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막글)] [목차] == 개요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동과 [[서울특별시]] [[은평구]] 신사동을 이을 도로다. 현재 일부 구간이 공사 중이다. == 운영 중인 구간 == ||||||||||||<:> ~~'''[[경의로]]''' 직결~~[* [[곡산역]] 앞에서 합류하는데 정작 연결도로는 [[백마역]] 쪽에 강촌로지하차도로 연결된다.] [br] '''도로시점''' || ||<-6> ~~상세구간 미정~~ ('''착공 이전''')[* 2009년 경의중앙선 복선전철화 당시에 지은 왕복 6차로인 '''내곡지하차도'''만 개통되었다.(...)] || ||<|4> '''화정로''' || [[행주대교]] 방면 || ← || '''[[호국로(경기도)|호국로]]'''[br] (화정고교앞교차로) || → || [[의정부시]] 방면 || || 고양경찰서 방면 || ← || '''[[화중로]]'''[br]([[화정역(고양)|화정역]]사거리) || → || 고양어울림누리 방면 || || 능곡지하차도 방면 || ← || '''[[백양로(고양)|백양로]]'''[br](백양초등학교앞교차로) || → || 화중초등학교 방면 || || [[행신역]] 방면 || ← || '''[[충장로(고양)|충장로]]'''[br](옥빛공원삼거리) || → || 성사동(수역이) 방면 || ||<|7> '''[[덕양로]]''' ||<-5> ~~상세구간 미정~~ ('''건설 중''') || || [[제30기계화보병사단|30사단]] 방면 || ← || '''[[흥도로]]'''[br](은지사거리) || → || [[서오릉]] 방면 || || [[방화대교]] 방면 || ← || '''[[권율대로]]'''[br](도래울교교차로) || → || 신원동 방면 || || 행신동 방면 [br] (도내로) || ← || '''[[도내로]]/[[도래울로]]''' || → || 원흥지구 방면 [br] (도래울로) || || || || '''[[의장로]]'''[br] || → || 원흥지구 방면 || || [[화전역]] 방면 || ← || '''[[화랑로(고양)]]'''[br](화랑교차로) || → || 동산동 방면 || || [[향동지구]] 방면 || ← || '''[[향동로]]'''[br](봉산육교) || → || [[서오릉]] 방면 || ||<-6> '''봉산터널''' || || '''[[가좌로]]''' || [[수색역]] 방면 [br] ([[은평터널로]]) || ← || '''[[은평터널로]]/[[은평로]]'''[br](신사동고개사거리) || → || [[녹번역]] 방면 [br] ([[은평로]]) || ||<-6> '''도로종점''' || == 공사 중이거나 예정인 구간 == [include(틀:미개통)] === 원흥동 - 화정동 구간 === * [[2020년]] 개통예정이었으나 [[2022년]] 현재도 하술할 이유로 인해 공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 [[2020년]] 하반기에 있었던 고양시의회 본회의에 출석한 [[이재준(1960)|이재준]] 고양시장의 발언에 따르면, 해당 공사구간 토지보상은 거의 완료되었고 공사만 시작하면 되나, [[창릉신도시]] 건설로 인한 여러 교통대책 및 교통성 검토 실시 후, 창릉신도시 사업에 배정될 예산이 확정된 후 해당 구간 건설에 필요한 예산을 배정하겠다고 한다. 따라서 창릉신도시가 삽을 뜬 이후에야 해당 구간 개통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화정동 - 백석동([[곡산역]]) 구간 === * 착공 예정 * 곡산역-토당동 간 [[대주로]]를 확장 및 직선화하는 사업에 가까운 노선이다. * 이 구간은 하필 [[대곡역(고양)|대곡역]] 근교인지라 토지 보상과 관련하여 이해관계가 상당히 복잡하게 얽혀 있는 구간이라 실제 착공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 백석동 부분은 [[곡산역]] 앞으로 연결된다. 열병합발전소 삼거리에 있는 곡산교를 철거하고 6차로로 확장하면서 [[경의로]]와 연결. 일단 경의중앙선을 지나가는 내곡지하차도는 미리 개통되어서 운영되고 있는데, 정작 본 도로가 착공을 못하고 있어서 파행운영 중이다(...).[* 위성지도로 보면 알 수 있겠지만 도로폭이 다른 도로 구간보다 비정상적으로 넓다. 왕복 6차로 규모로 지어졌는데, 이 도로를 위시하고 처음부터 넓게 깔아둔 것.] 향후 [[대곡역(고양)|대곡역]] 역세권 개발 사업이 본격 추진되면 그 때서야 해결이 날 듯 싶다. * 특히 화정쪽에서 반대가 극심했다. 이 도로에서 화정구간은 화정로인데, 그 곳이 하필 통학로라는 것(...). 분명 1992년 고양시 도시계획 당시부터 계획된 도로임에도 설계가 잘못되었다고 봐도 무방. 특히 왕복 6차로임에도 도로가 꽤 좁은 편이라 여러가지가 얽혀 있다. 이건 경의로도 마찬가지지만, 화정로는 [[화정역(고양)|화정역]]과 화정고교 등 중심가를 정확히 관통하고 있다는 게 문제. [[고양대로]] 원당지하차도처럼 화정동을 아예 논스톱으로 지나는 입체도로를 지으면 좋겠지만, [[일산선]]이 간섭되어 지하차도로 지으려면 거의 대심도로 지어야 하기에 비용 문제가 만만찮으며, [[고가도로]]는 반발이 극심할 게 뻔하여 딜레마다. 다만 이를 해결하고자 가칭 화정지하차도를 구상하고 있기는 하다. 대장동에서 분기하여 화정로 북부의 [[은빛로]]를 지하로 관통하여 흥도동에서 재합류. 다만 이도 대장동 쪽에서 반발이 또(...) 있어 문제다. * [[고양시]] 일산-화정 간 [[지역감정]]도 문제를 부추기고 있는데, [[지역 이기주의|일산 사람들이 지나가지 못하게 해야 한다는(...)]] 어처구니 없는 주장도 꽤 있다. 다만 2020년 넘어가서는 일산이건 화정이건 둘 다 도로 용량이 포화된 건 매한가지라 어느정도 사그라든 측면은 있다. [[중앙로(고양)|중앙로]]와 [[고양대로]]의 고질적인 교통체증이 더 심해졌기 때문. [[분류:고양시의 도로]][[분류:은평구의 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