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백두산]][[분류:화산 폭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백두산/화산 활동, top2=946년 백두산 분화)] [목차] == 개요 == '''천문봉 분화'''(天文峰憤火) 또는 '''TWF 분화'''(TWF, Tianwenfeng eruption)는 약 2만 년에서 5만 년 전 [[플라이스토세]]에 [[백두산]]에서 발생한 대규모 화산 분화로, 백두산에서 발생한 첫 번째 폭발식(초-플리니식) 분화이다.[* Bo Pan et al. 'The TWF eruption is the first powerful explosive eruption at Changbaishan-Tianchi', "Late Pleistocene to present day eruptive history of the Changbaishan-Tianchi Volcano, China/DPRK: New field, geochronological and chemical constraints" 2020.] 이 분화로 백두산 주변의 화산 지형과 칼데라호 [[천지(백두산)|천지]]가 형성되었다. == 규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문봉 분화 이전 백두산.jpg|width=100%]]}}}|| ||<:> {{{-1 '''천문봉 분화 이전 백두산의 추정 형상'''}}} || 천문봉 분화 이전의 백두산은 3800-4200미터에 달하는 고산이었으며, 티베트 지역의 고산맥과 캄차카반도의 산맥을 제외하고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산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현재의 [[후지산]](3,776m에 필적할 정도로 높으며, 1980년 대분화 이전의 [[세인트 헬렌스 화산]]보다도 높다.] 분화 규모는 논쟁의 여지가 존재하는 946년 분화와는 달리 확실한 VEI7급이며, 천지 칼데라 주변에 쌓여있는 천문봉 분화 화산재는 천지 칼데라 주변의 B-TM(946년 분화의 화산재)의 10배 이상으로 두껍게 쌓여 있다. 이는 분화가 굉장히 격렬하고 엄청났음을 말해주지만 VEI8은 아니며, 총 분출량은 너무나도 오래된 분화이기에 알수 없다. 이 분화로 천지 칼데라는 3000미터 초반 혹은 그 이하까지 낮아졌을 것이며 최초로 천지 칼데라가 형성되었다. 천지를 이루고 있는 세 개의 화구 가운데 두 개는 천문봉 분화가 원인으로, 나머지 하나는 946년 분화 당시에 만들어졌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백두산/화산 활동, version=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