문로를 통해 가려다 낭패를 볼 수 있으니 주의. 더군다나 박물관 앞까지 나있는 [[도로]]의 폭도 좁고, 무엇보다 차 세울만한 곳이 없다. 배재빌딩에 주차하면 되긴 하는데 [[유료]]이다. == 관람 안내 == * 입장료: 무료 * 관람 시간 및 휴관일 * 화요일 ~ 토요일: 10:00 ~ 17:00 * 일요일, 월요일, 법정공휴일: 휴관 == 구성 == || {{{#005aab '''층'''}}} || {{{#005aab '''공간'''}}} || ||<#005aab> {{{#fff '''지상 1층'''}}} || 체험교실, 상설전시실 1, 특별전시실 || ||<#005aab> {{{#fff '''지상 2층'''}}} || 상설전시실 2, 기획전시실 || ||<#005aab> {{{#fff '''지상 3층'''}}} || 세미나실, 회의실 || ||<#005aab> {{{#fff '''지하 1층'''}}} || 학예연구실 || === 체험교실 === === 상설전시실 1 === === 특별전시실 === === 상설전시실 2 === === 기획전시실 === === 세미나실 === === 회의실 === === 학예연구실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배재학당, version=507)][[분류:배재학당]][[분류:대학박물관]][[분류:서울특별시의 박물관]][[분류:서울특별시의 기념물]][[분류:근대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