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000,#dddddd '''{{{+1 버스데이 보이}}}''' (2004)[br]Birthday Boy[br]축생일(祝生日)}}} || || '''{{{#000000,#dddddd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애니메이션}}} || || '''{{{#000000,#dddddd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박세종}}} || || '''{{{#000000,#dddddd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박세종}}} || || '''{{{#000000,#dddddd 연출}}}''' ||{{{#!wiki style="margin: 0px 10px" 앤드류 그레고리}}} || || '''{{{#000000,#dddddd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애드리안 로스티롤라}}} || || '''{{{#000000,#dddddd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제임스 K. 리}}} || || '''{{{#000000,#dddddd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호주 국립영상학교(Television and Radio School)}}} || || '''{{{#000000,#dddddd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상}}} || || '''{{{#000000,#dddddd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4년 6월 8일}}} || || '''{{{#000000,#dddddd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0분}}} || || '''{{{#000000,#dddddd 제작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150만원}}} || || '''{{{#000000,#dddddd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전체 관람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전체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호주의 한국인 박세종이 제작한 10분짜리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 [[6.25 전쟁]]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 등장인물 == * 만욱(조슈아 안 扮) * 어머니 * 아빠[* 상상 속에서만 등장.] * 우체부 == 설정 ==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1951년, 한국에서 만욱(목소리: 조슈아 안)이라는 작은 소년이 학교에서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놀고 있다. 그는 한자로 '생일 축하합니다.(祝生日)'라고 적힌 흰색 배지를 셔츠에 걸고 있다. > >첫 번째 장면은 다소 수수께끼 같은 구조에 앉은 나비에서 시작된다. 소년은 안에서 노래를 부르고 있다가 그가 나왔을 때 카메라는 수수께끼의 구조가 건물에 충돌한 비행기의 잔해임을 보여주기 위해 뒤로 물러난다. > >만욱은 마을을 지나 기찻길로 가서 기차 소리를 듣기 위해 철로에 귀를 갖다 댄다. 기차가 오는 소리를 들리자, 그는 비행기에서 가져온 볼트를 기차 레일에 놓는다. 기차는 탱크를 운반하고 있었다. > >소년은 기차가 레일을 지나가며 납작해진 볼트를 집어든다. 그는 트랙이 내려다보이는 지점으로 계속 이동한다. 멀리서 전투기를 본 그는 총을 쏘는 척 하고, 상상의 동료 군인 "아빠"와 긴급 몇 마디를 주고받고, 자전거에 탄 우체부를 명중시키는 암석 수류탄을 던진다. > >마침내 집에 도착한 만욱은 현관에서 발견한 소포를 펼친다. 그는 자신과 젊은 남자의 사진이 들어 있는 낡은 지갑, 인식표 한 세트, 부츠를 꺼낸다. 만욱이 이 물건들이 집으로 보내졌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그는 인식표를 붙이고 더 많은 군인 놀이에 참여한다. > >실내에서 소년은 주로 전쟁을 주제로 한 자신이 직접 만든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있다. 그러다가 그는 바닥에 엎드려 잠이 들고, 이윽고 그의 어머니가 집에 온다. > >(출처: [[IMDb]]) == 수상 == 국내외로 호평을 받으며 총 19군데의 영화제에서 노미네이트 되거나 수상하였다. 그중 2004년에 [[아카데미상|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단편 애니메이션 부분에 후보작으로 출품되었는데, 이는 한국인이 아카데미 시상식에 후보로 노미네이트된 최초의 사례로 꼽히고 있다. 그 외에도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에서 장 뤽 시베라스 신인상을 수상한 것이 주목할만한 성과로 꼽히고 있다. == 기타 == [[분류:한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호주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04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한국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호주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단편영화]][[분류:6.25 전쟁/창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