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BC 주말 특별기획(2011~2015))] ---- || '''{{{#FFFFFF 백년의 유산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1 [[문화방송|[[파일:MBC 로고.svg|width=50]]]] '''[[MBC 연기대상|{{{#334555,#A8BBCC 연기대상}}}]]'''}}}[br][[틀:MBC 연기대상 시청자가 뽑은 올해의 드라마|{{{#334555,#A8BBCC '''시청자가 뽑은 올해의 드라마'''}}}]] || || [[해를 품은 달(드라마)|해를 품은 달]][br](2012년) || {{{+1 →}}} || '''백년의 유산[br](2013년)''' || {{{+1 →}}} || [[왔다! 장보리]][br](2014년) || ---- }}} || ---- ||<-3>
''' [[MBC|[[파일:MBC 로고 화이트.svg|width=38.5]]]] 주말 특별기획[br]{{{+1 백년의 유산}}}''' (2013)[br]''Hundred Year Inheritance''[br]''百年의 遺産''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img.imbc.com/130014061690346214_Big_C.jpg|width=100%]]}}} || ||<-2> '''장르''' ||[[가족]], [[요리물|요리]], [[멜로]], [[로맨스]], '''[[막장 드라마]]''' || ||<-2> '''방송 시간''' ||[[토요일|{{{#373a3c,#ddd 토}}}]] · [[일요일|{{{#373a3c,#ddd 일}}}]] / 오후 09:55 ~ 오후 11:15 || ||<-2> '''방송 분량''' ||1시간 20분 || ||<-2> '''방송 기간''' ||[[2013년]] [[1월 5일]] ~ [[2013년]] [[6월 23일]]|| ||<-2> '''방송 횟수''' ||50부작 || ||<-2> '''기획''' ||이창섭 ([[MBC]] 드라마본부)|| ||<-2> '''제작''' ||[[팬엔터테인먼트|[[파일:팬엔터테인먼트 CI 가로형.svg|height=16]]]] || ||<-2> '''채널''' ||[[MBC|[[파일:MBC 로고.svg|width=50]]]] || ||<|3> '''제작진''' || '''제작''' ||김희열 → 박영석 || || '''연출''' ||주성우 || || '''극본''' ||[[구현숙]] || ||<-2> '''출연진''' ||[[유진(1981)|유진]], [[이정진]], [[최원영]], [[윤아정]], [[신구]], [[정혜선(배우)|정혜선]], [[정보석]], [[전인화]], [[박원숙]], [[차화연]] 外 || ||<-2>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fff,#2d2f34 시청 등급}}}]]''' ||[[15세 이용가|[[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2d2f34 15세 이상 시청가}}}]] || ||<-2> '''관련 사이트''' ||[[http://www.imbc.com/broad/tv/drama/bigf/|[[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cW9F7qHwDEE)] [[2013년]] [[1월 5일]]부터 동년 [[6월 23일]]까지 [[MBC]]에서 토·일요일 밤 9시 55분에 방영되었던 [[주말 드라마]]. == 시놉시스 == === 기획의도 === 설립한 지 어언 100년을 맞이하는 서울 노포에 있는 오래된 국수공장 옛날국수의 3대 장인(匠人) 엄팽달은 자녀들이 뿔뿔이 흩어져서 각자의 사업에 몰두하게 되고 아무도 100년이 된 국수공장을 물려받지 않으려 하자 특단의 조치로 국수공장을 물려받는 자녀에게 ''''경기도 안성에 있는 시가 100억의 밀밭을 물려주겠다'''' 는 엄청난 공약을 내건다. 이 밀밭 때문에 정신적으로나 평소에 부모를 업신여기고 국수공장마저 고리타분하고 오래되어 썩었다는 이유로 외면해오던 자녀들은 이 100억이 걸린 밀밭을 차지하기 위해 결국 쟁탈전과 신경전을 벌이면서 각자 부모님에게 온갖 아양과 아부를 떨어대며 효도 쟁탈전까지 나서게 되는데...[*스포일러 36회에서 안성 밀밭은 사실 명의만 엄팽달 명의인 종중 땅이라고 밝혀져서 자녀들은 [[멘붕]] 상태에 빠지게 되었다. 명의로 볼때 종중회장으로 추정된다.] 서울 변두리의 오래된 노포를 배경으로 삼대째 국수공장을 운영하는 가족들의 이야기를 다룬 따뜻한 홈드라마. == 특징 == '''[[구현숙]] 작가의 드라마 중 가장 막장도가 높은 작품''' ~~본격 [[오뚜기]] 홍보 [[드라마]]~~ ~~겟잇뷰티를 중심으로 본격 [[최종보스]]들이 집결해서 [[진 최종보스]]를 처단하는 드라마~~ [[http://blog.naver.com/rosecroi/30155624542|여주인공의 ㅎㄷㄷ한 가족 라인업]]. 원래 제목은 '삼대째 국수집' 이었다. 중견 연기자들의 라인업이 상당히 후덜덜하다. [[익스펜더블|신구, 정혜선, 정보석, 전인화, 차화연, 박영규, 박원숙, 박준금이 한 드라마에!]] 게다가 이 중견 연기자들은 [[자이언트(드라마)|각]] [[제빵왕 김탁구|드]][[시크릿 가든(드라마)|라]][[천사의 유혹|마]]에서 [[최종보스]] 역을 맡을 정도의 포스 있는 분들이니 앞으로 이들의 대결이 기대를 모으고 있다. 사실 이 드라마에 출연하는 중견 연기자들은 전부 최종보스 경력이 적어도 한 번은 있다고 봐야 한다. 심지어 비교적 약해 보이는 권오중은 [[식객(드라마)|식객]]에서, 박영규는 [[국희]]에서 최종보스 역을 맡았다.[* 중견 연기자들 몇몇은 [[시트콤]] 경력도 하나씩 있는데, 정보석은 [[지붕뚫고 하이킥]], 신구는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 권오중은 [[순풍 산부인과]]와 웬그막, 박영규는 순풍 산부인과와 [[똑바로 살아라(드라마)|똑바로 살아라]]에 출연했었다.] 주성우 PD가 연출하며 불굴의 며느리를 집필했던 [[구현숙]] 작가가 해당 드라마를 집필했다. 기획의도는 선술했듯이 따뜻한 홈드라마라고는 하는데... 사실은 --여느 주말극들이 다 그렇듯이-- [[올가미(영화)|올가미]]+[[겨울새(2007년 드라마)|겨울새]]+[[부부 클리닉 사랑과 전쟁]]을 압도하는 고품격 '''[[막장 드라마]]'''. 더불어서 등장인물들도 다 하나같이 제 정신들이 아니다. 시청자를 잡기 위해 막장 드라마계에서도 손꼽히는 1회를 보여주었다. 일단 시작부터 결혼식 대기실에서 며느리 될 사람에게 넌 아들의 잠깐 가지고 놀 장남감일 뿐이라면서 악담을 퍼붓는다. 며느리 신용카드를 잘라버리는건 기본이고, 현재 며느리에게 "넌 3개월짜리 장난감이니 3개월 뒤에 새며느리 들이겠다" 면서 미혼 여성 사진 3장을 보여주고 다음 며느리를 고르라고 한다. 공식 석상에서 가족 소개 하는데 와있는 며느리는 없는 사람 취급. 공식 파티에서 며느리 의상 트집 잡으면서 맹비난. 아들이 바람핀것처럼 오해해서 [[이혼]]하도록 아들 드레스 셔츠에 본인이 립스팁 자국 묻히기를 시도하며, 자작극을 눈치채고 비웃는 며느리를 폭행 한다. 결혼 생활을 포기하고 이혼과 위자료를 요구하는 며느리를 다시 정신병원에 감금하는데, 병원까지 유도하는 과정도 [[막장]]. 휴대전화도 몰래 빼돌려서 탈출 못하도록 하는 치밀함을 보이는데 여기까지가 겨우 1회 내용. 2회엔 정신병원을 탈출한 뒤 기억상실에 걸리는 LTE급 급속막장 전개를 보인다. 막장 드라마지만 흡입력 있는 전개와 호화 출연진의 등장으로... 라기보다는 그 신속하고 과감한 막장성 전개로 시청자들의 관심을 받으며 회자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아내의 유혹]]을 뛰어넘을 고품격 막드의 탄생이라 점치고 있는 중. --하지만 동 방송사에 [[오로라 공주(드라마)|강력한 경쟁자]]가 있었다.-- 게다가 국수공장을 물려받는 자녀에게 ''시가 100억이 넘는 밀밭을 물려주겠다'' 는 국수장인의 공약으로 평소에는 국수공장에도 관심 없고 부모님한테도 불효를 하는 듯한 자녀들이 이제 와서 100억 밀밭이라는 돈벼락에 눈들이 멀어서 그제서야 너도나도 '부모님 모시겠다', '내가 최고의 효자다', '밀밭은 내 거다' 라고 주장하며 가족 간의 쟁탈전과 신경전도 예고되어 있어서 자칫 황금만능주의와 물욕주의 등으로 인해서 효도사상을 왜곡하게 될 우려도 있다는 지적도 있지만 이런 설정들에 대해서 부가설명을 붙이자면 이미 '''현실 사례'''에 있는 것으로 딱히 왜곡한다기 보다는 이런 사상들을 덮지 않고 적나라하게 보여줌으로써 사회 문제를 비판하는 면이 크다. 또한 그런 불량 가족이였던 엄씨 일가가 처음엔 유산을 위해 너도나도 부모님 곁으로 내려온 거지만 그런 과정을 통해 가족의 소중함을 깨닫고 진정한 '명품 가족' 으로 다시 태어나는 것이 이 드라마의 기획 의도라 한다. [[오뚜기]]가 스폰서로 참여하였기 때문에 일부 장면 중에 오뚜기 제품 간접광고가 나오기도 하였다. 각 화 제목을 등장인물의 대사에서 가져왔었다. 2013년 6월 23일 최종화가 방영되었는데 마지막 장면에서 신구가 남긴 대사가 "[[니들이 게맛을 알어|니들이 국수맛을 알아]]?"여서 드라마를 보던 많은 사람들을 뿜게 했다고 한다. 2013년 8월부터 '''[[일본]]에 방영된다'''라고 한다. [[겨울연가]]를 능가할 거라는 [[언플]]에 아스트랄하다는 반응이 대다수. 2013년 [[MBC 연기대상]]에서 최고의 드라마상을 받았다. == 등장인물 == === 민채원과 그의 가족 === * [[민채원(백년의 유산)|민채원]]([[유진(1981)|유진]]) * [[민효동]]([[정보석]]) * [[양춘희]]([[전인화]]) * [[엄팽달]]([[신구]]) * [[김끝순]]([[정혜선(배우)|정혜선]]) * [[엄기문]]([[김명수(배우)|김명수]]) * [[도도희]]([[박준금]]) * 엄슬홍(서유승) : 도희와 기문의 외동아들이자 엄팽달, 김끝순의 장손으로 민채원의 외사촌 동생이자 엄보름의 사촌형이다. 부모의 기대를 한 몸에 받으며 중학교 때 미국 뉴욕으로 유학을 갔지만 생활영어를 겨우 할 수 있는 정도로 콩글리시가 심하다. 공부만 빼고 뭐든 다 잘한다. 낙천적이고 쾌활하고 시원시원하며 나이에 안 어울리게 유들유들하다. 팽달과 끝순에게 애교도 부리고 살갑게 군다. * [[엄기춘]]([[권오중]]) * [[공강숙]]([[김희정(1970)|김희정]]) * [[엄보름]]([[이태우(배우)|이태우]]) * [[엄기옥]]([[선우선]]) * [[강진(백년의 유산)|강진]]([[박영규(배우)|박영규]]) === 이세윤과 그의 가족 === * [[이세윤]]([[이정진]]) * [[이동규(백년의 유산)|이동규]]([[남명렬]]) * [[백설주]]([[차화연]]) === 김철규와 그의 가족 === * [[김철규(백년의 유산)|김철규]]([[최원영]]) * [[김주리(백년의 유산)|김주리]]([[윤아정]]) * [[방영자]]([[박원숙]]) * [[마홍주]]([[심이영]]) === 기타 === * 박은설([[황선희]]) : 과거 이세윤의 애인이었다. 김주리와는 친구였다.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 김명순([[김보연]]) : 20년만에 자신의 엄마가 일하던 엄팽달의 옛날국수 공장을 찾아와 추억에 젖는다. * 강봉수([[이현우(가수)|이현우]]) : 강진의 소속사인 연예기획사 사장. * 엄씨 종중어른들 : [[유순철]], [[이광세]] * 마영철 : 태산그룹의 회장이자 마홍주의 아버지. 34회에서 협의 이혼했다 한다. * 오혜숙([[서권순]]) : 마홍주의 어머니, 34회에서 남편과 이혼했다고 한다. == 방영 목록 및 시청률 == * '''굵은 글자'''는 '최고 시청률', '''{{{#red 빨간 글자}}}'''는 '시청률 상승', '''{{{#blue 파란 글자}}}'''는 '시청률 하락'을 의미한다. * 시청률 제공 : [[http://www.agbnielsen.co.kr/|닐슨 코리아]] || '''회차 (방영일)''' || '''닐슨 전국''' || '''변동''' || '''닐슨 수도권''' || '''변동''' || || 1회([[2013년]] [[1월 5일]]) ||<:> 13.8% ||<:> - ||<:> 14.3% ||<:> - || || 2회([[2013년]] [[1월 6일]]) ||<:> 13.0% ||<:> {{{#blue 0.8%}}} ||<:> 12.6% ||<:> {{{#blue 1.7%}}} || || 3회([[2013년]] [[1월 12일]]) ||<:> 15.5% ||<:> {{{#red 2.5%}}} ||<:> 16.6% ||<:> {{{#red 4.0%}}} || || 4회([[2013년]] [[1월 13일]]) ||<:> 15.5% ||<:> - ||<:> 17.0% ||<:> {{{#red 0.4%}}} || || 5회([[2013년]] [[1월 19일]]) ||<:> 15.0% ||<:> {{{#blue 0.5%}}} ||<:> 16.0% ||<:> {{{#blue 1.0%}}} || || 6회([[2013년]] [[1월 20일]]) ||<:> 13.9% ||<:> {{{#blue 1.1%}}} ||<:> 14.8% ||<:> {{{#blue 1.2%}}} || || 7회([[2013년]] [[1월 26일]]) ||<:> 18.8% ||<:> {{{#red 4.9%}}} ||<:> 20.3% ||<:> {{{#red 5.5%}}} || || 8회([[2013년]] [[1월 27일]]) ||<:> 17.5% ||<:> {{{#blue 1.3%}}} ||<:> 18.5% ||<:> {{{#blue 1.8%}}} || || 9회([[2013년]] [[2월 2일]]) ||<:> 20.4% ||<:> {{{#red 2.9%}}} ||<:> 21.2% ||<:> {{{#red 2.7%}}} || || 10회([[2013년]] [[2월 3일]]) ||<:> 20.4% ||<:> - ||<:> 21.9% ||<:> {{{#red 0.7%}}} || || 11회([[2013년]] [[2월 9일]]) ||<:> 17.1% ||<:> {{{#blue 3.3%}}} ||<:> 17.9% ||<:> {{{#blue 4.0%}}} || || 12회([[2013년]] [[2월 10일]]) ||<:> 14.4% ||<:> {{{#blue 2.7%}}} ||<:> 15.1% ||<:> {{{#blue 2.7%}}} || || 13회([[2013년]] [[2월 16일]]) ||<:> 18.8% ||<:> {{{#red 4.4%}}} ||<:> 19.5% ||<:> {{{#red 4.4%}}} || || 14회([[2013년]] [[2월 17일]]) ||<:> 19.0% ||<:> {{{#red 0.2%}}} ||<:> 19.7% ||<:> {{{#red 0.2%}}} || || 15회([[2013년]] [[2월 23일]]) ||<:> 20.8% ||<:> {{{#red 1.8%}}} ||<:> 21.8% ||<:> {{{#red 2.1%}}} || || 16회([[2013년]] [[2월 24일]]) ||<:> 20.1% ||<:> {{{#blue 0.7%}}} ||<:> 21.8% ||<:> - || || 17회([[2013년]] [[3월 2일]]) ||<:> 20.3% ||<:> {{{#red 0.2%}}} ||<:> 21.9% ||<:> {{{#red 0.1%}}} || || 18회([[2013년]] [[3월 3일]]) ||<:> 19.8% ||<:> {{{#blue 0.5%}}} ||<:> 21.2% ||<:> {{{#blue 0.7%}}} || || 19회([[2013년]] [[3월 9일]]) ||<:> 22.5% ||<:> {{{#red 2.7%}}} ||<:> 24.5% ||<:> {{{#red 3.3%}}} || || 20회([[2013년]] [[3월 10일]]) ||<:> 20.1% ||<:> {{{#blue 2.4%}}} ||<:> 21.6% ||<:> {{{#blue 2.9%}}} || || 21회([[2013년]] [[3월 16일]]) ||<:> 20.9% ||<:> {{{#red 0.8%}}} ||<:> 23.0% ||<:> {{{#red 1.4%}}} || || 22회([[2013년]] [[3월 17일]]) ||<:> 20.8% ||<:> {{{#blue 0.1%}}} ||<:> 22.6% ||<:> {{{#blue 0.4%}}} || || 23회([[2013년]] [[3월 23일]]) ||<:> 20.2% ||<:> {{{#blue 0.6%}}} ||<:> 21.3% ||<:> {{{#blue 1.3%}}} || || 24회([[2013년]] [[3월 24일]]) ||<:> 19.6% ||<:> {{{#blue 0.6%}}} ||<:> 20.7% ||<:> {{{#blue 0.6%}}} || || 25회([[2013년]] [[3월 30일]]) ||<:> 20.8% ||<:> {{{#red 1.2%}}} ||<:> 22.6% ||<:> {{{#red 1.9%}}} || || 26회([[2013년]] [[3월 31일]]) ||<:> 20.5% ||<:> {{{#blue 0.3%}}} ||<:> 21.9% ||<:> {{{#blue 0.7%}}} || || 27회([[2013년]] [[4월 6일]]) ||<:> 21.5% ||<:> {{{#red 1.0%}}} ||<:> 22.9% ||<:> {{{#red 1.0%}}} || || 28회([[2013년]] [[4월 7일]]) ||<:> 22.6% ||<:> {{{#red 1.1%}}} ||<:> 23.9% ||<:> {{{#red 1.0%}}} || || 29회([[2013년]] [[4월 13일]]) ||<:> 22.4% ||<:> {{{#blue 0.2%}}} ||<:> 23.7% ||<:> {{{#blue 0.2%}}} || || 30회([[2013년]] [[4월 14일]]) ||<:> 22.8% ||<:> {{{#red 0.4%}}} ||<:> 24.1% ||<:> {{{#red 0.4%}}} || || 31회([[2013년]] [[4월 20일]]) ||<:> 23.5% ||<:> {{{#red 0.7%}}} ||<:> 25.8% ||<:> {{{#red 1.7%}}} || || 32회([[2013년]] [[4월 21일]]) ||<:> 21.9% ||<:> {{{#blue 1.6%}}} ||<:> 22.9% ||<:> {{{#blue 2.9%}}} || || 33회([[2013년]] [[4월 27일]]) ||<:> 26.5% ||<:> {{{#red 4.6%}}} ||<:> 28.5% ||<:> {{{#red 5.6%}}} || || 34회([[2013년]] [[4월 28일]]) ||<:> 26.1% ||<:> {{{#blue 0.4%}}} ||<:> 27.3% ||<:> {{{#blue 1.2%}}} || || 35회([[2013년]] [[5월 4일]]) ||<:> 26.8% ||<:> {{{#red 0.7%}}} ||<:> 29.4% ||<:> {{{#red 2.1%}}} || || 36회([[2013년]] [[5월 5일]]) ||<:> 28.0% ||<:> {{{#red 1.2%}}} ||<:> 30.3% ||<:> {{{#red 0.9%}}} || || 37회([[2013년]] [[5월 11일]]) ||<:> 26.2% ||<:> {{{#blue 3.8%}}} ||<:> 29.1% ||<:> {{{#blue 1.2%}}} || || 38회([[2013년]] [[5월 12일]]) ||<:> '''30.3%''' ||<:> {{{#red 4.1%}}} ||<:> '''32.9%''' ||<:> {{{#red 3.8%}}} || || 39회([[2013년]] [[5월 18일]]) ||<:> 25.9% ||<:> {{{#blue 4.4%}}} ||<:> 27.6% ||<:> {{{#blue 5.3%}}} || || 40회([[2013년]] [[5월 19일]]) ||<:> 28.5% ||<:> {{{#red 2.6%}}} ||<:> 31.0% ||<:> {{{#red 3.4%}}} || || 41회([[2013년]] [[5월 25일]]) ||<:> 28.6% ||<:> {{{#red 0.1%}}} ||<:> 31.5% ||<:> {{{#red 0.5%}}} || || 42회([[2013년]] [[5월 26일]]) ||<:> 27.5% ||<:> {{{#blue 1.1%}}} ||<:> 30.3% ||<:> {{{#blue 1.2%}}} || || 43회([[2013년]] [[6월 1일]]) ||<:> 28.4% ||<:> {{{#red 0.9%}}} ||<:> 32.3% ||<:> {{{#red 2.0%}}} || || 44회([[2013년]] [[6월 2일]]) ||<:> 27.8% ||<:> {{{#blue 0.6%}}} ||<:> 30.2% ||<:> {{{#blue 2.1%}}} || || 45회([[2013년]] [[6월 8일]]) ||<:> 24.4% ||<:> {{{#blue 3.4%}}} ||<:> 27.5% ||<:> {{{#blue 2.7%}}} || || 46회([[2013년]] [[6월 9일]]) ||<:> 26.2% ||<:> {{{#red 1.8%}}} ||<:> 27.4% ||<:> {{{#blue 0.1%}}} || || 47회([[2013년]] [[6월 15일]]) ||<:> 28.3% ||<:> {{{#red 2.1%}}} ||<:> 30.9% ||<:> {{{#red 3.5%}}} || || 48회([[2013년]] [[6월 16일]]) ||<:> 28.6% ||<:> {{{#red 0.3%}}} ||<:> 31.2% ||<:> {{{#red 0.3%}}} || || 49회([[2013년]] [[6월 22일]]) ||<:> 28.6% ||<:> - ||<:> 32.3% ||<:> {{{#red 1.1%}}} || || 50회([[2013년]] [[6월 23일]]) ||<:> 30.3% ||<:> {{{#red 1.7%}}} ||<:> 32.6% ||<:> {{{#red 0.3%}}} || * 30.3%를 넘기며 [[MBC]]가 주간 [[시청률]] 1위를 했다는 점에서는 나름 고무적이라 할 수도 있다. 물론 [[최고다 이순신|다른시간대에 방영한 드라마]]가 부진했던 것도 있지만...[* [[KBS]] 주말 드라마는 동시간대에 경쟁자가 없어 25%는 기본적으로 넘고 주간 시청률 1위를 고수한다. 하지만 [[최고다 이순신]]은 방영 막판에 가서야 간신히 30%를 넘기는 등 부진했던 편.] == 여담 == * [[정보석]], [[신구]], [[박영규(배우)|박영규]], [[권오중]]은 모두 [[김병욱(PD)|김병욱]] PD의 시트콤에 나온 적이 있었다. * [[신구]]와 [[권오중]]에겐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 이후로 무려 [[2002년|1]][[2013년|1년]]만에 재회시켜준 작품. * [[정혜선(배우)|정혜선]]과 [[전인화]]는 [[조선왕조 오백년]], [[정 때문에]], [[제빵왕 김탁구]], [[신들의 만찬]] 이후로 무려 5번째까지 작품의 연을 이어나갔다. [[전설의 마녀|그리고 작가와 동시에 그 후속작에서도..]] [[제빵왕 김탁구]]에 이어 [[백년의 유산]]에서도 [[며느리]]와 [[시어머니]]로 나오는데 [[친밀도]]는 [[극과 극]]이다. * [[박원숙]] 역시 정혜선과 [[전인화]]와 마찬가지로 [[조선왕조 오백년]]에 출연했던 커리어가 있는 배우이다. * [[신구]]와 [[전인화]]는 [[왕과 나(드라마)|왕과 나]], [[신들의 만찬]] 바로 다음인 3번째 작품으로서 재회하게 된 셈이다. * [[김명수(배우)|김명수]] 역시도 왕과 나 이후로 신구와 전인화와 함께 재회하여 합을 맞춰갔던 자품. * 후속작인 [[스캔들: 매우 충격적이고 부도덕한 사건]]에서 [[유진(S.E.S.)|유진]]의 남편인 [[기태영]]이 연기한다. * [[이정진]]과 [[윤아정]]은 [[유혹(2014년 드라마)|뒷날 차기작]]에서 역시 재회하게 된다. * [[김명수(배우)|김명수]]와 [[권오중]] 그리고 [[윤아정]] 이 삼인방 역시도 마찬가지로 [[기황후(드라마)|4개월 뒤의 웬 역사적인 여인네를 한순간에 미화해버린 모 막장 몽골물']]이라는 작품으로 함께 출연한다. * [[전인화]]와 [[유진(1981)|유진]]을 [[제빵왕 김탁구]] 이후로 3년만에 재회시켜준 작품. [[제빵왕 김탁구]]에서는 철천지 [[원수]]로 나오더니 [[백년의 유산]]에서는 다정한 모녀지간으로 나온다. * [[전인화]]와 [[김보연]]은 [[신들의 만찬]] 8개월만에 재회한다. * [[정보석]]과 [[이정진]]은 [[좋은걸 어떡해]] 12년만에 형제지간으로 재회했다. * [[정보석]]과 [[박원숙]]은 [[보고 또 보고]] 이후로 무려 14년만에 재회했다. * [[김명수(배우)|김명수]]와 [[박영규(배우)|박영규]] 7개월후에 [[정도전(드라마)|정도전]]에 재회했다. * [[정보석]]과 [[윤아정]]은 1년후에 [[장미빛 연인들]]에 재회했다. * 드라마에서 부부로 나왔던 [[최원영]]과 [[심이영]]은 실제 커플로 발전해서 2014년 2월에 결혼했다. 심이영은 이때 이미 임신 중이었다고 한다. * [[전인화]]와 [[박원숙]]은 2년후에 [[내 딸 금사월]]에서 재회한다. * [[차화연]]과 [[박영규(배우)|박영규]]는 2년후에 [[엄마(드라마)|엄마]]에서 재회한다. * [[정보석]]과 [[박영규(배우)|박영규]]는 3년후에 [[몬스터(드라마)|몬스터]]에서 재회한다. * [[정보석]]과 [[최원영]]은 4년후에 [[매드독(드라마)|매드독]]에서 재회한다. * [[차화연]]과 [[김보연]]은 7년후에 [[한 번 다녀왔습니다]]에서 재회하며 서로 라이벌 관계로 나온다. * [[정보석]]과 [[전인화]]는 7년후에 [[오! 삼광빌라!]]에서 재회한다. * [[차화연]]과 [[윤아정]]은 10년후에 [[진짜가 나타났다!]]에서 재회한다. * --[[황치영]]과 [[오윤희]]가 전생에 부부였었다는 드립이 존재한다.-- [각주] [[분류:MBC 주말 드라마]][[분류:2013년 드라마]][[분류:2013년 종영]][[분류:가족 드라마]][[분류:요리 드라마]][[분류:50부작 드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