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밴쿠버 스카이트레인 노선)] ||<-2>|| ||<-2> {{{#white '''밴쿠버 스카이트레인 {{{+1 엑스포 라인}}}'''[br]{{{-1 Vancouver Skytrain}}} Expo Line}}} || ||<-2> [[파일:800px-29th_Avenue_station.jpg|width=100%]] || ||<-2> [[INNOVIA Metro Mark II|봉바르디에 ART Mark III 전동차]] || ||<-2> '''{{{#fff 노선 정보}}}''' || || '''분류''' || [[도시철도]] || || '''기점''' || 워터프런트 역 || || '''종점''' || 킹 조지 역[br]프로덕션 웨이-유니버시티 역 || || '''역 수''' || 24 || || '''구성 노선''' || 엑스포 라인[br]로히드 지선 || || '''개업일''' || [[1985년]] [[12월 11일]] || || '''운영사''' || [[밴쿠버 스카이트레인|[[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TransLink_Vancouver_logo.svg.png|width=120px]]]] || || '''차량''' || ICTS Mark I[br][[INNOVIA Metro Mark II]][br]INNOVIA Metro 300 || || '''차량기지''' || 에드먼즈 운행관리소 || ||<-2> '''{{{#fff 노선 제원}}}''' || || '''노선 연장''' || 36.4㎞ || || '''궤간''' || 1435㎜ [[표준궤]] || || '''선로 구성''' || [[복선]] || || '''전력 공급''' || 직류 650V [[제3궤조집전식]] || || '''신호 방식''' || [[CBTC]] || || '''최고 속도''' || 80㎞/h || || '''지상 구간''' || 워터프런트 역 ↔ 그랜빌 역 및[br]컬럼비아 역 제외 전 구간 || || '''통행 방향''' || 우측통행 || [목차] [clearfix] == 개요 == '''밴쿠버 스카이트레인 엑스포 라인'''(Vancouver Skytrain Expo Line)은 [[밴쿠버]]의 [[경전철]] 노선이다. [[밴쿠버 스카이트레인|스카이트레인]] 시스템 최초의 노선으로, 밴쿠버와 그 주변의 [[버나비#s-5|버나비]](Burnaby), 뉴 웨스트민스터(New Westminster) 및 [[서리(캐나다)|서리]](Surrey)를 연결한다. == 상세 == 엑스포 라인은 스카이트레인 최초이자 최장, 최고 탑승객 수를 자랑하는, 가히 스카이트레인의 '''핵심 노선'''이라 할 수 있다. 노선 북쪽으로는 밴쿠버 다운타운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주요 번화가를 전부 통과하고, 남쪽으로는 밴쿠버 광역권의 주요 위성도시인 [[버나비#s-5|버나비]], 뉴 웨스트민스터와 [[서리(캐나다)|서리]]를 거쳐 간다. 스카이트레인이란 이름에 걸맞게 대부분의 구간을 고가 선로로 운행하며, 도시 건물 사이사이를 요리조리 통과하기 때문에 가지각색 다양한 도시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특히 22번가 역부터 로히드 지선의 브레이드 역 구간은 강변을 타고 운행하는데, 날씨 좋은 날 저녁이면 멍하니 창밖의 노을을 보며 힐링하는 시민들도 자주 볼 수 있다. 수송능력이 비교적 낮은 [[경전철]]로 운행하기 때문에 배차 간격은 약 2~5분 정도로 짧은 편이다. [[러시 아워]]가 되면 밴쿠버 특유의 무인운전을 최대한 활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정확히 108초[* 운행시격을 초 단위로 조절할 수 있으며, 최단 75초까지 줄여서 운행을 할 수 있다.]마다 열차가 도착한다. 또한 [[밴쿠버 스카이트레인 밀레니엄 라인|밀레니엄 라인]]과의 [[평면교차]]가 이루어지는 로히드 타운 센터 역을 제외하면 열차 지연도 거의 없어, 악천후나 자연재해 등 시스템의 통제를 벗어난 일이 없다면 대부분 정시운행을 지킨다. 또한 열차는 기본적으로 2량 편성을 2~3대 [[중련]]하여 운행하며, 차량 길이가 짧은 Mark I은 최대 6량, 조금 더 길어진 Mark II와 Mark III는 4량까지 가능하다. 열차는 전반적으로 깨끗하고 쾌적하고, 높은 이용률에도 불구하고 편성 자체가 많아 [[가축수송(교통)|가축수송]]은 잘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뉴 웨스트민스터 시내의 컬럼비아 역에서 노선이 둘로 갈라진다. 이때 본선은 동쪽으로 꺾은 후 프레이저 강(Fraser River)을 건너 [[서리(캐나다)|서리]]로 향하고, 분기한 선로는 그대로 강가를 따라 북쪽으로 올라가 로히드(Lougheed)에서 [[밴쿠버 스카이트레인 밀레니엄 라인|밀레니엄 라인]]과 만난다. 7.1km 길이의 지선은 종점의 지명을 따 로히드(Lougheed) 지선으로 불리며, 본래 [[밴쿠버 스카이트레인 밀레니엄 라인|밀레니엄 라인]]이 운행하던 구간을 밀레니엄 라인의 동쪽 연장과 동시에 지선으로 물려받은 것이다. 첨두시간 기준 본선 열차와 1:1.5~3 비율로 운행되며,[* 비첨두시간대에는 1:1로 운행한다.] 컬럼비아 역 이서에서 열차를 탑승할 경우 승강장 내 전광판과 열차 행선지를 잘 확인하는 것이 좋다. == 역사 == 엑스포 선의 역사는 스카이트레인의 역사와 궤를 같이 한다. [[밴쿠버]]는 [[1950년대]] 당시 [[모노레일]]을 이용한 도시철도 시스템을 도입하려 하나, 얼마 되지 않아 프로젝트가 엎어진다. 이후 자가용이 보급되며 마이카 시대가 찾아온 밴쿠버에 다시금 도시철도의 필요성이 불거진 시기는 바로 [[1970년대]]. 급격하게 늘어난 차량 통행량을 감당하지 못하고 허구헌날 교통정체에 시달리던 밴쿠버는, 당시 [[온타리오]] 주정부와 [[봉바르디에]]의 전신인 도시교통 개발 주식회사(Urban Transportation Development Corporation)[* 본 문서에서는 편의상 봉바르디에로 칭한다.]가 함께 연구하던 중규모 대중교통 시스템(Intermediate Capacity Transit System)에 눈독을 들이기 시작한다. 안 그래도 마침 신기술을 미리 적용해 볼 도시가 필요했던 봉바르디에는 옳타꾸나 하고 계약을 체결했고, [[1986년]] [[엑스포]]가 열릴 밴쿠버를 기술 홍보의 장으로 써먹기로 결정한다. [[1983년]], 밴쿠버 시와 봉바르디에는 지금의 메인 스트리트 역 자리에 짧은 전시용 노선을 개통했고, 당해 바로 본 노선 착공에 들어간다. 경전철은 2년이 지난 [[1985년]] [[12월 11일]] 무료 선개통을 거쳐 이듬해 [[1월 3일]], 정식으로 시민들에게 개방된다. 경전철은 개통과 함께 과반 이상의 구간을 고가철도로 다닌다는 특징을 내세우기 위해 '''스카이트레인'''(SkyTrain)이란 이름이 붙여졌으며, 다운타운의 워터프런트 역에서 밴쿠버 동남쪽의 뉴 웨스트민스터를 잇는 21.4km 길이의 노선이었다. 스카이트레인은 [[1989년]] 뉴 웨스트민스터에서 컬럼비아 구간을, [[1990년]] 컬럼비아에서 스콧 로드 구간을 개통하였다. 또한 [[1994]]년에는 스콧 로드에서 킹 조지까지 3개 역을 연장하며, 마침내 [[서리(캐나다)|서리]] 다운타운까지 노선을 들이게 된다. 한동안 스카이트레인으로 불리던 노선은 [[2002]]년 [[밴쿠버 스카이트레인 밀레니엄 라인|밀레니엄 라인]]이 선을 보이며 엑스포 라인(Expo Line)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본래 노선명이었던 스카이트레인은 경전철 시스템 전체를 통칭하는 이름으로 넘겨 주었다. 개통 직후 밀레니엄 라인이 브레이드에서 컬럼비아에 이르는 짧은 노선이었기 때문에 얼마간은 컬럼비아-워터프런트 구간을 밀레니엄 라인과 함께 운행했으며, 당해 [[8월]] 밀레니엄 라인의 연장과 함께 [[직통운전]]은 중단되었다. 오래도록 단일 노선으로 운행하던 엑스포 라인은, [[2016년]] 밀레니엄 라인의 동부 연장과 동시에 브레이드-프로덕션 웨이 구간을 지선으로 넘겨받으며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 역 목록 == === 본선 === ||<-8> '''{{{#ffffff 엑스포 라인[br]Expo Line}}}''' || ||<|2> '''{{{#ffffff 거리}}}''' ||<|2> '''{{{#ffffff 한글 역명}}}''' ||<|2> '''{{{#ffffff 영문 역명}}}''' ||<-2> '''{{{#ffffff 승강장}}}''' ||<|2> '''{{{#ffffff 환승노선}}}''' ||<|2> '''{{{#ffffff 소재지}}}''' || || {{{#ffffff 형태}}} || {{{#ffffff 횡단}}} || || {{{#fff 0.0}}} || 워터프런트 || Waterfront || │■│ || ○ || {{{#009ac8 ●}}} [[밴쿠버 스카이트레인 캐나다 라인|캐나다 라인]][br]{{{#87746a ●}}} [[씨버스]][br]{{{#77278b ●}}} WCE[br]{{{#f78e1e ●}}} [[간선급행버스체계|95 B-Line]] ||<|9><#c0c0c0> 밴쿠버[br](Zone 1) || || {{{#fff 0.9}}} || 버라드 || Burrard || ■│[* 복층 단선 승강장.] || ○ || {{{#f78e1e ●}}} [[간선급행버스체계|95 B-Line]] || || {{{#fff 1.1}}} || 그랜빌 || Granville || ■│[* 복층 단선 승강장.] || ○ || {{{#009ac8 ●}}} [[밴쿠버 스카이트레인 캐나다 라인|캐나다 라인]][*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 노선도에서도 환승이 가능하다고 표시하지 않지만 환승통로가 백화점을 통과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백화점 영업시간 동안엔 환승이 가능하다.] || || {{{#fff 1.7}}} || 스타디움-차이나타운[* 차이나타운에서 단 한 블럭밖에 떨어지지 않은 동쪽 출입구에는 중국어 역명(體育館/華埠(唐人街))이 병기되어 있다. 스카이트레인 역 중 유일하게 2개 언어로 표시되어 있는 곳.] || Stadium-Chinatown || {{{#c0c0c0 ■│}}}│■│ || ○ || - || || {{{#fff 2.7}}} || 메인 스트리트-[br]사이언스 월드 || Main Street-[br]Science World || │■│ || ○ || [[비아 레일]][br][[암트랙]] || || {{{#fff 5.4}}} || 커머셜-브로드웨이 || Commercial-Broadway || │■│■ || ○ || {{{#ffd520 ●}}} [[밴쿠버 스카이트레인 밀레니엄 라인|밀레니엄 라인]][br]{{{#f78e1e ●}}} [[간선급행버스체계|99 B-Line]] || || {{{#fff 7.3}}} || 나나이모 || Nanaimo || ■││■ || ○ || - || || {{{#fff 8.1}}} || 29번가 || 29th Avenue || │■│ || ○ || - || || {{{#fff 9.2}}} || 조이스-컬링우드 || Joyce-Collingwood || │■│ || ○ || - || || {{{#fff 10.7}}} || 패터슨 || Patterson || │■│ || ○ || - ||<|7><#F5F5F5> 버나비[br](Zone 2) || || {{{#fff 11.4}}} || [[메트로타운 역|메트로타운]] || Metrotown || │■│ || ○ || - || || {{{#fff 12.6}}} || 로열 오크 || Royal Oak || │■│ || ○ || - || || {{{#fff 15.0}}} || 에드먼즈 || Edmonds || ■││■ || ○ || - || || {{{#fff 17.0}}} || 22번가 || 22nd Street || ■││■ || ○ || - || || {{{#fff 19.7}}} || 뉴 웨스트민스터 || New Westminster || ■││■ || ○ || - || || {{{#fff 20.3}}} || 컬럼비아 || Columbia || ■││■ || ○ || {{{#0060a9 ●}}} 엑스포 라인[* 로히드 지선] || || {{{#fff 22.7}}} || 스콧 로드 || Scott Road || │■│ || ○ || - ||<|4><#c0c0c0> 서리[br](Zone 3) || || {{{#fff 24.9}}} || 게이트웨이 || Gateway || │■│ || ○ || - || || {{{#fff 26.0}}} || 서리 센트럴 || Surrey Central || │■│ || ○ || {{{#f78e1e ●}}} [[간선급행버스체계|96 B-Line]] || || {{{#fff 26.7}}} || 킹 조지 || King George || ■││■ || ○ || {{{#f78e1e ●}}} [[간선급행버스체계|96 B-Line]] || === 로히드 지선 === ||<-8> {{{#ffffff '''엑스포 라인 로히드 지선[br]Expo Line Lougheed Branch'''}}} || ||<|2> '''{{{#ffffff 거리}}}''' ||<|2> '''{{{#ffffff 한글 역명}}}''' ||<|2> '''{{{#ffffff 영문 역명}}}''' ||<-2> '''{{{#ffffff 승강장}}}''' ||<|2> '''{{{#ffffff 환승노선}}}''' ||<|2> '''{{{#ffffff 소재지}}}''' || || {{{#ffffff 형태}}} || {{{#ffffff 횡단}}} || || {{{#fff 20.3}}} || 컬럼비아 || Columbia || ■││■ || ○ || {{{#0060a9 ●}}} 엑스포 라인[* 본선] ||<|5><#F5F5F5> 버나비[br](Zone 2) || || {{{#fff 22.7}}} || 새퍼튼 || Sapperton || ■││■ || ○ || - || || {{{#fff 23.8}}} || 브레이드 || Braid || ■││■ || ○ || - || || {{{#fff 25.8}}} || 로히드 타운 센터 || Lougheed Town Centre || {{{#c0c0c0 ■│}}}│■│ || ○ || {{{#ffd520 ●}}} [[밴쿠버 스카이트레인 밀레니엄 라인|밀레니엄 라인]] || || {{{#fff 27.4}}} || 프로덕션 웨이-유니버시티 || Production Way-University || │■│ || ○ || {{{#ffd520 ●}}} [[밴쿠버 스카이트레인 밀레니엄 라인|밀레니엄 라인]] || == 연장 == === 동쪽: 랭리 연장 === ||<-8> {{{#ffffff '''엑스포 라인 랭리 연장선[br]Expo Line Langley Extension'''}}} || ||<|2> '''{{{#ffffff 거리}}}''' ||<|2> '''{{{#ffffff 한글 역명}}}''' ||<|2> '''{{{#ffffff 영문 역명}}}''' ||<-2> '''{{{#ffffff 승강장}}}''' ||<|2> '''{{{#ffffff 환승노선}}}''' ||<|2> '''{{{#ffffff 소재지}}}''' || || {{{#ffffff 형태}}} || {{{#ffffff 횡단}}} || || {{{#fff 0.0}}} || 킹 조지 || King George || ■││■ || ○ || {{{#f78e1e ●}}} [[간선급행버스체계|96 B-Line]] ||<|7><#c0c0c0> [[서리(캐나다)|서리]][br](Zone 3) || || {{{#fff -.-}}} || 140번가 || 140 Street || - || - || - || || {{{#fff -.-}}} || 152번가 || 152 Street || - || - || - || || {{{#fff -.-}}} || 160번가 || 160 Street || - || - || - || || {{{#fff -.-}}} || 166번가 || 166 Street || - || - || - || || {{{#fff -.-}}} || 184번가 || 184 Street || - || - || - || || {{{#fff -.-}}} || 190번가 || 190 Street || - || - || - || || {{{#fff -.-}}} || 196번가 || 196 Street || - || - || - ||<|2><#F5F5F5> 랭리[br](Zone 3) || || {{{#fff 16.0}}} || 203번가 || 203 Street || - || - || - || 역명은 모두 가칭이다. [[2008년]],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정부는 [[서리(캐나다)|서리]] 방면 종착역인 킹 조지 역에서 길포드[* Guildford. 상업구역이 활발 동네이며 길포드 백화점을 중심으로 한인 음식점, 카페, 마트들이 많이 들어서 있다.]까지 엑스포 라인을 연장하고, 장기적으로 랭리(Langley) 시내의 168번가(168 Street)까지 노선을 확장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당시 주정부가 발표한 연장 구상은 [[서리(캐나다)|서리]] 시에서 스카이트레인 연장 대신 저렴한 [[LRT]] 혹은 [[간선급행버스체계|BRT]]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며 무산되었으나, [[2018년]] [[서리(캐나다)|서리]] 시의회의 대격변과 함께 여론이 급반전하며 새로운 계획으로 부활한다. [[2018년]] 밴쿠버 광역권 의회가 발표한 신규 계획은 킹 조지 역부터 랭리까지 총 16km 길이에 8개의 역을 짓는 계획이었으며, 예산의 한계로 인해 우선 킹 조지부터 [[서리(캐나다)|서리]] 외곽의 플리트우드까지만 공사를 진행하기로 한다. 그러나 시 의회의 투표까지 거쳐 머지 않아 착공에 들어갈 것으로 보였던 엑스포 선 연장은, 또 한번 좌절의 쓴맛을 보게 된다. 원래대로라면 [[2022년]] 공사를 시작해 [[2025년]] 킹 조지-플리트우드 구간을 개통했어야 하지만, 여러 난관에 부딪혀 착공식 한 번 해보지 못한 채 끝없이 미뤄지기 시작한다. 수요 조사와 설계 발주로 돈은 돈대로 쓰면서 아무런 결실이 없던 엑스포 라인 연장 프로젝트는 참다 못한 [[캐나다]] [[정부]]가 '''직접''' 개입하고서야 겨우 진전을 보인다. [[2022년]]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엑스포 라인 연장 프로젝트에 최대 13억 [[캐나다 달러]]의 지원금을 약속했다. 단숨에 프로젝트 총 예산의 1/3을 보장받게 된 밴쿠버 광역권은, 이번에야말로 연장을 성공하겠다는 일념 하에 여러 단계로 파편화되었던 프로젝트를 한 번에 마치기로 결정한다. 랭리 연장선의 본격적인 공사는 [[2024년]]에 들어갈 예정으로, 완공 시기는 미정이다. [[분류:캐나다의 도시철도]][[분류:1985년 개업한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