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키카이토피아 왕조 토지텐드)] [include(틀:슈퍼전대 시리즈의 악의 조직 메카)] [include(틀:기계전대 젠카이저 주역 메카)] [목차] == 개요 == [[기계전대 젠카이저]]의 악역 메카. == 설명 == || [[파일:Battle_Caesar_Robo_Cockpit.webp|width=100%]][br][[파일:Battle_Caesar_Robo_3_Cockpit.webp|width=100%]] || || 조종석[* 위쪽은 배틀시저 로보 & 배틀시저 로보 2세, 아랫쪽은 배틀시저 로보 3세. 이후 배틀시저 로보 & 배틀시저 로보 2세의 조종석은 이지루 데스트로이어 4세의 조종석으로 재사용되었다.] || [[스테이시(기계전대 젠카이저)|'''{{{#purple 스테이시저}}}''']] 전용의 거대 암흑 로봇. [[이지루데]]가 개발했다. [[신켄오|암흑 검과 스테이시 실드로 무장하고 참격의 폭풍으로 적을 쓰러뜨린다.]] 소드 시저를 [[건담|어깨, 팔, 다리에 부착하고 공격한다.]] 모티브는 스테이시저의 모티브인 배틀 재팬이 주인공인 [[배틀피버 J]]의 로봇인 [[배틀피버 로보]]이며, 이에 걸맞게 전체적인 모티브나 각종 무장의 디자인, 그리고 필살기 사용 모션은 배틀피버 로보를 완벽하게 오마쥬했다. 포지션은 스테이시가 제 3세력 같은 모습을 보여준 만큼 배틀시저 로보 또한 [[초전자 바이오맨]]의 [[발지온]]과 흡사하게 나온다. 머리의 거대한 뿔이나 검을 무기로 사용하는 등 디자인상으로도 유사점이 있다. == 스펙 == === 배틀시저 로보/배틀시저 로봇 === ||<-2> [[파일:robo8.png|width=100%]] || || '''이름''' || バトルシーザーロボ || || '''주요 출연작''' || [[기계전대 젠카이저]] || || '''전고''' || 45.5m || || '''중량''' || 2150t || || '''속도''' || 350㎞/h || || '''마력''' || 900만 마력 || || '''슈트 액터''' || 야베 케이조우(矢部 敬三)[* [[마진전대 키라메이저|전작]]의 [[스모그 죠키]]를 맡았었다.] || || '''첫 등장''' || 느릿느릿 뱅글뱅글, 딱딱한 껍질![br](기계전대 젠카이저 에피소드 12) || === 배틀시저 로보 2세/배틀시저 로봇 2세 === ||<-2> [[파일:robo12.png|width=100%]] || || '''이름''' || バトルシーザーロボ2世 || || '''주요 출연작''' || [[기계전대 젠카이저]] || || '''전고''' || 46.0m || || '''중량''' || 2200t || || '''속도''' || 350km/h || || '''마력''' || 1000만 마력 || || '''슈트 액터''' || 야베 케이조우 || || '''첫 등장''' || 우시시한 맹렬 투우회![br](기계전대 젠카이저 에피소드 22) || 14화에서 파괴된 배틀시저 로보의 강화형. 머리[* 얼굴이 [[건담 타입|건담을 닮았다던가]] 세 갈래의 뿔이 [[다이덴진]]을 연상시킨다는 의견이 있다.]를 제외한 나머지는 달라지지 않았다. [[이지루데]]에 의해 [[젠카이쥬오]]에 대적할 수 있을 정도로 강화되었으나 징크스를 피하지는 못했다. === 배틀시저 로보 3세/배틀시저 로봇 3세 === ||<-2> [[파일:robo15.png|width=100%]] || || '''이름''' || バトルシーザーロボ3世 || || '''주요 출연작''' || [[기계전대 젠카이저]] || || '''전고''' || 45.5m || || '''중량''' || 2250t || || '''속도''' || 350km/h || || '''마력''' || 1100만 마력 || || '''세계''' || 키카이토피아 || || '''슈트 액터''' || 야베 케이조우 || || '''첫 등장''' || 무한 새해 생일 파티![br](기계전대 젠카이저 에피소드 39) || 23화에서 파괴된 배틀시저 로보 2세의 강화형. 머리의 형태가 처음 등장한 모습으로 돌아왔고 스테이실드의 컬러가 변경되었다.[* 강화된 스테이시저의 것으로 재도색된 걸 그대로 사용했다.] 후술할 작중 행적대로 스테이시 전용 메카 중에서 유일하게 첫 등장 후 바로 다음화에서 파괴되었던 징크스를 벗어난 메카가 되었다. === [[이지루 데스트로이어 4세]]/어지르탱 디스트로이어 4세 === == 무장 == * '''암흑검''': 일본도 형태의 배틀시저 로보의 주력 무장. 모티브는 배틀피버 로보의 전광검. * '''스테이실드''': 배틀시저 로보의 주력 방어용 무장. 왼손에 들고 사용한다. 모티브는 배틀피버 로보의 배틀 실드. * '''소드 시저''': 배틀시저 로보의 또다른 주력 무장. 근접전 무장이지만 투척용, 포격용으로 쓰이기도 한다. 평소에는 양다리에 장비하며, 시저 암흑뇌명격 시전 시 양팔에 암 캐논으로 장착한다. 모티브는 배틀피버 로보의 소드 피버. == 필살기 == * '''크로스 시저''': 소드 시저를 십자로 교차시킨 뒤 상대에게 투척한다. 시전 모션은 배틀피버 로보의 크로스 피버의 오마쥬. * '''시저 암흑검 대나무 가르기(시저 암흑검 세로베기)''': 암흑검에 에너지를 충전후 세로로 베어가른다. 시전 모션은 배틀피버 로보의 전광검 대나무 가르기의 오마쥬. * '''시저 암흑뇌명격''': 소드 시저를 양팔에 암 캐논으로 장착한 뒤 전신의 포구와 소드 시저에서 강력한 에너지포를 발사한다. == 작중 행적 == 10화: 이지루데의 설계도로 등장한다. 11화: 막바지 쯤에 거의 완성되어 가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12화: 후반부에서 드디어 출격. 무장이 박살난 젠카이오 쥬라가온을 상대하지만 대달팽이 월드가 투카이오 캇타나에게 패배하자 물러난다. 13화: 후반부에 재활용전대 대월저가 패배하고 대재활용 월드 혼자 남은 상황에서 출격하여 크로스 시저로 대재활용 월드를 쓰러트린다. [[파일:BattleCaesarRobo_Destruction.webp]] 14화: 투카이오와 대결하는데, 온갖 무장을 투카이오 릿키에게 전부 카운터 당했으며, 투카이오 캇타나와의 검술 대결에서 검을 떨어트림과 동시에 캇타나 도 열화대참을 맞고 패배하여 파괴되었다. 22화: 전에 만들어진 "배틀시저 로보"에서 머리 부분이 변경된 "배틀시저 로보 2세"로 강화되어 등장한다. 빠른 스피드를 이용한 공격으로 대투우 월드와의 전투에서 이긴 젠카이쥬오에게 선제 공격을 날리면서 에피소드가 끝난다. 23화: 늦은 시간까지 전투가 끝나지 않자 일시 휴전으로 일단 퇴각한다. 다음날 젠카이저와 결투하던 도중 다시 나타나 슈퍼 젠카이저를 밀어붙이고 '시저 암흑검 대나무 가르기'로 한 방 먹이지만 쥬란의 참전으로 등장한 슈퍼 젠카이오에게 밀리기 시작한다. 마침 이지루데가 보낸 쿠다이 테스트의 도움으로 위기를 모면하지만 슈퍼 투카이오에게 쿠다이 테스트가 파괴되고 '크로스 시저'를 날려 슈퍼 젠카이오의 합체를 해제시킨 뒤 젠카이쥬오와 2차전을 벌인다. [[파일:Battle_Caesar_Robo_II_Destruction.webp]] 끝내 '시저 암흑뇌명격'을 날리지만 '괴수 맥스 블래스터'에 완전히 밀리고 날아가면서 파괴된다. 39화: "배틀시저 로보 3세"로 등장한다. 대정월 월드를 공격하려는 투카이오 리키를 견제하지만 대정월 월드와 함께 전력전개 피날레 버스터를 맞기 직전에 간신히 피했다. 이후 [[하카이쥬오]]가 나타나는 걸 목격한다. 이후로 등장이 없다가 43화에서 스테이시가 토지텐드로부터 이탈하면서 앞으로의 등장이 요원해졌지만... 47화: 이지루데에 의해 개조되어 "[[이지루 데스트로이어 4세]]"로 재등장한다. == [[완구]] == === DX === 태생이 악역 메카인데다 활약도 저조하고 변형 및 합체 기믹이 없는 탓에 DX 사이즈의 완구는 발매되지 않았다. 조종사인 스테이시가 원래 기획상에 없었던 캐릭터인 걸 감안하면 배틀시저 로보가 완구로 나오지 않은 건 당연한 걸지도 모른다. 이 때문에 멋진 디자인으로 상품화를 기대한 팬들이 아쉬워 하고 있다. === 미니프라 === 프리미엄 반다이 한정판으로 2021년 12월에 발매되었다. == 기타 == 이름과 디자인의 유래는 [[배틀피버 로보]]. [[데카 윙 로보]] 이후 17년만에 이름에 '''XX로보'''가 들어간다. 잡지에서 함께 공개된 [[투카이오]]와 디자인 면에서 비교되어 이전 작품들중 배틀시저 로보와 비슷한 포지션 이었던 [[초전자 바이오맨]]의 [[발지온]] 처럼 훨씬 멋지다는 평가가 많다. 출격해서 날아올때는 고개도 들지 않은 차렷자세 그대로 날아오는데, 이는 당시 기술력 부족으로 항상 이런 고정적인 자세로 출격했던 고전 전대의 로봇 출격신을 오마주한 것으로 보인다. 등장 이전에는 멋진 디자인으로 대부분이 활약을 기대하고 있었지만 이런 기대가 무색하게도 전과는 그리 좋지 않다. 첫 전투 당시 대달팽이 월드에 의해 무기가 파괴된 젠카이오를 끝장내지 못했고, 전투 자체도 투카이오 캇타나의 데뷔전에 묻혀버린데다 대달팽이 월드가 쓰러지자 그대로 도주했다. 두번째 등장에서는 첫킬을 따내긴 했는데 그 대상이 아군인 대재활용 월드인데다 이미 투카이오가 다른 대월드를 끝장낸 상태였기에 사실상 막타를 때린것이나 다름없었다. 3번째로 등장했을때는 아예 투카이오에게 참패하고 파괴된다. 그래서 [[슈퍼전대 마이너 갤러리]] 등지에서 붙인 별명이 배틀시저 '''쫄보''' 및 배틀'''싫어(시저)''' 로보(...). . 그나마 2세로 강화된 후에는 젠카이쥬오와 맞붙을 정도로 강화되어 나름 활약할까 싶었는데, 다음화의 2번째 전투에서는 슈퍼 젠카이오에게 쩔쩔 매다가 쿠다이 테스트가 참전한 뒤에아 우위를 잡았으며 끝내 젠카이쥬오와의 화력 대결에서 참패해 파괴되는 굴욕을 겪는다. 39화에서 등장한 3세의 경우, 이제는 작중 인물들도 놀라기 보다는 '''저거 또 있었냐?'''라며 지겨워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마지막에 [[하카이쥬오]]가 등장하면서 묻혔다(...) 이후 등장이 없다가 47화에서 이지루데 전용으로 개조되어 젠카이저 일행을 위기에 빠뜨리지만 최후에 젠카이오 2기의 맹공으로 파괴되고 개발자인 이지루데도 사망하면서 배틀시저 로보의 계보는 완전히 끊어졌다. 다리와 어깨의 대형 구조물은 설정상 무장을 장착하는 용도지만 유독 크고 눈에 띈다는 것때문에 다른 메카와의 합체용 조인트라는 의심을 샀었다.[* 특히나 어깨를 오른쪽으로 90° 위로 꺾어 보면, 슈퍼전대 특유의 '''발의 추가 파츠와 굉장히 유사하다.'''] 만일 스테이시가 개심하고 신전사로 합류하거나 일시적으로 공투하는 전개가 발생할 경우, 해당 조인트를 사용한 합체 기능이 개방되면서 [[그레이트 합체]]의 중심이 될 가능성[* 실제로 이전 작들 중에는 [[키라오]]나 [[스피노다이오]] 같은 강제합체 사례도 있고, [[파이어카이저]]나 [[킹 익스프레스]]처럼 적 메카와 새로운 합체를 하는 사례도 있었다.]이 거론되었으나, 미니프라로 발매된 배틀시저 로보는 변형기능이 없다는 게 밝혀졌고, 본편에서도 마지막까지 변형 및 추가 합체는 없었다. [[분류:슈퍼전대 시리즈의 악의 조직 메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