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러시 듀얼/야수족]][[분류:유희왕/러시 듀얼/레전드 카드]] [목차] == 개요 == [[유희왕 러시 듀얼]]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파일:百獣王 ベヒーモス(LGP1).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레전드=, 한글판명칭=백수왕 베히모스, 일어판명칭=百獣王(アニマル・キング) ベヒーモス, 영어판명칭=Behemoth the King of All Animals (미발매), 속성=땅, 레벨=7, 공격력=2700, 수비력=1500, 종족=야수족, 효과외=이 카드는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다. 그 경우\, 이 카드의 원래 공격력은 2000이 된다., 조건=이 카드를 일반 소환한 턴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몬스터(야수족)를 [이 카드를 어드밴스 소환할 때에 릴리스한 몬스터의 수]만큼 고르고 패에 넣는다.)] [[백수왕 베히모스]]의 [[유희왕 러시 듀얼]] 버전. [[유희왕 러시 듀얼/종족#야수족|야수족]] 최초의 [[레전드 카드]]이기도 하다. 몬스터를 1장 릴리스하고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는 타협 소환 텍스트가 룰 효과였던 OCG와는 달리, [[사이버 드래곤(유희왕 러시 듀얼)|사이버 드래곤]]의 경우처럼 효과 외 텍스트가 되었다. 어찌 됐든 몬스터 1장 릴리스로 나올 수 있다는 점은 그대로인 만큼 실질적으로 상급 몬스터와 최상급 몬스터 역할을 겸하는 카드라 할 수 있지만, OCG와 마찬가지로 1장 릴리스로 나왔을 경우에는 공격력이 2000이 되니 상급 몬스터의 기준치인 2100에 살짝 못 미친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반대로 그냥 2장 릴리스로 꺼냈을 경우에는 최상급 몬스터의 기준치 2500을 넘는 2700 타점이 되니 [[레전드 카드]]에 걸맞는 능력치라 할 수 있다. 몬스터 효과는 자신의 어드밴스 소환시 릴리스한 수만큼 야수족을 샐비지하는 효과. 소환시 유발 효과가 없는 러시 듀얼의 특성 상 OCG와는 달리 기동 효과가 되었다. 이에 따라 발동 타이밍이 보다 자유로워졌다는 장점과 소환 타이밍에 파괴되면 회수도 못하게 되는 단점이 생겼다. 하급 야수족을 릴리스했을 경우 실질적으로 노 코스트로 전개한 거나 마찬가지가 되며, 회수한 야수족 몬스터를 다시 전개해서 효과를 재활용하거나 회수한 다른 상급 야수족 몬스터를 소환하는 데에 쓸 수 있다. 더구나 꼭 릴리스에 쓰인 몬스터만 고를 필요도 없으므로 야수족 덱에서는 묘지의 몬스터 재활용 수단으로서 활용도가 높다. 종합하면 성능 자체는 OCG와 별 다를 바가 없지만, 룰과 카드풀에 차이가 있는 러시 듀얼의 특성상 활용도가 강화된 편. 야수족 덱에서는 큰 활약을 기대할 수 있는 카드로, 2023년 2월 시점에서 별다른 야수족 에이스 후보도 없다 보니 [[레전드 카드]]에 속하는 이 카드가 필두 후보로 꼽힐 것이다. 특수 소환으로 꺼냈을 경우 실질적으로 바닐라나 다름없는 셈이지만, 그래도 높은 타점을 내세워 존재감을 발휘할 수 있다. == 수록 팩 일람 == ||<-5>수록 시리즈 || ||<(> 2023-03-0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LGP1-JP002 | '''[[레전드 각성 팩|レジェンド覚醒パ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백수왕 베히모스, version=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