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영국 기갑차량)] ||
[[파일:Valentine_Mk.IX_‘T67003’_“BUCCANEER”_(49909942301).jpg|width=100%]] || || '''Tank, Infantry, Mk III, "Valentine"''' || [목차] == 개요 == || [youtube(F7zh4nGFSh0)] || ||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밸런타인 Mk.IX "버캐니어" 주행 영상''' || '''"밸런타인 전차"'''는 [[전간기]]에 [[영국]]에서 개발된 [[보병전차]]이며, [[마틸다 II]]의 후속으로 제작되었다. [[프랑스 침공]]에서는 그 진가를 발휘하지 못하고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 당시 기준으로 나쁘지 않은 장갑과, 높은 신뢰성, 그리고 선임인 [[마틸다 II]]보다 더 높은 보병지원 능력 등, 여러 전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사용되었으며, 특히 영국 본국보다 소련에서의 활약상이 더 유명하다. 소련에서의 밸런타인 전차는 아주 고평가를 받았으며, 소련 당국에서도 즉석에서 금을 대가로 더 많은 밸런타인을 요구하기도 하였을 정도였다. 밸런타인 전차는 2인승 포탑, 리벳과 볼트를 이용한 차체/포탑의 조립 등 구식인 티가 여기저기 나는 데다가 방어력도 마틸다 II보다 떨어지는 등 문제점이 있어 [[영국 육군]] 참모부에서 이 전차의 제식채용을 고민했지만 마틸다 전차가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은 전차였고, [[제2차 세계 대전]]이 막 발발하려는 찰나였던 데다가 영국 최대의 군수 기업이었던 빅커스사의 물건인지라 대량생산될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로 제식채용되었다. 1941년까지는 쓸 [[순항전차]]가 부족했기 때문에 일부 밸런타인은 급한대로 순항전차 운용부대에도 배치되기도 했지만 실상은 마틸다보다 약간 빠른 속도와 선회능력을 가졌을 뿐 기동력이 중요한 순항전차로 사용하기에 무리가 있었기 때문에 기동력에서는 [[독일 국방군]]의 주력인 [[3호 전차]]나 [[4호 전차]]의 상대가 되지 못했다. 그러나 이런 단점들이 있었음에도 밸런타인 전차는 기존의 전차를 재설계한 물건이라 일단 당시 영국 전차 중에서 신뢰성[* [[북아프리카]] 전역 동안 3000마일(4800km)의 주행거리를 기록한 적도 있으며, 정비없이 500마일(800km)를 운행한 기록도 존재한다.]과 정비성은 가장 나았고 제조사인 빅커스 사가 대형군수업체이다 보니 대량생산이 가능했다.[* 1940년부터 1944년까지 도합 8,000대 이상 생산되어 2차대전 시기 영국 전차 중 가장 많이 생산되었으나 3,332대는 소련군에 인수되어 사용되었다.] 밸런타인은 방어력이 부족한 보병전차라는 편견을 벗고 경전차의 기준으로 평가할 경우 속도가 느리고 내부가 좁다는 것만 빼면 준수한 성능의 전차로, 내부가 좁다는 것은 그만큼 전차의 크기도 작았다는 뜻이기에 전략 수송의 편의성과 험지 기동력 면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었다. 특히 소련은 중형전차, 중전차의 임무를 맡을 다른 전차들도 있었으므로 밸런타인에 경전차 이상의 임무를 맡길 필요가 별로 없었기 때문에 방어력과 신뢰성이 우수한 경전차로 평가했다. 특히 밸런타인 Mk.IX를 필두로 한 6파운더 장착형의 경우, 그 화력은 결코 주적이었던 [[4호 전차]]와도 밀리지 않았던데다가, 밸런타인급으로 중장갑을 지닌 경전차는 전쟁 극 후반기인 '''1944년에야''' 미국이 겨우 [[M24 채피]]를 만들며 등장했고, 그 M24 채피도 장갑 수치가 밸런타인 전차보다 열등했던 것을 감안하면 시대를 앞서간 전차라고도 볼 수 있다. 전후에도 여러 각국에서 사용되었던 밸런타인 시리즈는 현재도 영국 및 러시아 등지에서 의장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
[[파일:parrish-makeman-mount.jpg|width=100%]] || || '''패리쉬-메이크만 마운트 장착 밸런타인 Mk.V''' || 이 밖에도 밸런타인 전차 전용 기관총 마운트인 패리쉬-메이크만 마운트를 장착하여 부족한 대공능력과 대보병능력의 증강을 꾀하기도 하였다. == 제원 == ||<-2>
'''{{{#FFFFFF 3형 보병전차 "밸런타인" (Tank, Infantry, Mk III, Valentine)}}}''' || ||<-2> '''{{{#FFF 제원}}}''' || || '''{{{#FFF 개발 기관}}}''' ||빅커스-암스트롱 || || '''{{{#FFF 개발 연도}}}''' ||1938년 || || '''{{{#FFF 생산 기관}}}''' ||빅커스-암스트롱, 캠맬 철도공사, 버밍햄 철도차량 제작소, 캐나다 태평양 철도공사 || || '''{{{#FFF 생산 국가}}}''' ||영국, 캐나다 || || '''{{{#FFF 생산 연도}}}''' ||1940년 ~ 1944년 || || '''{{{#FFF 생산 댓수}}}''' ||파생형 포함 8,275대 || || '''{{{#FFF 운용 연도}}}''' ||1940년 ~ '''현재'''[* 영국 및 러시아가 의장용으로 운용 중.] || || '''{{{#FFF 운용 국가}}}''' ||[[영국]] 포함 도합 10개국 사용 || || '''{{{#FFF 장갑}}}''' ||최소 8mm, 최대 65mm || || '''{{{#FFF 전장}}}''' ||5.41m || || '''{{{#FFF 전폭}}}''' ||2.629m || || '''{{{#FFF 전고}}}''' ||2.273m || || '''{{{#FFF 전비 중량}}}''' ||Mk I,II, III, IV, V, VI, VII, VIIA: 15.7t [br] Mk VIII, IX, X: 17.3t [br] Mk XI: 18t || || '''{{{#FFF 탑승 인원}}}''' ||Mk I,II, IV, VI, XI : 3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br] Mk III, V : 4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탄약수)|| || '''{{{#FFF 엔진}}}''' ||Mk I : AEC A189 가솔린 엔진 [br] Mk II, III, VI : AEC A190 디젤 엔진 [br] Mk IV, V, VII, VIIA, VIII, IX, X, XI : GMC 6004 디젤 엔진 || || '''{{{#FFF 최대 출력}}}''' ||Mk I : 135마력 [br] Mk II, III, VI : 131마력 [br] Mk IV, V, VII, VIIA, VIII, IX, X, XI : 165마력 || || '''{{{#FFF 출력비}}}''' ||12.4hp/t || || '''{{{#FFF 변속기}}}''' ||전진 5단, 후진 1단 미도스 22식 싱크로매시 변속기 || || '''{{{#FFF 현가 장치}}}''' ||[[홀스트만 현가장치|홀스트만 3륜 슬로우 모션 현가장치]] || || '''{{{#FFF 최고 속도}}}''' ||26km/h || || '''{{{#FFF 항속 거리}}}''' ||140km (도로) || || '''{{{#FFF 주무장}}}''' ||Mk.I II, III, IV, V, VI, VII, VIIA : [[2파운더|QF 2-pounder Mk.IX]] [br] Mk.VIII ~ IX : [[6파운더#s-3|QF 6-pounder Mk.III]], [[6파운더#s-3|QF 6-pounder Mk.V]] [br] Mk.X : [[6파운더#s-3|QF 6-pounder Mk.V]] [br] Mk.XI : [[QF 75mm]] Mk.V || || '''{{{#FFF 부무장}}}''' ||Mk.I~Mk.VI 초기형Mk.X, Mk.XI: 7.92mm [[ZB-53#BESA|BESA]] 기관총 [br] Mk.VI 후기형, Mk.VII, Mk.VIIA: [[M1919 브라우닝|M1919A4 동축기관총]] || == 내부 == ||
[[파일:ca9f433559743ccfe8972163a86576e7.jpg|width=100%]] || || '''밸런타인 Mk. II 내부 구조도''' || '''밸런타인 전차'''의 내부 구조도는 상부 사진과 같다. 초기 밸런타인 전차의 주무장은 [[2파운더]] 대전차포로, 고저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대신에, [[마틸다 II]]와 같이 포수가 직접 어깨에 견착하고 상하를 조절하는 방식의 구조를 지니었다. 이후, [[6파운더]]로 무장이 교체되고, 포탑이 대형화된 후로는 고저장치와 선회장치 모두 장착되었으나, 내부 용적의 한계로 고저장치는 포수가 제어, 선회장치는 전차장이 제어하도록 하였다. 기존 2파운더 대전차포는 등장 당시부터 화력이 불충분하다는 지적을 받았고, 이는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특히 두드러졌으며, 같은 시기 적국인 [[나치 독일]] 또한 KwK36 대전차포를 퇴출시키고, KwK42를 장착한 [[3호 전차]]의 후기형이나, PaK 38 대전차포, 그리고 아예 대전차전을 주목적으로 해 무장을 [[7,5cm KwK 40]] 포를 장착한 [[4호 전차]] 후기형 등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더 이상 일선 사용이 어렵다 판단, 개선 여지가 없던 마틸다 대신, 신뢰성 좋고, 가볍고, 튼튼한 밸런타인의 업건을 진행하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6파운더]]로 업건을 마친 밸런타인은 원거리에서도 쾌적하게 3호 전차와 4호 전차를 격파하는 활약을 보였으나, 막상 해당 밸런타인은 기관총이 없었기 때문에 고폭탄을 소지하지 않는다면 보병 진압에 진땀을 빼는 일이 자주 있었다.[* 이 탓에, 상부에 상술한 패리쉬-베이크만 마운트를 장착하도록 했으나, 구조가 복잡했으며, 또한 전차장이 전차 내부에서 나와 사용해야 했기에 피격 확률이 높았다. 이 탓에 Mk. X형식으로 개선되게 된다.] 장갑의 경우, 당시의 독일군의 [[3호 전차]]와 [[4호 전차]], [[M4 셔먼]], [[T-34-76]]보다 두꺼웠는데, 3호와 4호 중기형 모델들 기준으로 정면장갑은 3호와 4호의 50mm보다 두꺼운 65mm 였으며, 측면도 3호와 4호의 35mm 보다 한참 두꺼운 60mm 였다. 밸런타인의 구동계는 처음에는 AEC 사에서 자국 생산된 엔진을 사용하였으나, 해당 엔진에 대한 신뢰성이 끊임없이 제기되었고, 결국 영국군은 GM에서 생산된 GM 6004 디젤 엔진으로 구동계를 교체하게 되었다. 이는 구동계의 신뢰성이 올라간 것은 물론, [[M4A2|셔먼 III]]와 유사한 엔진이었으므로 수리를 진행할 때에도 정비창에서 혼동을 겪지 않았으며, 추가로 디젤엔진을 사용한 것 덕분에 소소하지만 연료 유폭 확률이 줄어들었다는 장점도 생겨났다. 또한, 백미러 또한 장착할 수 있어, 시가지를 진입하거나, 혹은 혼잡한 구역에서도 편리하게 조종수가 후방을 감시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었다. 통신장치는 매우 훌륭하였는데, 영국제 무전기는 소련군으로부터 매우 훌륭하다고 평가받은 장비였으며, 하단의 실전 중, 독일군의 통신마저 감청할 수 있는 고성능을 실전에서 보여 준 덕분에 보병과의 제동협병은 물론 작전 진행에도 큰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 == 개발사 == ||
[[파일:Valentine_Prototype.jpg|width=100%]] || || '''밸런타인 Mk. I 프로토타입''' || 1930년대 중반 [[빅커스(기업)|빅커스]]사는 평판이 별로 좋지 않았던 [[순항전차]] Mk.1 A9에 장갑만 좀 많이 발라서 만든 함량 미달의 보병전차 A10을 개발하였고 이 전차는 결국 보병전차가 되지 못하고 중순항전차로 운용되었으나 평은 당연히 A9 순항전차보다 형편없었다. 당연하게도 빅커스사는 [[영국]] 육군에게 보다 고성능인 [[마틸다 II]]를 생산하라는 압력을 받았으나 A10의 개량형 보병전차를 내놓기로 하고 A10의 차체를 기본으로 개량한 설계를 마감날인 1938년 '''2월 14일 [[밸런타인 데이]]'''에 맞춰 제출하는 데 겨우겨우 성공했고 이 때문에 '''밸런타인'''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다만 이는 이름에 관한 여러가지 설 중 하나일 뿐이다.] 또한 [[A9 / 10 전차|A10 전차]] 등 빅커스-암스트롱 사에서 여러가지 기갑차량을 개발한 '''존 발렌타인 카든'''의 중간 이름을 따서 붙였다는 설도 있다. == 형식 == === 초기형 (Mk. I ~ II, Mk. IV, Mk. VI ~ VIIA) === ||
[[파일:Valentine_Mark_II_–_IWM_Duxford_(51293099024).jpg|width=100%]] || || '''Valentine Mk. II''' || 밸런타인 전차의 초기형은 Mk. I 부터 II, Mk. IV형식과, 캐나다에서 생산한 Mk. VI ~ VIIA까지이며, 공통적으로 전차장이 탄약수를 겸직하는 2인용 포탑에 [[2파운더]]를 장착하였다. ||
'''형식''' || '''변경 사항''' || || '''Mk. I''' ||밸런타인 전차의 첫번째 모델로, 리벳 접합식 차체를 사용했으며, 도합 총 350량이 생산되었다. || || '''Mk. II''' ||밸런타인 전차의 2번째 모델으로, AEC A190 6기통 디젤 엔진을 장착했다. || || '''Mk. IV''' ||Mk.II의 엔진을 미제 GMC 6004 디젤 엔진과 미제 변속기로 구동계를 교체한 사양으로 종전과 다르게 악지에서도 신뢰성이 우수해졌다. || || '''Mk. VI''' ||Mk.IV를 기준으로 캐나다에서 생산된 밸런타인으로, Mk.IV와 대동소이하다. 후기 생산분은 [[BESA]] 기관총을 미제 [[M1919 브라우닝|M1919A4]]로 교체했다. || || '''Mk. VII''' ||캐나다에서 개량한 밸런타인으로 [[무전기]]를 교체하였으며, M1919A4 브라우닝 기관총을 장착하였다. || || '''Mk. VIIA''' ||밸런타인의 전면과 포탑을 주조로 만든 형식이며, Mk.VII와 같이 캐나다에서 생산되었다. || 초기형 밸런타인은 북아프리카 전역 당시 마틸다 II보다 빠르면서 이와 유사한 견고한 방호력으로 인해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가격도 저렴했던데다 운용 교육도 간편했기에 수많은 차량들이 제작되어 최전선에 투입되었다. 그러나 1942년 이후로 중기형과 동일하게 화력 부족이라는 문제점에 당면하며 다수의 개체가 2선급으로 돌려지게 되었다. 이 밖에도, 초창기 Mk. I 시절의 밸런타인은 포크형 보기륜을 채용하고 있었으나 이는 가공하기에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었기에 Mk. II형식부터는 접시형 보기륜을 사용하게 되었다. === 중기형 (Mk. III, Mk. V) === ||
[[파일:Valentine_Mk.V.jpg|width=100%]] || || '''Valentine Mk. V''' || 밸런타인 전차의 중기형은 Mk. III와 Mk. V 이 2가지 형식만 존재하며, 과도기이었기에 화력은 초기형과 동일한 2파운더를 사용하였다. ||
'''형식''' || '''변경 사항''' || || '''Mk. III''' ||최초의 3인용 포탑을 장착한 밸런타인이며, AEC 엔진을 장착하였다. || || '''Mk. V''' ||Mk.III의 구동계를 Mk.IV와 동일하게 GMC 6004 디젤 엔진과 미제 변속기로 교체한 파생형이며, 마지막으로 3인용 포탑을 장착한 밸런타인이다. || 중기형의 가장 큰 특징은 이전까지의 2인승 포탑에서 [[마틸다 II]]의 포탑과 유사하게 생긴 3인승 포탑을 채용하며, 포탑전면부와 후면부를 이전의 포탑보다 돌출시켜 포탑 내 공간을 확보 후, 무게를 절약하기 위해 측면장갑의 두께를 60mm에서 50mm로 감소시켰다는 것이다. 그러나 [[북아프리카 전역]]에 투입 된지 얼마 안되어 라이벌인 [[3호 전차]], [[4호 전차]]의 화력 증강 및 [[6호 전차 티거]]의 실전 투입으로 인해 더 이상 2파운더를 사용하기 어렵다는 판단하에 Mk. V를 마지막으로 단종되었으며, 이후 하단의 후기형으로 이어지게 된다. === 후기형 (Mk. VIII ~ XI) === ||
[[파일:Tankfest_2019_89.jpg|width=100%]] || || '''Valentine Mk. IX''' || 밸런타인 전차의 후기형은 Mk. VIII부터 최종형인 Mk. XI까지 이어진다. ||
'''형식''' || '''변경 사항''' || || '''Mk. VIII''' ||2인용 대형 포탑을 장착한 최초의 밸런타인이며, AEC 디젤엔진을 탑재하였다. || || '''Mk. IX''' ||Mk.V를 기반으로 6파운더를 얹은 물건으로, Mk.III 수준의 장갑을 가지고 있다. 구동계는 상술한 GMC 6004 디젤 엔진과 미제 변속기로 개량되었다. || || '''Mk. X''' ||후기형들의 공축기관총 부재라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축기관총을 장비한 신형 포탑을 장착했다. || || '''Mk. XI''' ||Mk.X를 기반으로 오드넌스 [[QF 75mm]] Mk.V 전차포를 장착한 사양이며, 지휘전차 한정으로 사용되었다. || 후기형들의 공통점은 우선 중기형에서 채용했던 3인용 포탑에서 2인용 포탑으로 회귀했다는 것으로, 6파운더 포의 포미가 포탑에 비해 너무 거대해서 다시 포탑에 2명이 탑승하게 되었다는 사유가 있다. 그러나 무장의 증강을 위하여 포탑의 크기는 오히려 더 커졌으며, 고관통을 자랑하는 6파운더와 75mm Mk.V 전차포를 채용했기에 티거나 판터와 같은 중장갑 전차들와고도 거리를 어느 정도 좁히면 충분히 상대가 가능했다. 6파운더를 장착하면서 화력은 개선되었지만, 포탑을 6파운더에 맞춰서 새롭게 설계한 것이 아니라서 공간이 부족해 공축기관총이 사라지는 등 문제가 발생했는데, 이는 상술한 패리쉬-메이크만 마운트를 장착하여 전차장이 포탑 상부의 기관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임시방편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그러나 유탄이 빗발치는 전투 중에 전차장이 무리하게 해치를 열고 기관총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기에 결국 Mk. X 형식에서 겨우 다시 공축기관총을 장비하며 해결되었다. == 파생형 == === [[영국]] === ==== 자주포 개수 파생형 ==== ===== [[Mk.I 아처]] ===== ||
[[파일:Archer_17pdr_Thumbnail.jpg|width=100%]] || || '''Self Propelled(SP) 17pdr, Valentine, Mk I, Arche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k.I 아처)] ===== [[비숍 자주포]] ===== ||
[[파일:bishop1.jpg|width=100%]] || || '''Ornance QF 25-pdr on Carrier Valentine 25-pdr Mk I "Bishop"'''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비숍 자주포)] ===== 밸런타인 대전차자주포 ===== ||
[[파일:valentine6pdr.jpg|width=100%]] || || '''6 pdr Valentine Anti-Tank''' || '''"밸런타인 대전차자주포"'''는 밸런타인 전차의 차체에다 6파운더를 얹은 임시변통형 대전차 자주포로, 얼마 안가 Mk.VIII 형식의 등장과 맞물려 제작 가치가 없다고 판단되어 시제 차량 1대 제조 후 백지화되었다. ===== 밸런타인 9.75인치 자주박격포 ===== ||
[[파일:valentine-mortar-side-view.jpg|width=100%]] || || '''Valentine 9.75-inch flame mortar''' || '''"밸런타인 9.75인치 자주박격포"'''는, 밸런타인 전차의 포탑을 탈거하고 9.75인치(248mm) 박격포를 차체에 얹은 자주박격포로, 독일군의 콘크리트 벙커를 파괴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그러나 공군의 폭격이 훨씬 유용하다고 판단됨에 따라 시제 차량만 1944년에 만들어지고 프로젝트가 중단되었다고 한다. ==== 장비 추가 파생형 ==== ===== 밸런타인 DD ===== ||
[[파일:Tankfest_2019_90.jpg|width=100%]] || || '''Valentine Duplex Drive'''[* 사진의 차량은 발렌타인 Mk.IX 기반인 발렌타인 IX DD이다.] || '''"밸런타인 DD"'''는 [[퍼니전차]]의 일종인 [[수륙양용전차]]로, 밸런타인 전차에 부항스크린을 씌워둔 형태이다. ===== 밸런타인 화염방사전차 ===== ||
[[파일:Vally flamm cordite.jpg|width=100%]] || || '''Valentine Flamethrower (Cordite)''' || || [[파일:Vally flamm gas.jpg|width=100%]] || || '''Valentine Flamethrower (Gas)''' || '''"밸런타인 화염방사전차"'''는 처칠 크로커다일과 같이, 처칠 전차가 가기 힘든 지형이나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조된 화염방사전차이다. 총 두가지의 사양이 존재하는데, 하나는 화약의 일종인 "콜다이트"를 사용하는 콜다이트식과, 하나는 기존의 화염방사기와 동일한 방식인 가스식이다. ===== 밸런타인 AMRA ===== ||
[[파일:Vally roll mine.jpg|width=100%]] || || '''Valentine Aromored Mine Roller Attachment'''[* 사진의 차량은 발렌타인 IB 기반 발렌타인 ARMA이다.] || '''"밸런타인 AMRA"'''는 롤러 형태의 지뢰제거장치를 장착한 지뢰제거전차이다. 이름의 AMRA는 영어로 '''지뢰 제거 롤러 부착 기갑차량 (Armored Mine Roller Attachment)'''을 뜻하는 약자이다. ===== 밸런타인 스네이크 ===== ||
[[파일:Vally snake.jpg|width=100%]] || || '''Valentine Snake''' || '''"밸런타인 스네이크"'''는 쟁기 형태의 지뢰제거장치 "스네이크"를 장착한 지뢰제거전차이다. ==== 기술 기반 파생형 ==== ===== [[A38 발리언트]]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Valiant_A38_1_Bovington.jpg|width=100%]] || || '''Tank, Infantry, Valiant (A38)'''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38 발리언트)] ==== 비무장 개조 파생형 ==== ===== 밸런타인 교량전차 ===== ||
[[파일:valentinebridge.jpg|width=100%]] || || '''Valentine Bridgelayer''' || '''"밸런타인 교량전차"'''는 기존 밸런타인 전차에 포탑을 제거하고 가교장치를 얹은 [[교량전차]]로, 전시 중 다국에 공여되어 사용되었다. ===== 밸런타인 스콜피온 II ===== ||
[[파일:valentine-scorpion_II.jpg|width=100%]] || || '''Valentine Scorpion II''' || '''"밸런타인 스콜피온 II"'''는 무장을 제거하고 스콜피온 II 지뢰제거장치를 장착한 파생형으로, 프로토타입만이 제작되었다. ===== 밸런타인 제트 추진 지뢰제거전차 ===== ||
[[파일:external/i15.photobucket.com/quizpic01.jpg|width=100%]] || || '''Valentine Jet Mine clearing tank''' || '''"밸런타인 제트 추진 지뢰제거전차"'''는 전후 밸런타인의 무장을 제거 후, 제트 엔진을 얹어 그 화력으로 지뢰를 제거하는 형태의 프로토타입 지뢰제거전차이다. 그러나 프로젝트의 경과가 좋지 않아 제작이 무산되었다. ===== 갭 점핑 탱크 ===== ||
[[파일:gapjumpingvalentine.jpg|width=100%]] || || '''Gap Jumping Tank''' || '''"갭 점핑 탱크"'''는 밸런타인을 베이스로 무장 탈거 후 로켓 26개를 얹어 그 화력으로 지뢰밭을 '''말 그대로 도약하여''' 건너가기 위해 만들어진 특수목적차량이다. 그러나 밸런타인이 너무 무거웠기 때문에 이는 실패로 끝났고, 대신 훨씬 가벼운 [[브렌건 캐리어]]를 사용하였으나 이번에는 반대로 그 가벼운 중량 때문에 착지에 계속 실패하였기에 프로젝트 차체가 무산되었다. ===== 버마크 ===== ||
[[파일:Vally ark.jpg|width=100%]] || || '''Burmark''' || '''"버마크"'''는 밸런타인 가교전차와 유사하지만, 언덕과 악지가 많은 극동 지역에서의 사용을 대비하여 제작된 물건으로, 다리가 아니라 언덕을 올라갈 수 있는 경사로를 설치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하지만 전쟁이 끝나면서 극동에 대한 관심도 자연스레 사그라들며 프로젝트가 중단되었다. === [[뉴질랜드]] === ==== 무장 교체 파생형 ==== ===== 밸런타인 Mk. III CS ===== ||
[[파일:valentine_CS.jpg|width=100%]] || || '''Valentine Mk. III Close-Surpport''' || '''"밸런타인 Mk. III CS"'''는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밸런타인 Mk. III의 보병지원화력을 강화하기 위해 뉴질랜드 방위군 측에서 Mk. III 형식을 베이스로 하여 기존의 [[2파운더]] 포를 철거하고, 포방패의 직경을 넓힌 뒤 [[QF 3인치 곡사포]]로 무장을 교체한 파생형이다. 총 9량이 해당 형식으로 개조되었으며, 총 23발의 고폭탄과, 2발의 연막탄이 탑재되었다. 이후 그린 섬 전투 당시, 최초이자 마지막 실전을 치러 뉴질랜드 제3기갑사단 소속으로 편제되어 일본군의 진지를 파괴하고 보병들을 제압하는 활약을 했으며, 전후에는 훈련용으로 사용되다 1960년 타 밸런타인 형식들과 함께 퇴역했고 현재는 1량만이 남아 개인 수집가에게 인수되어 있는 상태라고 한다. === [[소련]] === ==== 무장 교체 파생형 ==== ===== MK-III (F-95) ===== ||
[[파일:45mmvalentine1.jpg|width=100%]] || || '''МК-III (Ф-95)''' || '''"MK-III (F-95)"'''는 소련에서 제작된 밸런타인 전차의 무장 교체 파생형이다. 1942년 공여된 밸런타인에게는 APHE탄이나, 고폭탄이 공여되지 않아 아예 철갑탄으로 싸워야한다는 문제점 때문에 소련 군부에서는 구매한 밸런타인 Mk. II를 개조하여 45mm F-95 전차포와 DT 기관총으로 무장을 변경한다는 시안을 받아들여 이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스탈린과 장성들은 영국에게 이를 공여받을 때 같이 받았던 탄약과 장비들의 무용지물화를 예로 들며 무장 교체안에 대하여 반대하였고, 결국 시제 차량만이 제작된 채로 프로젝트는 중지되었다. ==== 장갑 강화 파생형 ==== ===== MK-IIIE ===== ||
[[파일:patriotparkvalentine.jpg|width=100%]] || || '''МК-IIIЕ''' || '''"MK-IIIE"'''는 소련이 공여받은 밸런타인의 약점인 조종석 정면 장갑과 정면 하단 장갑, 그리고 포탑링 주변 장갑을 증강한 파생형이다. 공식적인 소련군의 기록에는 밸런타인의 증가장갑형에 대한 기록을 찾기 힘든데, 밸런타인의 방호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작업은 비공식적으로, 대부분 일부 단차에만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업이 진행된 이유는 1942년 봄에 Pak40 대전차포와 [[4호 전차]] 장포신형, [[3호 돌격포]] 장포신형 등 변형 모두에 강력한 포가 장착되며 기존까지의 장갑이 쉽게 관통될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이에 대한 정보가 소련군 발명부에 존재하는데, 이는 1942년 11월 10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공병소장이었던 아라노비치 소령에게 제167전차여단의 여단장이 작성한 한 통의 편지가 도착했다. 그의 제안의 요지는 '''"MK-III 용 아플리케 장갑"'''이라는 제목이라는 문서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MK-III 용 아플리케 장갑 >---- >남서부, 스탈린그라드, 로스토프나도누 전선에서 실전을 치렀던 전차 여단의 전투 경험에 따르면 MK-III는 다음 위치에 아플리케 장갑이 필요합니다. > >우선, 상부 전면의 조종수 장갑은 수직 배치로 인해 모든 거리에서 75mm 주포가 관통할 수 있으며 너무 얇습니다. 추가 장갑은 경사장갑으로 되어야 합니다. > >또한, 하부 전면 플레이트도 이와 같은 이유로 강화되어야 하며 경사장갑이 되어야 합니다. > >가장 약한 곳은 포탑 링으로 측면 플레이트와 회전 메커니즘과의 연결로 장갑이 약해지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전장에서 이탈한 전차의 사례를 보면 적 포수가 포탑이 돌아가는 것을 막기 위해 먼저 이 지점을 노리고 사격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이에 포탑 링을 장갑판과 고무 라이너로 보호하여 충격 및 관통 시 포탄의 궤적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 >- 아라노비치 소령께, 제167전차여단 여단장이. 이 편지를 읽어본 아라노비치 소령과 그의 측근인 "알렉산드르 그레고리비치"는 여단장이 말하고자 하는 것을 명확히 알고 있었으며, 그는 3량의 발렌타인과 1량의 T-70을 회수하여, 증가장갑을 시범적으로 부착한 뒤 전투에 투입시켰으며, 이 전과로 상관인 아라노비치 공병소장은 붉은 별 훈장을 수여받았다. ||
[[파일:MK-IIIE1.jpg|width=100%]] || || '''MK-III 차체 정면 장갑 증가안''' || || [[파일:MK-IIIE2.jpg|width=100%]] || || '''MK-III 포탑 하단 장갑 증가안''' || "알렉산드르 그레고리비치"가 제안한 이 시안은 제안된 모든 방법 중에서 가장 두껍고 가장 잘 설계된 방법이었는데, 작업이 진행되었을 시 포탑 장갑의 증강은 물론, 차체 장갑의 최대 두께는 105mm가 될 뿐만 아니라[* 당대 최강 떡장갑 전차였던 '''티거와도''' 맞먹는 두께이다.] 비스듬히 배치되어 효율성을 높였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소련 군부는 탱크의 질량을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사유로 이를 거부하였다. 비록 이 시안은 통과되지 못하였지만, 알렉산드르의 상관이었던 아라노비치 공병 소령은 메모에 "실제로 장갑을 증강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었다"라고 기술해두었으며, 이후 그는 대피 및 탱크 수리 시의 노련한 행동으로 애국전쟁훈장 2등급을 받았다가 중령 계급으로 전쟁을 마쳤다. 상술한 MK-IIIE는 정식 명칭이 아니며, 러시아어로 보호를 뜻하는 '''"에크라니로바니 (Экранировани)"'''의 약자에서 따와 붙여진 명칭이다. === [[키프로스]] === ==== 비무장 개조 파생형 ==== ===== 밸런타인 장갑차 ===== ||
[[파일:cyprusvalentine.jpg|width=100%]] || || '''Βαλεντίνου ΤΟΜΠ''' || '''"밸런타인 장갑차"'''는 키프로스 방위군이 [[그리스 내전]] 직후, 키프로스에 주둔하던 영국군이 유기하고 간 2량의 발렌타인을 수습하여 포탑을 철거하고 자체적으로 새로 장갑을 얹어 장갑차로 제작한 파생형이다. 전투실 곳곳에 해치가 추가로 장비되어 있어, 내부의 인원들이 무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 [[남아프리카 연방]] === ==== 무장 교체 파생형 ==== ===== 밸런타인 Mk. I (빅커스 Mk. I) ===== ||
[[파일:southafricanValentine.jpg|width=100%]] || || '''Valentine Mk. I (Vickers Mk. I)''' || '''"밸런타인 Mk. I (빅커스 Mk. I)"'''는 기존의 발렌타인 I 부무장이었던 7.92mm BESA 기관총의 7.92mm 탄약이 부족함에 따라 부무장을 탄약재고가 많았던 .303 [[빅커스 기관총]]으로 교체한 파생형으로, 현재 남아프리카 국립 군사 박물관에 한 량이 전시되어 있다. == 평가 == === 장점 === * '''견고한 장갑''' 밸런타인 전차는 초기 전선에 등장했을 당시부터 마틸다 II와 유사한 수치의 장갑을 지니고 있어 독일 및 이탈리아군을 상대로 압도적인 전력차를 보여줬다. * '''높은 기동력''' 속력은 느렸지만, 무게가 가벼웠던 덕분에 악지나 산지에서의 기동이 상대적으로 타 전차들에 비해 유리했다는 점이 있었으며, 현가장치와 차체의 간격이 넓은 덕분에 궤도에 무언가가 끼는 일도 적었다고 한다. * '''고품질의 통신 장치''' 영국제 전차들의 공통적인 장점으로, 소련제나 독일제보다 더 높은 품질의 무전기를 보유하고 있어 합동 작전에 굉장히 유능하였다는 장점이 있었다. * '''고화력의 주포''' Mk. VIII, XI 형식부터 생긴 장점으로, 종전의 2파운더 포보다 훨씬 강력한 6파운더 주포와 QF 75mm 주포를 주무장으로 채용하며 [[6호 전차 티거]]나, [[5호 전차 판터]]도 통상 교전거리에서 격파할 수 있었다. === 단점 === * '''복잡한 구조의 현가장치''' 코일 스프링 현가장치의 구조가 복잡한 탓에 보기륜 1개가 파손되어도 나머지 보기륜이 제 역할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 '''느린 속력''' 속도가 평균 25~26km/h 정도에 불과한데다, 후진은 2km/h였기에 기동력은 괜찮았지만 빠르게 기동해서 적의 측면을 타격하는 등의 전술을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 총평 === >(중략)...'''이 3종류의 영국 전차 중 최고는 단연 캐나다에서 생산된 발렌타인 전차였습니다. 장갑도 튼튼했지만, 더 중요한 것은 장포신의 57mm 주포를 장착했다는 것입니다.''' >---- >-[[드미트리 로자]]. 전후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밸런타인 전차는 마틸다 II 전차의 후계로 제작되었으며, 그로 인해 마틸다 전차보다 선진적인 면도 다수 있었으나, 당시 영국의 시대상 및 시대착오적인 오판으로 단점이 어느정도 있었지만 개발사의 지속적인 개량 작업과 이를 토대로 북아프리카 전역, 동부전선의 활약을 통해 그 단점을 극복해낸 전차로 평가받는다. 사실 밸런타인 전차의 고평가는 자국인 영국보다, 외려 소련 및 러시아에서 더욱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계획적 구식화]]로 인한 전체적인 소련제 차량들의 신뢰성의 부족으로 인해 생긴 것이다.[* 소련제 [[T-34-76]]의 예만 봐도 그렇다. 해당 전차는 전장에서 생존 시간이 극도로 줄어든다는 판단 하에 최대 200시간 정도만 굴러갈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신뢰성을 낮춰버리기도 했다.] 특히 상단 소련 전차 에이스였던 드미트리 로자의 평가를 보면 알 수 있듯, 자국보다 외국에서 보병전차라는 자신의 본분에 맞게 활약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무장 증강도 전훈에 따라 빠르게 진행하면서 시대에 뒤쳐지지 않고 자신의 가치를 높인 훌륭한 전차라 볼 수 있다. == 실전 == === 대전기 === ==== [[제2차 세계 대전]] ==== ===== [[북아프리카 전역]]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Valentine_tank_Mk3_desert.jpg|width=100%]] || || '''보병과 함께 리비아 사막을 가로지르는 영국 육군 소속 밸런타인 Mk. II''' || 1942년, 이탈리아 왕국이 이집트 왕국을 무단으로 침공하면서 발발한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밸런타인 전차는 첫 실전을 치렀다. 중량이 높고 속도가 느린 [[마틸다 II]]와 달리 밸런타인은 무게가 훨씬 더 가볍고 속도가 빠르면서도 방호력은 이와 동등하였기에 독일군의 대전차포와 [[2호 전차]], [[3호 전차]] 초기형과의 전투에서 우위를 점하였다. 물론 [[8,8cm FlaK]] 앞에서는 마틸다와 마찬가지로 깡통 1이 되었지만, 8,8cm 포는 종전까지 주력으로 사용된 고관통, 고화력 포였으니 어쩔 수 없었다.[* 마찬가지로 독일군의 2호, 3호, 4호 전차나 6호전차 티거도 영국군의 8,8cm FlaK 급의 포인 오드넌스 [[QF 3.7인치 대공포]] 앞에서는 깡통이 되었다.] 아무튼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사용된 밸런타인은 시간이 점점 지날수록 장포신을 갖춘 [[4호 전차]] F2형, 그 악명 높은 [[6호 전차 티거]]까지 등장하며 더 이상 주력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판단하에 [[크루세이더 전차]] 와 마찬가지로 미국으로부터 공여받은 [[M10 GMC]]와 [[M4 셔먼]]으로 대체되며 2선급 장비로 머물게 되었다. ||
[[파일:Free_french_Valentine_in_Afrika.webp|width=100%]] || || '''북아프리카 전역 당시의 자유 프랑스군 소속 밸런타인 Mk.V 네임드 차량 "설욕" 22152번차''' || 이 밖에도, [[자유 프랑스|자유 프랑스군]] 및 [[체코슬로바키아 망명 정부]], [[인도 제국군]] 소속의 차출된 병력들도 영국군 측으로부터 대여받아 사용했다. ====== 십자군 작전 ====== ||
[[파일:Operation_Crusader_Valentine_Tank.jpg|width=100%]] || || '''십자군 작전 당시의 영국 육군 제8전차연대 소속 밸런타인 Mk. I 네임드 차량 "헤어포드" T27446번차''' || 밸런타인 전차는 십자군 작전 당시, 제8전차연대 소속으로 첫 실전을 경험하였으며, 이 당시 소수만이 시범 투입 되었으나, 기존의 마틸다 전차나, 크루세이더 전차보다 더 전투 효율이 좋다는 것이 입증되며 전선에 본격적으로 투입되기 시작하였다. ====== [[엘 알라메인 전투]] ====== ||
[[파일:el-Alamein_Valentine_1.webp|width=100%]] || || '''엘 알라메인 전투 당시 전투를 치르는 영국 육군 소속 밸런타인 Mk. I''' || 제1차,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 당시 영국군 측에서 사용하였으며, 마틸다 전차와 함께 분전한 끝에 추축군을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몰아내는 활약을 펼쳤다. 특히, 밸런타인은 2차례의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대활약을 했는데, 독일군을 상대로 끊임없이 압박하는 성과를 보여줘, 결국 독일군은 북아프리카에 대한 영향력을 망실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엘 알라메인 전투 당시 어떤 밸런타인은 사막을 주파하며 독일군을 추격하며 '''약 4,800km'''의 거리를 큰 수리 없이 이동하는 것에 성공하여, 엄청난 신뢰성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독일군 또한 노획한 [[마틸다 II]]와 함께 밸런타인을 최후의 발악으로 투입하였으나, 결국 패퇴하며 잔존 전차들을 모두 버리고 가, 해당 전차들은 다시 영국군으로 돌아왔다. ===== [[마다가스카르 전투]] ===== ||
[[파일:valentine_madagascar.jpg|width=100%]] || || '''마다가스카르 전투 당시 전투를 치르는 영국 육군 제6기갑사단 소속 밸런타인 전차 소대''' || 1942년 5월 마다가스카르 전투 당시, 상륙전을 치르기 위해 제6기갑사단 소속으로 밸런타인 전차가 동원되었다. 그러나 비시 프랑스군의 포격으로 인해 다수의 밸런타인이 손상을 입었으며, 결국 밸런타인 전차는 마다가스카르에서 크게 유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어 일선에서 물러났다. ===== [[독소전쟁]] ===== ||
[[파일:netstylevalentinetank.jpg|width=100%]] || || '''독소전쟁 당시의 소련 육군 소속 그물형 겨울 위장 도포 MK-III''' || 독소전쟁 당시에도 소련이 도합 3,332대라는 어마어마한 양을 공여받아 주력 경전차로 사용하였다. || [youtube(9Nv8sVu8TJc)] || ||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소련 육군 소속 MK-III 운용 영상''' || 상기 영상에서 소련군이 운용하는 밸런타인 전차를 볼 수 있다. ====== [[모스크바 공방전]] ====== ||
[[파일:moscowbattleMKIII.jpg|width=100%]] || || '''모스크바 공방전 당시의 소련 육군 소속 MK-III''' || 소련군이 밸런타인을 최초로 사용한 것은 1941년 말, 모스크바 공방전 와중이었으며, 이 때 당시 밸런타인은 전선에 곧바로 투입되었는데 독일군의 대전차포를 상대로 모조리 도탄을 내면서 소련군은 이 성능에 크게 감탄했다고 한다. 모스크바 공방전 당시의 대표적인 밸런타인의 활약은 다음과 같은데, 1941년 12월 20일, 독일 전차와 전투를 치른 3량의 밸런타인 전차 소대의 사례가 그 예로, 전차 소대 중 한 량은 37mm 포에 포탑이 피탄당했으며, 다른 한 량은 야포에 의해, 마지막 한 량은 측면에 5발을 피탄당하는 피해를 입었지만 역으로 반격하여 두 량의 독일군의 [[3호 전차]]를 격파하는 쾌거를 이뤘다. 이 사례를 들은 소련 군부에서는 전반적으로 밸런타인이 강력한 무장과 우수한 기동 능력을 갖춘 전투 차량으로 적의 인력, 요새, 탱크를 충분히 상대할 수 있다고 판단, 공여받을 전차 중 하나로 선택하게 되었다. 공여된 밸런타인들은 모스크바를 지키기 위해 각지에서 활약했으며, 결국 독일군이 철군을 택하면서 모스크바를 방어해내는 데에 성공했고, 그 명성을 동부전선에서 이어가게 되었다. ====== [[르제프 공방전]] ====== ||
[[파일:Battle of Rzhev valentine.jpg|width=100%]] || || '''데미얀스크 전투 당시 격파된 소련 육군 소속 MK-III''' || 르제프 공방전 당시에 소련군 소속으로 다수가 투입되었다. 이 시기부터, 2파운더를 장착했던 Mk.V 대신에 훨씬 더 화력이 강력한 OQF 6파운더 대전차포를 얹은 Mk. IX가 소련군에게 공여되면서 주력 전차인 T-34와의 화력 격차도 크게 줄어들었다. 그런데 가장 중요했던 점은 무엇보다 대전차화력이 증강되며 [[5호 전차 판터]]나 [[6호 전차 티거]]도 어느 정도 거리만 좁힐 수 있다면 정면에서도 격파가 가능했기에 소련군은 크게 호평하였다. ====== 북캅카스 전선 ====== ||
[[파일:MK-IIIUSSR2.jpg|width=100%]] || || '''북캅카스 전선 당시 모즈도크의 소련 육군 제5근위전차여단 소속 MK-III''' || 소련에게 공여된 밸런타인이 가장 활약하고, 또 높은 전과를 세운 곳은 바로 북캅카스로, 특히 '''제5근위전차여단'''의 활약이 유명한데, 제5근위전차여단은 1942년 9월 26일 코카서스에서 전투 작전을 시작하여 말고베크, 오제르나야 지역으로 향하는 그로즈니 방면에 주둔하였다.[* 당시 여단은 밸런타인 40량, T-34 3대, BT-7 1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9월 29일, 제5근위전차여단은 아르칸크-우르트 계곡에서 독일군과 전투를 벌였는데, 이 전투에서 '''"세넬코프"''' 대위가 지위하는 밸런타인이 전차 5량, 자주포 1문, 트럭 1량, 총 25명을 사살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현재 기록되어 있는 '''"유일한 소련군 소속 밸런타인 에이스"'''이다.] 10월 5일부터 며칠간 이 지역에서 전투가 계속됐는데, 말고베크 전투에서 제5근위전차여단은 총 38량의 전차와, 자주포 1문, 대전차포 24문, 박격포 12문, 독일군 1,800여명 사살 등의 전과를 이뤄냈다. 그러나 제5근위전차여단 역시 만만치 않은 손실을 입었는데, T-34 2대와, 소유하고 있던 밸런타인 중 25량이 경미한 피해를 입고, 8량이 완전 격파되었으며, 268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피해를 입었다. 다음은 북캅카스 전선의 한 일화로, 밸런타인의 활약 중 하나이다. >갑작스럽게 일어난 독일군 야포의 포격에서 내가 지휘하던 밸런타인은 급하게 농장의 어느 집에 들어가서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다. 명백히 그건 행운이었다! 한숨 돌리고 난 뒤, 나는 아군 전차들이 어디있나 살펴보기로 했다. > >나는 관측창으로 주위를 둘러보았는데, 우리 소대 소속의 영국 전차를 지휘하던 "폴로즈니코프"와 "보론코프"의 전차가 우리 차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곳에서 오고 있는 것을 보았다. > >하지만 어째서인지 소대 내에 있었던 [[KV-1]]들은 보이지 않았다. 어쩌면 그들은 낙오되었거나, 혹은 이미 당했을 가능성도 어느정도 있었다. 물론 보병들은 야포에 이미 당했지만 말이다.. > >도중에 적의 기관총 배치와 벙커를 파괴하면서 우리 전차소대는 공터에 진입했으며, 그 곳에서 우리는 잠시 멈추었다. 나는 무전기로 다음과 같이 명령했다. > >'''"내 명령없이 사격하지 마! 탄약을 아껴, 얼마나 이럴지는 알 수 없으니깐 일단 이동하고 보자고."''' > >내 휘하의 전차장들은 다들 대답했다. 그 사인은 분명 이해했다는 말일 것이다. > >그런 다음 나는 경비 중대 사령관 막시모프 중위에게 연락을 시도했다. 하지만 연락은 실패했다. > >그래도 우리는 한가지 정보를 알 수 있었는데, 그 때 내 무전기에 잡히는 방송은 독일어였으며, 장교가 휘하 인원들에게 꼬장을 부리는 것이 분명했다. 독일놈들은 자신들의 방어선을 우리가 돌파했다는 것에 매우 큰 우려를 표하고 있었다. > >그러나 우리의 상황은 좋지 못했다. 정찰을 실시하는 주력 부대가 적진의 뒤에서 홀로 이탈하고 탄약과 연료가 바닥난 상황이니, 이대로라면 포위되어 죽는 것은 시간 문제였다. > >도중에 독일 대전차포를 부수고 우리 소대는 다시 빠져나왔는데, 정말 웃긴 상황을 마주했다. > >우현으로 30~40m 떨어진 보론코프네 탱크에 도망치던 독일군들이 그쪽에 있던 것이다. > >웃기게도 그 놈들은 밸런타인을 자기들네 장비로 착각하고 탱크를 계속 두들겼으며, 왜 전차병들이 대꾸하지 않는지 초조해 하고 있었다. > >나는 보론코프에게 무전기로 독일군이 12명까지 모일 때까지 기다렸다가 기관총으로 다 쏴버리라고 명령했다. > >그런 다음 연막 유탄 발사기(영국 탱크에만 있던 물건인데, 정말 유용했다.)를 발사하고, 연막으로 위장하여 재빨리 빠져나와 부대 위치로 돌아왔다. > >"고르노베셀리" 주변에서는 여전히 전투가 진행 중이었다. > >아까 내 예상대로, [[KV-1]]들은 격파되어 있었다. KV-1들 중 하나는 포탑이 날아간 상태였으며, 잔해에서 살아남은 전차병은 절명한 포수를 땅에 묻어주고 있었다. > >조금 떨어진 KV-1에는 아직 살아 있는 전차병들이 있었는데, 독일군에 대항하여 권총으로 버티고 있었다. 우리는 밸런타인을 끌고 가, 주포와 기관총을 마구 쏴대 독일군을 몰아내고, 그들을 밸런타인에 실어 구출해내었다. >---- > MK-III 전차장 G.P. 폴로신의 회고 이 회고록에서 알 수 있듯, 밸런타인은 고품질의 무전기등, 기존의 소련 전차들과 비교하여 더 나은 소프트스펙과 높은 신뢰성으로 북코카서스에서 소련군의 승리에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받고 있다. ====== [[제2차 하르코프 공방전]] ====== ||
[[파일:Knocked out Soviet Valentine being passed by an SPG Bison near Kharkov in May 1942.webp|width=100%]] || || '''제2차 하르코프 공방전 당시 격파된 소련 육군 소속 MK-III "028번차"'''[* 1942년 5월 촬영된 사진으로, 오른편에 지나가고 있는 전투차량은 [[1호 자주포]]이다.] || 하르코프 공방전 당시에도 기병연대와 전차여단 소속으로 투입되었으며, 특히 느리고 덩치가 커서 피격 확률이 높은 [[마틸다 II]]와 달리, 중장갑에 작은 크기 덕분에 어느 정도 분전할 수 있었다. ====== [[스탈린그라드 전투]] ====== ||
[[파일:2347EE3A520345D12F.jpeg.jpg|width=100%]] || || '''스탈린그라드 전투 당시 격파된 소련 육군 소속 MK-III''' || 스탈린그라드 전투 당시 [[T-34-76|T-34]], [[KV-1]] 등과 함께 소련군 소속으로 다수가 투입되었다. ====== 드니프르-카르파티아 공세 ====== ||
[[파일:203107_3_pic_72.jpg|width=100%]] || || '''드니프르-카르파티아 공세 당시 강을 도하 중인 소련 육군 소속 MK-III''' || 드니프르-카르파티아 공세 당시 소련군 소속으로 다수가 투입되어 각지에서 활약했다. ====== 우만-보토샤니 공세 ====== ||
[[파일:Valentine_Mk.IX.jpg|width=100%]] || || '''루마니아 보토샤니에 진입한 소련 육군 제6전차연대 소속 MK-III'''[* Mk. IX 형식으로, 1944년 촬영된 사진이다.] || 우만-보토샤니 공세 당시 소련군 제6전차연대 소속으로 투입되어 루마니아를 점령하는데 공헌을 하였다. ====== [[바그라티온 작전]] ====== ||
[[파일:3rd_Belarussian_front_Valentine_IV_at_Lithuania.jpg|width=100%]] || || '''바그라티온 작전 당시 빌뉴스의 소련 육군 제3벨라루스전선군 소속 MK-III'''[* 1944년 7월 촬영된 사진으로, VII 형식이다.] || 바그라티온 작전 당시에도 다수의 차량들이 소련군 소속으로 참전하여 각지에서 활약하였는데, 이 중 주요 공세를 진행했던 제3벨라루스전선군 산하의 제5근위전차군은 작전 당일 총 39량의 밸런타인을 보유하고 있었다. ====== [[베를린 공방전]] ====== ||
[[파일:berlinMKIII.webp|width=100%]] || || '''베를린 공방전 당시 베를린 근교의 소련 육군 소속 MK-III''' || 베를린 공방전 당시에도 다수가 투입되어 보병 지원, 자주포 보조, 수송대 보조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결국 제3제국을 무너뜨리는데에 공헌을 하였다. ===== [[서부전선#s-3]] ===== ====== [[마켓 가든 작전]] ====== ||
[[파일:Abandoned British Valentine on a flood-drenched road near the Dutch border. 1945.jpg|width=100%]] || || '''마켓 가든 작전 당시 네덜란드에 유기된 영국 육군 소속 밸런타인 Mk.XI''' || 영국군은 상대적으로 여유로웠던 북서유럽에 밸런타인을 배치했는데, 이 시기 벌어졌던 마켓 가든 작전 당시 소수가 투입되었지만, 작전이 대실패하면서 격파되고 유기되었다고 한다. ===== [[태평양 전쟁]] ===== ====== 그린 섬 전투 ====== ||
[[파일:nissanvalentinetank.webp|width=100%]] || || '''그린 섬 전투 당시 섬에 상륙한 뉴질랜드 제3기갑사단 소속 밸런타인 Mk.V''' || 그린 섬 전투 당시 뉴질랜드 제3기갑사단 소속으로 투입되었다. 이 당시 그린 섬에서의 밸런타인은 매우 큰 활약을 했는데, 뉴질랜드 육군 보병대대를 지원할 목적으로 투입된 밸런타인은 정글을 개척하고 일본군의 기습을 막아내는데에 일조하였으며, 그 결과 뉴질랜드 육군 사상자 12명, 일본군 사상자 120명 전원이라는 압도적인 교환비로 뉴질랜드군이 전투에서 승리하는데 대활약하였다. === [[냉전]] === ==== [[https://en.wikipedia.org/wiki/Cypriot_intercommunal_violence#Crisis_of_1963%E2%80%931964|키프로스 위기]] ==== ||
[[파일:cyprusvalentine1.jpg|width=100%]] || || '''키프로스 위기 당시의 키프로스 방위군 소속 밸런타인 장갑차''' || 키프로스 위기 당시 키프로스 방위군 측에서 터키계와 그리스계의 유혈 충돌을 진압하기 위해 밸런타인 장갑차 2량을 투입한 기록이 남아있다. == 사용 국가 == === [[유럽]] === ==== [[서유럽]] ==== ===== [[영국]] ===== ||
[[파일:Valentine_Mk_II_front-right_2017_Bovington.jpg|width=100%]] || ||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영국 육군 소속 밸런타인 Mk.II "맨체스터"''' || 원조 사용국으로, 북아프리카 전선 당시에 주력으로 사용 후, 부족한 장갑과 화력에 한계를 느낀 영국군 측에서는 [[셔먼 II]]나, [[셔먼 V]] 등의 차량으로 대체하여 일찌감치 일선에서 물러났다. 현재는 보빙턴 전차 박물관 등, 영국 각지의 박물관들에 있는 밸런타인 전차들이 의장용으로 운용되고 있는 중이다. ===== [[프랑스]] ===== ||
[[파일:French_Valentine_Mk.I-III.jpg|width=100%]] || || '''소뮤아 전차 박물관 소장 프랑스 육군 소속 밸런타인 Mk. III''' || 자유 프랑스군이 영국군으로부터 대여받아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사용했다. 북아프리카 전역 이후, 잔존 개체를 영국에 반환한 뒤 미국제 전차를 사용했으나 현재 소뮤아 전차 박물관에 밸런타인 Mk. III기반 가교전차를 Mk. II 형식으로 복원한 개체를 소장 중에 있다. 해당 밸런타인 Mk. III의 복원기는 다음과 같은데, 원래 해당 차량은 가교전차로 개발되어 전시 중 운용했으며, 종전 이후 1948년 가교장치가 제거된 이후로 불도저로 운용되다, 포츠머스의 폐차장에 몇 년간 방치되었다고 한다. 1984년, 해당 단차는 개인 소유주에게 판매되었고, 이 당시 키프로스에서 스크랩 된 밸런타인 장갑차에서 회수한 엔진 및 변속기를 장착해 구동계를 복원하였으며, Mk. I의 포탑을 장착하게 되었다. 이후 1996년 소뮤아 전차 박물관 측에서 해당 단차를 구매하여 현재까지 전시 중에 있다. ==== [[중부유럽]] ==== ===== [[나치 독일]] ===== ||
[[파일:external/beutepanzer.ru/valentine-07.jpg|width=100%]] || || '''독일 국방군 아프리카 기갑사단 소속 Pz.Kpfw. Mk III 749(e)''' ||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노획한 밸런타인을 '''"Infanterie Panzerkampfwagen Mk III 749(e)"'''라는 제식명으로 운용하였으며, 얼마 안가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패배한 여파로 장비들을 유기하고 떠난 탓에 이를 영국군이 탈환했다. ===== [[폴란드]] ===== ||
[[파일:P1060948.jpg|width=100%]] || || '''복원 작업 진행 중인 소련 육군 소속 MK-III "T122834번차"'''[* MK. IX 형식으로, 하술하겠지만 2012년 폴란드 바르타 강에서 구난된 차량이다.] || || [youtube(3YxcxQ9IUg0)] || || '''바르타 강에 유기된 소련 육군 소속 MK-III 구난 영상''' ||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영국군 산하의 [[자유 폴란드군]]이 공여받아 사용했다가, 영국군에게 전량 반환하였고, 해당 차량들은 소련에게 공여되었다. 2012년 10월 25일에는 [[폴란드]] 서부에 위치한 바르타 강의 늪 속에서 소련군 소속의 밸런타인 Mk.IX가 구난되었으며, 현재 박물관으로 옮겨져 복원중에 있다. ==== [[동유럽]] ==== ===== [[소련]] ===== ||
[[파일:valentineussr1.jpg|width=100%]] || || '''우랄 군사 영광 박물관 소장 소련 육군 소속 MK-III''' || >겨울에도 잘 움직이고, 50~60cm 두께의 부드러운 눈 위에서도 기동성이 보장되며, 지면과의 접지력은 양호하나 빙판의 경우 어느 정도 박차를 가하는 것이 중요했다. > >주포는 완벽하게 작동했지만 주포 수입 시 사용했던 윤활유가 굳어버리는 바람에 전투 중 5~6발이 그대로 불발되는 경우가 있었기에 윤활 및 유지 보수가 매우 까다로웠다. 그렇지만 내부 장비와 보관함의 위치가 승무원간에 간섭하지 않았으며, 가시성이 높아 사용하기 편리했다. > >구동계의 내구성은 조금 떨어지는데, 대략적으로 150~200시간 정도 가동했다면 좀 쉬어줘야 했지만 장갑은 매우 튼튼해서 좋았다. > >단점은 우선적으로는 궤도의 접지력이 나쁘다는 것이며, 보기륜의 구조가 복잡하므로 한개의 보기륜이라도 문제가 생기면 전차가 제대로 움직이지 못한다는 점이었으며, 마지막으로는 보병들을 제압할 고폭탄이 없다는 점이었다. >---- >-소련 전차병들의 전반적인 밸런타인 전차 평가 소련 육군에서는 밸런타인 전차에 '''"MK-III"'''라는 제식명과 '''"발렌타인 (Валентайн)"''', 혹은 '''"바랴-타냐" (Валя-Таня)'''라는 별명을 붙였는데 이는 밸런타인의 발음이 어려웠던데다, 정보가 와전되어 붙여진 별명이라고 한다. 본국인 영국보다 밸런타인을 가장 많이 사용한 국가로, 수송 중 유실된 450량을 제외하고 무려 3,332량을 사용했다. 밸런타인이 소련군에 공여된 사연은 다음과 같다. 1942년, 밸런타인은 북아프리카에서의 활약 후, 다른 영국의 순항, 보병전차들처럼 잠시 사용되고 2선급으로 밀리거나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될 줄 알았으나, 동맹국인 소련에서 밸런타인에 대한 러브콜이 들어오게 된다. 그 이유는 1941년 12월, 영국이 시범용으로 잠시 공여했던 밸런타인이 대활약을 해내면서 소련군의 눈에 띄였던 것도 있고, 무엇보다 소련에서는 1942년부터 서서히 경전차 생산 공장을 [[T-34-76]]과 [[SU-76M]]의 생산라인으로 전부 교체해 나가고 있었는데, 이 때문에 정찰, 보병 지원, 자주포 지원 등의 역할을 맡을 경전차가 아예 부재인 상황에서 소련 육군 측은 발을 동동 굴릴 수 밖에 없었다. 이 때 마침 소련군이 떠올렸던 것이 모스크바 공방전 당시, 대활약했던 영국에서 건네준 '''"밸런타인 전차"'''였다.[* 재밌게도 모스크바 공방전 당시, 영국은 밸런타인과 [[마틸다 II]]와 함께 [[테트라크]] 같은 이상한 탱크도 보내준 적이 있었는데, 소련 측에서는 "대체 어디다 쓰라고 이딴 걸 줬는지 모르겠다"라는 혹평을 남기기도 했다.] 발렌타인은 영국에서는 보병전차였으나 최종형에서도 19톤에 못 미치는 중량덕에 소련군에서는 '''경'''전차로 분류됐으며, 기존의 모든 소련 경전차보다 방어력이 우수하고, 6파운더 형식은 화력이 기존 경전차의 45mm 20-K 전차포보다 우수하고, 신뢰성이 높으면서 중량은 경전차 수준인지라 산악지형 같은데서도 운영이 쉬운 장점이 있어서 경전차 중에서도 크게 애용되었다. 이는 소련의 전차 분류법과 관련이 있는데, 소련군에서는 차량을 분류 시 포나 장갑에 관계 없이 중량 별로 체급을 나눠서 사용했기에 중량은 경전차급이면서 장갑은 T-34 시리즈나 M4 셔먼과 맞먹는 중장갑을 지닌 밸런타인에 대한 평가가 높을 수 밖에 없었다.[* 특히, 이러한 평가는 소련 장성들의 자서전에서도 등장하는데, [[게오르기 주코프]]의 전후 회고록에서도 M4 셔먼보다 발렌타인을 더욱 높이 쳐 줬을 정도인데다, 소련의 [[M4A2]] 에이스인 드미트리 페드로비치 로자 또한 대부분의 영국 탱크를 비판했지만, 밸런타인 만큼은 고평가를 했을 정도이다.] 밸런타인은 초창기에는 렌드리스로 공여되었으나, 후기에 가면 소련 측에서 금을 대가로 즉석에서 구매하였다고 하는데, 오죽하면 [[스탈린]]이 '''"더 많은 밸런타인이 필요하다고 영국에 연락하시오!"'''라는 말까지 직접 남길 정도였으니, 더 이상의 말은 필요 없을 것이다. 이에 영국은 이라크에 주둔하던 자유 폴란드군의 전차를 대체함과 동시에 중고 밸런타인 전차들을 소련에게 추가로 공여해주었지만, 상태가 너무 좋지 않아 이란에서 오는 중 아제르바이잔의 바쿠에서 수리를 해야만 했다. 이 덕에 소련에서는 경전차의 수요를 간신히 채울 수 있었으며, 전후에도 일부 전차가 영국 정부의 반환을 거부하고[* 소련 입장에서는 제 값을 치르고 산 물건인데 다시 돌려달라고 했으니 어이가 없었을 것이다.] 소련 극동군에 남아 사용되었다고 한다. ===== [[러시아]] ===== ||
[[파일:russiaValentineTankMKV.jpg|width=100%]] || || '''2019 전승절 퍼레이드 참가 러시아 육군 소속 MK-III'''[* 밸런타인 Mk.V 형식으로, 뉴질랜드에서 복원된 차량이다. 평시에는 파디코보의 국립 군사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youtube(sELjcdP_HW0)] || || '''2015 군사 축제 "배틀필드" 등장 러시아 육군 소속 밸런타인 Mk. V''' || 소련을 계승한 러시아에서도 일부 차량을 의장용으로 사용 중임이 확인되었다. ==== [[남유럽]] ==== ===== [[이탈리아]] ===== ||
[[파일:italyvalentinebridgelayer.jpg|width=100%]] || || '''로마 기계화 박물관 소장 이탈리아 육군 소속 밸런타인 가교전차''' || [[이탈리아 왕국]] 당시, 북아프리카 전역 시기 영국군으로부터 한 량 이상을 노획해 사용한 기록이 남아있다. 전후 [[이탈리아 공화국]] 시기에도 소량의 밸런타인 가교전차를 영국으로부터 공여받아 냉전 시기 내내 사용하였다. ===== [[포르투갈]] ===== ||
[[파일:portugalValentinetank.jpg|width=100%]] || || '''산타 마르가리다 군기지 소장 포르투갈 육군 소속 밸런타인 Mk. III''' || Mk. III 형식 다수를 영국으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했다. ===== [[체코슬로바키아 망명정부]] ===== ||
[[파일:czechMK-III.jpg|width=100%]] || || '''체코슬로바키아 육군 산하 제11보병대대 소속 밸런타인 Mk. III'''[* 1942년 리비아 토브룩에서 촬영된 사진이다.] || 1942년, 토브룩 전투 당시 독일군으로부터 2량을 탈환하여 이를 수리해 사용했는데, 이는 체코 망명군이 최초로 소유하게 된 전차가 되었으며, 1943년에 들어서며 영국군에게 공여받아 사용하였다가 이후 전량 영국에 반환하였다. === [[아메리카]] === ==== [[북아메리카]] ==== ===== [[캐나다 자치령]] ===== ||
[[파일:bordenvalentinetank.jpg|width=100%]] || || '''보든 기지 군사 박물관 소장 캐나다 육군 소속 밸런타인 Mk.VII''' ||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직접적으로 생산하여 육군에 배치한 것은 32량이며[* 이마저도 훈련용으로만 사용되었다.], 나머지 차량들은 전부 소련으로 수출되었다. || [youtube(5E-WqMjuSHA)] || || '''비옥한 제국의 도움''' || 상단의 영상에서 소련에 수출하기 위해 몬트리올 기관차 공장에서 생산되는 밸런타인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 [[아시아]] === ==== [[동남아시아]] ==== ===== [[미얀마]] ===== ||
[[파일:burmavalentine.jpg|width=100%]] || || '''국토 방위 박물관 소장 미얀마 육군 소속 밸런타인 가교전차''' || 영국으로부터 [[A34 코멧]]과 함께 밸런타인 가교전차 소량을 구매해 사용했다. ==== [[남아시아]] ==== ===== [[인도]] ===== ||
[[파일:indiavalentine.jpg|width=100%]] || || '''인도 군사 학교 소장 인도 육군 소속 밸런타인 Mk.III''' || [[북아프리카 전역]] 당시 차출된 [[인도 제국군]]에게 공여되어 사용되었다. 이후 일부 차량이 인도 독립 후 인도 육군 소속으로도 사용되었다. ==== [[서아시아]] ==== ===== [[키프로스]] ===== ||
[[파일:valentineEF19.jpg|width=100%]] || || '''키프로스 전쟁 박물관 소장 키프로스 방위대 소속 밸런타인 장갑차 "ΕΦ19"''' || 2량의 밸런타인 장갑차를 사용했다. 1960년대 키프로스 위기 당시 이 2량 모두 사라져 행방을 알 수 없었으나, 1량은 프랑스 소뮤아 전차 박물관에 소장된 밸런타인을 복원하는데 부품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며, 나머지 1량인 차량번호 "ΕΦ19"의 경우, 키프로스 내의 어느 채석장에서 사용되고 있던 것을 발견하여 재매입 및 복원 후 현재 키프로스 전쟁 박물관에 소장 중에 있다. ===== [[튀르키예]] ===== ||
[[파일:turkish_valentine_.jpg|width=100%]] || || '''에티메스구트 전차 박물관 소장 튀르키예 육군 소속 밸런타인 Mk.III''' ||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영국으로부터 약 200여대의 밸런타인 전차를 공여받아 냉전시기 내내 운용하였다. === [[오세아니아]] === ==== [[오스트랄라시아]] ==== ===== [[호주]] ===== ||
[[파일:Valentinetank40.jpg|width=100%]] || || '''호주 기갑 포병 박물관 소장 호주 육군 소속 밸런타인 Mk.III''' || 영국으로부터 다수를 공여받아 사용하였다. ===== [[뉴질랜드]] ===== ||
[[파일:newzealandValentine.jpg|width=100%]] || || '''국립 군사 박물관 소장 뉴질랜드 육군 소속 밸런타인 Mk.V''' || 영연방의 일원이었던 뉴질랜드도 다수를 공여받아 북아프리카 전선과 태평양 전선에 투입하였다. 전후에도 1955년까지 실전 사용하였으며, 이후 퇴역시켰다. === [[아프리카]] === ==== [[남아프리카]] ==== ===== [[남아프리카 연방]] ===== ||
[[파일:southafricanValentine.jpg|width=100%]] || || '''남아프리카 국립 군사사 박물관 소장 남아프리카 연방 육군 소속 밸런타인 Mk. I (빅커스 Mk. I)''' || 남아프리카 연방 시기, 다수를 영국군으로부터 공여받아 운용했다. == 미디어 == === 기념우표 === ==== [[폴란드]] ==== ===== 영국제 폴란드군 전차 ===== ||
[[파일:Polska bron pancerna w w.brytanii.jpg|width=100%]] || || '''영국제 폴란드군 전차에 등장한 자유 폴란드 육군 소속 밸런타인 Mk. II''' ||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자유 폴란드군을 기념하기 위해 출시한 영국제 폴란드군 전차 우표에 등장한다. === 만화 === ==== [[월드 오브 탱크 역사웹툰]] ==== ||
[[파일:_historical_newbanner_20.jpg|width=100%]] || || '''월드 오브 탱크 역사웹툰에 등장한 밸런타인 Mk. III''' || 월드 오브 탱크의 브랜드 웹툰인 월드 오브 탱크 역사웹툰에서 [[https://worldoftanks.asia/ko/content/history/valentine/|에피소드 중 하나]]로 등장한다. === 게임 === ==== [[강철의 왈츠]] ==== ||
[[파일:valentine_a.png|width=100%]] || || '''서짓 아이언사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강철의 왈츠/전차 소녀/특전차)] ==== [[인리스티드]] ==== ||
[[파일:enlisted_valetine.jpg|width=100%]] || || '''인리스티드 모스크바 캠페인에 등장한 소련 육군 소속 밸런타인 Mk.I''' || 모스크바 캠페인에 렌드리스 된 소련군 소속 밸런타인 Mk.I이 사용 가능한 전차로 등장한다. ==== [[워 썬더]] ==== ||
[[파일:1200px-GarageImage_Valentine_I.jpg|width=100%]] || || '''발렌타인 I''' || || [[파일:1200px-GarageImage_Valentine_XI.jpg|width=100%]] || || '''발렌타인 XI''' || || [[파일:1200px-GarageImage_Valentine_IX.jpg|width=100%]] || || '''발렌타인 IX''' || 영국 지상 보병전차 트리 2랭크의 전차로 등장한다. 기본 Mk. I형은 전방위 60mm 정도의 튼튼한 장갑을 보유하고 있으며, 스톡이 상당히 좋지 않지만, 구동계를 중점으로 개수한 뒤, 최종 연구탄을 장비하면 정말로 튼튼한 장갑 덕에 최전선에서 적들의 주의를 혼자서 끌며 37mm, 47mm 정도 구경의 탄을 튕겨내며 전진하면서 적들을 말 그대로 부수고 다닐수 있다. 밸런타인 XI 버전은 75mm Mk. V포가 철갑탄 밖에 없는데다, 장거리 관통력도 애매하고, 주포가 무거운 탓에 안정 시간도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종형에 가까운 IX 버전은 57mm 6파운더의 화력이 매우 굉장한데다, 포탑의 방호력 및 차체의 기동성도 좋기에 티타임을 어느 정도 줄 수 있다면 적들의 탄도 어느정도 방호 가능하다. ||
[[파일:1200px-GarageImage_MK-IX__Valentine__(USSR).jpg|width=100%]] || || '''★MK-IX 발렌타인''' || 이 밖에도 소련에 공여된 Mk.IX형도 소련 프리미엄 전차로 등장하며, 해당 전차는 매년 2월 14일 밸런타인 데이에 하루 동안만 구매할 수 있다. ==== [[월드 오브 탱크]] ==== ||
[[파일:external/wiki.gcdn.co/Valentine_scr_2.jpg|width=100%]] || || '''밸런타인 Mk.IX''' || || [[파일:external/wiki.gcdn.co/%D0%92%D0%B0%D0%BB%D0%B5%D0%BD%D1%82%D0%B0%D0%B9%D0%BD_II_scr_2.jpg|width=100%]] || || '''밸런타인 Mk.II''' || || [[파일:external/wiki.gcdn.co/Valentine_AT_scr_2.jpg|width=100%]] || || '''밸런타인 6pdr''' || 영국 4티어 경전차로 등장한다. II의 경우 소련 프리미엄 탱크로도 있다. 6파운더와 75mm 주포를 장착할 수 있지만 4티어 전차란 이유로 연사력이 반토막 나버려서 마스터를 쉽게 딸려면 스톡포인 2파운더 포에 골탄을 쏘는 게 현명하다. 5티어 중전차인 처칠과의 주포 호환성이 훌륭하기 때문에 처칠을 찍을거면 밸런타인에서 미리 연구해두자. 9.5 업데이트로 밸런타인에서 처칠로 갈수가 없게 되었지만 주포 호환은 유효하다. 연구를 하지 않고 마틸다에서 처칠을 연구하면 2파운더나 소구경 포를 달고 7탑까지 가야한다. 고증에 맞는 20km대 속도를 보유하고 있고 내리막길에서조차 30km을 조금 넘는다. 평상시엔 [[월드 오브 탱크/프랑스 테크 트리|프랑스]] 4티어 경전차인 AMX-40보다 약간 빠르지만 빠른 탱크가 뒤에서 밀어준다면 이쪽이 훨씬 느리다.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 ==== ||
[[파일:1659893078276.jpg|width=100%]] ||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에 등장한 영국 육군 소속 밸런타인 Mk. XI 지휘전차'''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에서 영국군의 특수유닛으로 등장한다. 지휘전차 포지션으로, 정찰 스킬과 맵 상의 색스턴 자주포의 포격을 연계할 수 있지만 자체 전투력이 약한데다 색스턴 자주포의 성능이 낮은 탓에 사용 빈도가 낮은 편. ==== [[Steel Division 2]] ==== ||
[[파일:1653605666716-1.jpg|width=100%]] || || '''밸런타인 Mk.III''' || || [[파일:1653605666716-0.jpg|width=100%]] || || '''밸런타인 Mk.IV''' || Mk.III 후기형과 Mk.IV 형식이 소련군이 사용 가능한 차량으로 등장한다. 다수의 6파운더 버전이 기병사단이나 보병사단의 보병지원용 전차로 등장한다. [[6파운더]] 주포인 만큼 1km 내로 들어가면 티거 격파를 노려볼 수 있고 500m 내면 판터 전면도 노려볼 만하다. 도시나 숲에서 근접전 위주로 굴려주자. 단점은 기관총이 없어 대보병이 안 된다는 것. 이동형 대전차포 같은 느낌이다. 거기다 이동속도가 끔찍하게 느려서 전투중에 부르면 저 멀리서 한참동안 기어온다. 2파운더 버전은 소수로 정찰용이나 지휘차량 정도로만 사용된다. 아미 제너럴 캠페인에선 독일군의 노획 버전으로도 등장한다. 파르티잔과 싸우는 후방 경비대가 갖고 있다. ==== Gate Of Hell: Ostfront ==== ||
[[파일:Gate_of_hell_Ostfront_Valentine.webp|width=100%]] || || '''Gate Of Hell: Ostfront에 등장한 소련 육군 소속 MK-III''' || 제2차 세계 대전 동부전선을 다룬 게임, Gate Of Hell: Ostfront에서 IX 형식이 소련군 소속의 정찰 경전차로 등장한다. == 모형 == === [[프라모델]] === ==== [[타미야 모형]] ==== ||
[[파일:76_shop1_722173.jpg|width=100%]] || || '''1/35 British Infantry Tank Mk.III Valentine Mk.II/IV''' || 1/35 스케일로 1종을 출시하였다. ==== 미니아트 ==== ||
[[파일:BRITISH INFANTRY TANJ Mk.III VALENTINE V.jpg|width=100%]] || || '''BRITISH INFANTRY TANK Mk.III VALENTINE V''' || || [[파일:Pz.Kpfw. Mk.III 749(e) VALENTINE III w.CREW.jpg|width=100%]] || || '''Pz.Kpfw. Mk.III 749(e) VALENTINE III w/CREW''' || 1/35 스케일로 3종을 출시하였다. ==== 즈베즈다 ==== ||
[[파일:10793124p.jpg|width=100%]] || || '''BRITISH INFANTRY TANK "VALENTINE II"''' || 1/100 스케일로 1종을 출시하였다. ==== 아크 모델 ==== ||
[[파일:ark_model_Ussr_valentine.jpg|width=100%]] || || '''British infantry tank 'Valentine' IV Mk.III''' || 1/35 스케일로 1종을 출시하였다. ==== AFV 클럽 ==== ||
[[파일:BRITISH INFANTRY TANK MK.II VALENTINE MK.IV.jpg|width=100%]] || || '''BRITISH INFANTRY TANK MK.II VALENTINE MK.IV''' || 1/35 스케일로 1종을 출시하였다. === 브릭 === ==== [[브릭매니아]] ==== ||
[[파일:micro_valentine.jpg|width=100%]] || || '''잇지 카소위츠 버전 마이크로브릭 밸런타인''' || 마이크로브릭 버전으로 밸런타인 1종을 출시하였다. ==== [[코비(기업)|코비블럭]] ==== ||
[[파일:cobi_valentine.jpg|width=100%]] || || '''밸런타인 Mk. III''' || 밸런타인 Mk. III 1종을 발매하였다. == 참고 문헌 == * [[http://the.shadock.free.fr/Surviving_Valentines.pdf|밸런타인 전차 생존 개체 목록]] * [[https://medium.com/angry-planet/to-russia-with-love-76a2e4ca6c46|데이비드 엑스 작성 소련 밸런타인 기록]] * [[http://vspomniv.ru/Valentine.htm|소련군 밸런타인 사용기 1]] * [[http://safereactor.cc/post/3042030|소련군 밸런타인 사용기 2]] * [[https://history.wikireading.ru/112226|소련군 사용 영국 전차 목록]] * [[http://www.tankarchives.ca/2016/03/valentine-mods-in-ussr.html|탱크 아카이브 "소련의 밸런타인 개조]] * [[https://thedailybounce.net/historical/valentine-ix-a-tank-destroyer-with-claws/|밸런타인 Mk.IX "발톱을 지닌 구축전차"]] * [[http://wio.ru/tank/ww2aces.htm|소련 전차 에이스 목록]] * [[https://ko.topwar.ru/154612-drugoj-lend-liz-valentin-ili-valentina-legkij-tank-mkiii-valentajn.html|북코카서스 전선 당시의 기록 및 랜드리스 밸런타인 평가]] * [[http://www.tankarchives.ca/2019/01/a-turret-for-three.html|탱크 아카이브 "3인용 포탑"]] * [[https://history.wikireading.ru/112226|위키리딩 소련 렌드리스 전차들 기록]] * [[https://ru.wikipedia.org/wiki/%D0%92%D0%B0%D0%BB%D0%B5%D0%BD%D1%82%D0%B0%D0%B9%D0%BD_(%D1%82%D0%B0%D0%BD%D0%BA)|위키피디아 밸런타인 전차 문서 러시아어판]] * [[https://en.wikipedia.org/wiki/Valentine_tank|위키피디아 밸런타인 전차 문서 영어판]] * [[https://console.worldoftanks.com/en/british-tank-for-soviet-infantry/|월드 오브 탱크 밸런타인 전차 탐구]] * [[https://worldoftanks.asia/ko/content/history/valentine/|월드 오브 탱크 역사 웹툰 밸런타인 편]] * [[https://topwar.ru/142684-rasskazy-ob-oruzhii-pehotnyy-tank-mkiii-valentayn-snaruzhi-i-vnutri.html|러시아 국립 군사사 박물관 소장 밸런타인 V 외부 내부 관찰]] * [[https://warspot.ru/10088-kanadskiy-valentine|캐나다제 밸런타인]] * [[https://tanks-encyclopedia.com/ww2/gb/tank_infantry_mkiii_valentine.php|탱크 언사이클로피디아 밸런타인 문서]] * [[http://panzerserra.blogspot.com/2018/04/valentine-mk-ii-canal-defense-light-cdl.html|밸런타인 주요 파생형]] * [[https://en.wikipedia.org/wiki/Battle_of_the_Green_Islands|위키피디아 그린 섬 전투 문서 영어판]] * [[http://kiwisinarmour.hobbyvista.com/tspics.htm|뉴질랜드 육군 제3기갑사단 사진집]] * [[https://tanks-encyclopedia.com/cypriot-valentine-mkii-tank/|Tank encyclopedia 키프로스 방위군의 밸런타인 Mk. II]] == 둘러보기 == [include(틀:2차 세계대전/소련 기갑차량)] [include(틀:소련의 경전차)] [include(틀:2차 세계대전/캐나다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뉴질랜드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호주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독일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터키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포르투갈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인도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남아프리카 연방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자유 프랑스 기갑차량)] [include(틀:냉전/소련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호주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뉴질랜드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포르투갈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이탈리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키프로스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튀르키예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보병전차]][[분류:지상 병기/세계 대전]][[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영국군/기갑차량]][[분류:호주군/기갑차량]][[분류:튀르키예군/기갑차량]][[분류:비커스(기업)]][[분류:1940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