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백자 청화구름용무늬 필통 및 연적.jpg]] [[파일:백자 청화 투각 구름 용 무늬 연적.jpg|width=500]] [[파일:백자 청화 투각 구름 용 무늬 연적2.jpg|width=500]] [목차] == 개요 == 白磁透刻靑畫彩雲龍文筆筒. [[조선]] 후기, 1800년대에 만들어진 한국의 [[청화백자]].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높이 11.5cm. 조선 후기인 1800년대 초에 만들어진 한국의 청화백자 문방구로, 당시 [[경기도]] 광주 분원리(分院里) 관요(官窯)에서 만든 것이다. 전체적으로 무릎 연적과 같은 윤곽을 취하고 있으나 물을 담는 [[복숭아]] 모양의 내기(內器)와 그것을 둘러싸서 장식하는 외기(外器)로 이루어진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투각된 [[구름]] 무늬에는 청화를 입혔고 [[용]]은 백자색으로 남겨두고 눈에만 청화로 점을 찍었으며, 아래쪽에는 양각 여의두문(如意頭文)과 음각 뇌문(雷文)이 차례로 돌려져 운룡문을 받고 있으며 여의두문에는 청화 안료를 칠했다. 박진감 넘치는 용 세공이 일품인 작품이다. 보통 같은 기증자의 물품인 [[백자 투각 구름 용 무늬 필통]]과 셋트로 많이 나온다. == 외부 링크 == *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2868&contents_id=70140|네이버 캐스트 : 조선 청화 푸른빛에 물들다]] *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4305|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 백자 청화 투각 구름 용 무늬 연적]]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13891&cid=51293&categoryId=51293|e뮤지엄 : 백자 청화 투각 구름 용 무늬 연적]] [[분류:조선의 도자기]][[분류: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