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3><:> {{{#FFFFFF ζ Oph[br]{{{+3 '''뱀주인자리 제타'''}}}}}} || ||||<-3>{{{#!wiki style="margin: -6px -10px -6px" [[파일:Sig12-014.png|width=100%]]}}} || ||<-3> {{{#FFFFFF {{{-3 뱀주인자리 제타와 주변의 성운인 Sh2-27의 적외선사진[* [[스피처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했다.] }}}}}}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16h 37m 09.53905s || || {{{#FFFFFF 적위}}} || −10° 34′ 01.5295″ || || {{{#FFFFFF 별자리}}} || [[뱀주인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O형 주계열성]] || ||<-2> {{{#FFFFFF '''분광형'''}}} || O9.5 V || ||<-2> {{{#FFFFFF '''거리'''}}} || 약 366 [[광년]][br]112 [[파섹]] || ||<-2> {{{#FFFFFF '''반지름'''}}} || 8.5 태양반경 || ||<-2> {{{#FFFFFF '''질량'''}}} || 약 20.2 태양질량 || ||<-2> {{{#FFFFFF '''평균 온도'''}}} || 34,300 [[켈빈|K]] || ||<|2> {{{#FFFFFF '''운동'''}}} || {{{#FFFFFF 시선속도}}} || −15.0 km/s || || {{{#FFFFFF 자전 속도}}} || 400 km/s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FFFFFF '''겉보기 등급'''}}} || 2.56 ~ 2.58 || ||<-2> {{{#FFFFFF '''절대 등급'''}}} || -4.2 || ||<-2> {{{#FFFFFF '''광도'''}}} || 74,100 태양광도 || ||<-3> {{{#FFFFFF '''명칭'''}}} || ||<-3> 뱀주인자리 제타, ζ Oph, 13 Oph, BD -10°4350, FK5 622, HD 149757, HIP 81377, HR 6175, SAO 160006, 2MASS J16370954-1034014, Gaia DR2 433735230531554508 || [목차] == 개요 == {{{+1 뱀주인자리 제타/ζ Oph}}} 뱀주인자리 제타는 뱀주인자리의 제타성으로 거리가 366광년밖에 되지 않아 현재 지구에서 제일 가까운 [[O형 주계열성]]이다. == 상세 == 현재 뱀주인자리 로 분자운 복합체 근처에 있는 성간가스를 지나기고 있음과 동시에 이온화시키고 있으며 이 성운은 따로 Sh2-27이라는 명칭으로도 불린다. 주기적으로 변하는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의 일종이지만 주기가 불규칙적으로 변하며 하루에 10개이상의 다른 주기를 최대 10회에 걸쳐 보여준다. 이런 형태의 변광 형태를 가진 항성을 몇 개 더 발견하여 '뱀주인자리 제타형 변광성'이라고 형태를 새로 정의했다. 뱀주인자리 제타의 30km/s의 속도로 고유 운동을 하고 있는 점, 나이 등을 분석했을때 [[전갈자리-센타우루스자리 성협]]의 일원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특이속도를 가지고 도주성이 된 원인은 현재 2가지로 분석되고 있는데 하나는 같은 성협에 속한 별들이 여러 역동적이고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튕겨져 나왔을 가능성이 있고, 다른 하나는 쌍성계의 주성이 II형 초신성을 일으켜 초신성의 반동으로 튕겨져 나왔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두 번째 가설을 적용할 경우 PSR B1929+10이라는 펄서가 이 초신성의 잔해로 추정되며 제타는 초신성에 인한 도주성 시나리오에 의한 속도 벡터로 연성계에서 탈출 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이 별은 자신의 질량을 실시간으로 지구질량의 10배의 속도로 잃고있는 것이 밝혀졌다. 아직 고유명칭은 [[국제천문연맹]]에서 확정하지는 않았지만 고대 중국에서는 이 별을 "한"(韓)이라 불렀다고 한다. === Sh2-27 === ||<-5><:> [[샤플리스 목록|{{{#FFFFFF '''샤플리스 천체'''}}}]] || ||<:> [[Sh2-26|{{{+1 '''Sh2-26'''}}}]][br]궁수자리의 발광성운 ||<:> {{{+1 ←}}} ||<:> {{{#000000 {{{+1 '''Sh2-27'''}}}[br]뱀주인자리, 전갈자리의 발광성운 }}} ||<:> {{{+1 →}}} ||<:> [[Sh2-28|{{{+1 '''Sh2-28'''}}}]][br]궁수자리의 발광성운 || ||||<-3>
<:> {{{#FFFFFF ζ Oph Nebula[br]{{{+3 '''뱀주인자리 제타 성운'''}}}[br]Sh2-27}}} || ||<-3> [[파일:뱀주인자리 제타.jpg|width=100%]] || ||<-3> {{{#FFFFFF {{{-3 가시광선파장에서 촬영한 Sh2-27 및 뱀주인자리 제타[* 중심에 있는 뱀주인자리 제타에서 남동쪽으로 이동하면 보이는 약간 분산된 항성같이 보이는 것이 [[메시에 107]]이다. ] }}}}}}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17h 12m || || {{{#FFFFFF 적위}}} || −10° 34′ || || {{{#FFFFFF 별자리}}} || [[뱀주인자리|{{{#3366aa 뱀주인자리}}}]], [[전갈자리|{{{#3366aa 전갈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발광성운|{{{#3366aa 발광성운}}}]] [br][[전리수소영역|{{{#3366aa 전리수소영역}}}]] || ||<-2> {{{#FFFFFF '''거리'''}}} || 366 [[광년|{{{#3366aa 광년}}}]] [br]112 [[파섹|{{{#3366aa 파섹}}}]]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 알려지지 않았다.] || ||<-3> {{{#FFFFFF '''규모'''}}} || ||<-2> {{{#FFFFFF '''크기'''}}} || 10° || ||<-3> {{{#FFFFFF '''명칭'''}}} || ||<-3> [[Sh2|]]-27, [[Gum 목록|Gum]] 73, LBN 24 || ==== 개요 ==== {{{+1 뱀주인자리 제타 성운/Sh2-27}}} 뱀주인자리 제타 성운 또는 Sh2-27은 뱀주인자리 제타에 의해 이온화되고 있는 [[발광성운]] 및 [[전리수소영역]]을 의미한다. ==== 상세 ==== 무려 10도에 이르는 엄청난 겉보기 크기를 자랑하고 있으며 그때문에 [[뱀주인자리]]뿐만 아니라 [[전갈자리]] 범위까지 퍼져 있다. 상술했듯 폭주성인 뱀주인자리 제타에 의해 이온화되고 있으며 그 크기는 대략 100광년으로 추정된다. 우연하게 태양이 중심에 위치하게 된 초거품인 국부 거품이 뱀주인자리 제타 성운 방향으로 약 260 광년까지 퍼져 있다는 것이 밝혀졌기 때문에 국부거품도 성운의 형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냐는 가설도 생겨났다. == 다른 천체 목록 == ||<-5><:> [[Gum 목록|{{{#FFFFFF '''Gum 천체'''}}}]] || ||<:> [[석호 성운|{{{+1 '''Gum 72'''}}}]][br]궁수자리의 발광성운 ||<:> {{{+1 ←}}} ||<:> {{{#000000 {{{+1 '''Gum 73'''}}}[br]뱀주인자리, 전갈자리의 발광성운 }}} ||<:> {{{+1 →}}} ||<:> [[Gum 74|{{{+1 '''Gum 74'''}}}]][br]궁수자리의 발광성운 || [[분류:항성]][[분류:성운]][[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