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분류:금시조 월드/등장인물]] == 개요 == [[무협소설]] 《[[천뢰무한]]》의 [[금시조 월드/등장인물|등장인물]]. 백결맹의 천룡령주이자 [[구파일방]]의 공동 전인. 백결맹주이자 일원검주인 연자심의 둘째 제자이기도 하다. 별호는 십전수사. 별호에서 십전이란 구파일방에 속한 10개 문파의 무공을 완전하게 익혔다는 의미다. 연자심의 제자이긴 하지만 초심회의 고목신개 역불기와도 사제지간이다. 그래서 [[개방]]이 백결맹주 후보로 밀어주고 있다. 그리고 개방의 제자답게 옷도 안 닦아서 땟국에 절었고, 피부도 시커멓다. [[서문연]]의 첫사랑 상대이자 서문연이 개념인이 되는데 일조한 인물. 거기다가 서문연의 직위인 봉황령주는 천룡령주의 예비 부인이다. ~~하지만 당연하게도 서문연과 이어지지 않는다~~ == 작품 내 행보 == 작품 중후반부까지는 천축에 천룡사에 머무르고 있어 등장이 전혀 없었다. 다만 몇 번 언급된 정도. 봉황령주 [[서문연]]이 등장하고, [[사도빈]]이 패배하자 천룡사에서 다시 중원으로 돌아온다. 돌아오는 와중에 백가명을 견제하는 [[사굉운]]에 의해 몇 번 습격을 받았지만, 졸라 짱 쌔서 문제없이 왔다. 그리고 [[서문연]]과 [[낙무흔]]이 머무르던 객잔에 와 [[낙무흔]]과 서로 서문연을 두고 싸운다. 하지만 대자연류를 막는 [[낙무흔]]을 보고 일단을 물러간다. 백결맹으로 돌아온 뒤에, 사천에서 허만경을 이용해 [[사도빈]]이 일으킨 혈겁을 조사해 [[사굉운]]을 본격적으로 견제한다. 그리고 연자심, 고목신개 역불기와 협력해 [[사굉운]]을 뇌옥에 집어넣고 연자심이 명분을 무시하고 대의를 위해 [[사굉운]]이 죽이려 들었지만, [[사굉운]]의 [[무적검]] 흑암과 파천황을 맞고 사망, 백가명의 스승인 고목신개 역불기 역시 살해당하고 같이 있던 백가명도 죽기 직전까지 갔지만, [[서문연]]이 타고 온 적령봉황에게 구조되어 봉황천으로 머무르면서 부상을 회복한다. 봉황천에 머무르면서, 연자심이 언젠가 말해주었던 일원검의 화두를 깨달아 [[무적검]] 일원을 얻었다. 그리고 일원의 힘으로 [[무적검]] 파멸에게 당해 상처를 입은 적령봉황을 치유하고 [[낙무흔]]이야말로 [[사굉운]]을 무찌를 수 있다고 판단해 [[서문연]]과 함께 [[낙무흔]]의 뇌정마교로 향한다. 지뢰이십팔식을 얻는 걸 실패하고 실의에 빠진 [[낙무흔]]을 위로해주는 [[서문연]]을 보고, ~~자기가 차였음을 알고~~ 서문연을 포기한다. 그리고 심덕조에게 [[사굉운]]에 대한 진실을 듣는다. 여기서 [[뇌정마교]]에는 여자가 적고 그나마 있는 나이 많은 혈호접도 짝이 있는데 자기만 [[솔로]]라고 한탄한다. 백결맹의 무림 연합군과 [[뇌정마교]]에 싸움에 참가해 [[무적검]] 일원으로 [[사굉운]]에게 조종당하는 만력공 모용중산의 [[무적검]] 파멸과 맞서 싸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모용중산에 비해 무적검의 깨달음이 깊지 않아 밀리자, 내단지기와 잠원지기까지 사용해 간신히 모용중산을 상대로 승리한다. 원래는 내공을 잃는 걸 넘어 죽었어야 정상이지만, 막판에 [[낙무흔]]이 온 덕에 머리가 하얗게 센 걸로 살아남았다. 여기서 [[서문연]]이 [[낙무흔]]을 서방님이라고 부르는 걸 보고 자기가 이 꼴 보기 싫어서 죽으려고 했던 거라고 불평한다. == 성격 == [[서문연]]과 더불어 개념인에 속한다. 원래 원체 귀하게 자라 사치스럽고 공주 같은 면이 있던 [[서문연]]에게 가난한 이들의 삶을 보여줌으로 서문연의 성격이 변하는데 기여를 했다. 그리고 [[서문연]]을 좋아했는데 [[낙무흔]]과 [[서문연]]이 같이 있는 걸 보자 ~~[[NTR]]~~ 쿨하게 서문연을 포기하고 [[사굉운]]의 공격에서 뇌정마교를 지키는 게 게 자신이 서문연에게 보여줄 수 있는 마지막 사랑이라는 발언을 했다. 그 뒤로는 [[서문연]]을 여동생처럼 생각하는 모양. 스승인 고목신개 역불기와는 눈물겨운 사제지간. 어렸던 백가명을 거둬준 사람이라 역불기를 존경하는 걸 넘어 스승이면서 동시에 친구이자 부모였다고 한다. 역불기가 [[사굉운]]의 음모로 죽자 빡친 나머지 모용중산을 상대로 대자연류를 사용했었다. 의외로 하는 말 하나하나가 장난기가 넘치는 [[개그 캐릭터]]이기도 하다. 뇌정마교에 여자가 별로 없다면서 자신 같은 멋진 남자를 짝도 없이 죽게 만들어도 되는 거냐고 투덜댄다거나, 자신의 본명을 모르는 서문연에게 부인이라고 하면서 안 씻은 몸으로 달려든다거나, 형사웅이라는 임자가 있는 철고에게 마음 터놓고 사귀지 않겠냐고 집적대다가 숨어 있던 형사웅이 죽고 싶지 않으면 그 발언을 취소하라는 말을 들었다. 이 말을 듣자 구시렁대면서 [[니트|자신이 할 일은 낙무흔을 기다리는 것]]밖에 없다고 말해 [[니트]] 인증을 했다. 그리고 결정타를 날린 게 낙무흔과 서문연의 염장질에 이 꼴 보기 싫어 죽으려고 했다는 말. ~~불쌍해 죽겠다~~ 이래 보여도 진지할 때는 진지한 인물이다. 일원을 얻었음에도 자신이 아니라 [[낙무흔]]이야말로 희망이라는 발언을 [[서문연]]에게 하거나, 모용중산과 맞서 싸울 때 보여준 모습을 보면 [[개그 캐릭터]] 같은 면모는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 성격적으로 비슷한 면은 없지만 대자연류를 얻어 불이에 대한 화두를 깨달아 일원을 얻은 걸 보면 [[정소운]]의 오마주에 해당한다. 다만 백가명은 주인공이 아니라 [[주인공 보정]]을 못 받았을 뿐. == 백가명의 무공 == * 대자연류 - 백도 무공의 궁극. 천지간에 존재하는 대자연의 이치에 순응하는 무공으로 [[정소운]]이 익혔던 대자연검결과도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다. 대우주 자체와 동화할 수 있어 대자연류를 사용하는 상대의 기척을 읽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공간의 위치가 구분이 없다는 소리인데 한 곳에 존재하면서 어느 곳에도 존재할 수 있다고 한다. * 일원 - 정소운이 깨달았던 [[무적검]]. 모든 것을 탄생시키는 힘이자, 모든 걸 생육케 하는 근원의 힘이다. * 십보태련 - [[청성파]]의 무공. 권법 중 연환권에 속한다. * [[백보신권]] - 소림사의 무공. 말 그대로 백 보 밖의 상대를 공격할 수 있는 권법이다. * 구만겁운 - [[곤륜파]]의 무공. 산 위의 구름을 보고 영감을 얻어 만들었다는 곤륜파의 수공으로 쌓이고 쌓여 끝이 없어 보이는 구름 같은 수강을 보이지 않을 정도로 겹쳐 상대를 공격하는 무공이다. * 금강부동신보 - [[소림사]]의 신법. 부동이라는 이름답게 가만히 서 있는 걸로 보이는 신법이지만,흡사 연기가 스쳐 가는 것처럼 공격을 회피할 수 있다. * 취팔선보 - [[개방]]의 무공. 취팔선보라는 이름처럼 신법을 발휘하면 마치 술에 취한 사람이 걷는 것처럼 보이지만, 공격을 흘려낼 수 있다. * 취과은선한 - 취팔선보의 초식 중 하나. 지척의 거리에서도 공격을 피할 수 있다. * 유운비 - [[무당파]]의 신법. 흡사 날아오는 것처럼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 혜광심어 - 소림사의 무공으로 전음의 일종. 단 소리를 내공으로 포장해 전달하는 전음과 달리 이쪽은 머릿속에서 말을 울리게 한다. 마음과 마음으로 대화한다고 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