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전사족]]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버스터 블레이더(유희왕/카드군), top2=파괴검)] [include(틀:어둠의 유우기 덱 관련 문서)][include(틀:무토우 유우기 덱 관련 문서)] ||<-3> '''{{{#!html버스터 블레이더}}}'''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41d41bf2.jpg|width=100%]]}}} || || '''등장 시리즈'''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DM]],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GX]] || || '''사용 캐릭터''' || [[어둠의 유우기]][br][[무토우 유우기]] || || '''첫 수록''' || [[아누비스의 저주|Curse of Anubis -아누비스의 저주-]] || || '''서포트''' || [[융합 소환|융합]] || || '''소속 테마군''' || [[버스터 블레이더(유희왕/카드군)|버스터 블레이더]] || || '''재정'''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px]] [[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4&cid=4983|OCG DB Q&A]] ||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BusterBlader-JP-Manga-DM-color.png]] || 한글판 명칭 ||<-4>'''버스터 블레이더'''|| || 일어판 명칭 ||<-4>'''バスター・ブレイダー'''|| || 영어판 명칭 ||<-4>'''Buster Blade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8[*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는 7. 다만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의 경우 가끔 6으로 표기되는 오류도 발생한다.] || 땅 || 전사족 || 2600 || 2300 || ||<-5>상대의 필드의 드래곤 1마리당 500 포인트 공격력을 올린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편]]부터 [[어둠의 유우기]]가 사용한 상급 몬스터. [[드래곤 슬레이어|드래곤족을 '''말살'''하는 것이 특기인]] 전설의 검사라는 살벌한 설정을 가진 몬스터. 특유의 안티 드래곤 효과와 효과 적용 시 3000 공격력을 100 차이로 넘는 것을 보아 [[카이바 세토]]를 견제하기 위해 투입한 몬스터로 보이며, 실제로 카이바와의 준결승전에서 [[블랙 매지션]]과 융합하여 [[초마도검사 블랙 파라딘]]이 되어 공격력 상승 효과로 푸른 눈의 백룡을 파괴하는 피니셔가 되었다. [[파일:BusterBlader-JP-Manga-DM-Summon.jpg|width=500]] 작중에서 유우기가 [[마리크 이슈타르]]가 조종하는 [[레어 헌터|과묵한 인형]]과의 듀얼에서 [[오시리스의 천공룡]]에게 대응하기 위해 소환한 것이 첫 등장이다. 이때는 오시리스가 드래곤족으로 취급돼서 그런지 오시리스에 의해 공격력이 상승한다.[* 후에 OCG로 나온 삼환신은 모두 "환신야수족"이라는 독자적인 종족을 부여받는다.] 패의 개수에 따라 공격력이 오락가락하는 오시리스의 특성상 초반에는 버스터 블레이더가 오시리스의 공격력을 뛰어넘었지만, [[악몽의 쇠창살]] 때문에 공격하지 못하고 그대로 턴을 내줘서 공격력이 올라간 오시리스에게 파괴당한다. 그 후 유우기의 마지막 턴에 [[죽은 자의 소생]]으로 되살아난 뒤, 소뢰탄으로 약화되지만 [[리바이벌 슬라임]]을 파괴한다. 그리고 유우기는 [[세뇌-브레인 컨트롤-]]로 리바이벌 슬라임을 강탈해서 무한 루프에 의한 덱 파괴[* 오시리스의 소뢰탄으로 인해 리바이벌 슬라임이 유우기의 필드에서 파괴와 부활을 끝없이 반복하는데, 마리크가 발동해둔 [[생환의 패]]의 효과로 인해 계속 3장씩 드로우하다가 덱이 바닥나면서 덱파괴로 인해 마리크가 패배한다.]로 승리한다. 버스터 블레이더의 단독 활약상은 이것이 처음이자 마지막이며, 그 뒤로는 [[초마도검사 블랙 파라딘]]의 융합 소재로만 쓰인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총집편에서 엑스트라가 소환한 걸로 잠시 등장하거나 결투의 의식에서 [[무토우 유우기]]가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 횟수가 그나마 늘었다. 마그넷 워리어 베타와 감마를 제물로 소환하여 [[유익환상수 키메라]]를 베어 처음으로 아템의 라이프 포인트를 깎아내고, 키메라의 효과로 남겨진 바포메트를 제물로 소환된 [[암흑 마족 길퍼 데몬]]도 파괴히지만, 길퍼 데몬의 효과로 공격력이 500 줄어들었고 결국 [[질풍의 암흑 기사 가이아]]에게 파괴당한다. 또한 애니메이션 내에서는 어둠의 유우기가 마자키 안즈와의 데이트 중에 카드숍에서 산 카드팩의 커버 몬스터로도 등장했다. 아마 원작 내용 한정으로는 이 팩에서 뽑은 것으로 추정된다.[* 애니판에서는 [[빛의 봉쇄검]]을 뽑으면서 [[플라잉 사마귀]], [[정신 기생체]]와 같이 나왔다.] 공격명은 '[[파괴검일섬]](破壊剣一閃)', '드래곤 버스터 블레이드([ruby(竜破壊の剣, ruby=ドラゴンバスターブレード)] / Dragon Buster Blade)'.[* [[SBS]] 방영판에서는 '드래곤을 심판하는 청동검'.][* 애니판 결투의 의식에선 분명 공격명은 파괴검'''일'''섬인데 '''두 번''' 베는 황당한 연출이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유우키 쥬다이]]와 유우기의 대결에서 등장한다. 다만 직접 소환되지는 않고 "아공간 배틀"의 효과로 선택되어 쥬다이가 선택한 [[엘리멘틀 히어로 클레이맨]]을 파괴검일섬으로 박살내는 장면만 잠깐 나왔다. 오시리스와의 전투, 블랙 파라딘 소환을 위한 융합소재, 결투의 의식에서의 마지막 소환 등, 출연은 짧았지만 특유의 간지나는 외형과 임팩트 있는 활약 덕에 [[카오스 솔저]]와 함께 [[어둠의 유우기]]의 대표 전사족 몬스터로 인기가 많은 몬스터. 투구에 솟아있는 뿔의 묘사가 일러스트와 차이가 있는데, 윗부분이 아래로 접혀있는 형태의 원작의 일러스트와는 달리, 실제 소환되었을 때는 위로 솟아나서 번개 모양을 띄고 있다. 원작자 타카하시 카즈키가 그린 애니버서리판 일러스트와 리메이크 버전인 [[파괴검 마스터-버스터 블레이더]]는 원작대로 뿔이 아래로 내려간 디자인을 차용하였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BusterBlader-DM4-JP-VG.png]] ||<#F8B848> {{{#000 한글판 명칭}}} ||<-4>'''버스터 블레이더''' (비공식 번역명)|| ||<#F8B848> {{{#000 일어판 명칭}}} ||<-4>'''バスター・ブレイダー'''|| ||<#F8B848> {{{#000 영어판 명칭}}} ||<-4>'''Buster Blader'''|| ||<#F8F8A0><-5> {{{#000 일반 몬스터}}}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DM4]])}}} || ||<#F8B848><-5> {{{#000 효과 몬스터}}}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DM7]],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DM8]])}}}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8[*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에서부터는 7.] || 흙마족 || 전사족 || 2600 || 2300 || ||<-5>드래곤족을 말살하는 것을 특기로 삼는 전설의 전사.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DM4]])}}}|| ||<-5>적의 필드의 드래곤족의 수만큼 파워업하는 효과를 가졌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DM7]],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DM8]])}}}||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부터 등장. 원작을 반영하여 유우기 덱에서만 사용해볼 수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에서부터는 원작처럼 상대 필드의 드래곤족 수만큼 능력치를 강화하는 효과를 가진 효과 몬스터가 되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 [[파일:DP16버스터블레이더.jpg|width=100%]]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4288_1.jpg|width=100%]] || || 일반판[* 이 카드의 구도는 원작인 20권의 136 페이지 쪽에 있는 구도] || [[애니버서리 팩]]판[* 일러스트에 버스터 블레이더가 등장하는 카드들은 거의 이 버전의 일러스트를 채용하고 있다.] || || [[파일:バスター・ブレイダー(711C).jpg|width=100%]] || || 세븐일레븐 한정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버스터 블레이더, 일어판명칭=バスター・ブレイダー, 영어판명칭=Buster Blader, 속성=땅, 레벨=7, 공격력=2600, 수비력=2300, 종족=전사족,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상대의 필드 / 묘지의 드래곤족 몬스터의 수 × 500 올린다.)] 상대의 필드 / 묘지의 드래곤족 몬스터 수만큼 공격력을 강화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지속 효과|지속 효과]]를 가진 최상급 효과 몬스터. [[드래곤 슬레이어]]라는 원작의 설정에 맞춰 상대 드래곤족 몬스터에 대응하여 공격력이 증가하는 효과 덕분에 드래곤족 몬스터와의 배틀에서 엄청난 힘을 발휘하는 몬스터이다. [[푸른 눈의 백룡]]조차도 단독으로 잡을 수 있다. 상대 묘지의 드래곤족 몬스터까지 공격력 상승요인이 되는데, 보통의 드래곤족 중심의 덱은 [[용의 영묘]] 등으로 묘지에 몬스터를 빠르게 쌓아 놓고 덱을 굴리기 때문에 이 카드는 존재 자체가 드래곤족의 카운터라 할 수 있다. 사실 약점이 있다면 [[용의 거울]]이다. 그 대단한 공격력도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F·G·D]] 등 공격력이 높은 드래곤족 융합 몬스터들에게는 맞서기 힘들다. 물론 융합으로 정규 소환했거나 [[미래융합-퓨처 퓨전]]을 사용했다면 버스터 블레이더의 공격력이 더 높지만,[* 궁극룡의 경우 (묘지의 푸른눈×3 + 필드의 궁극룡)×500 + 2600 = 4600 > 4500. F·G·D의 경우 (묘지의 드래곤×5 필드의 F·G·D)×500 + 2600 = 5600 > 5000] 대부분의 드래곤족 융합 몬스터는 [[용의 거울]]로 튀어나오는지라 버스터 블레이더의 효과를 피해 공격력 상승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거기다 F.G.D는 그 효과 때문에 버스터 블레이더가 전투로는 파괴할 수 없다. [[DNA 개조 수술]]과의 콤보가 있지만 그쪽은 [[사이퍼 스카우터]]가 우위. [[푸른 눈의 빛룡]]이나 [[붉은 눈의 암룡]]은 이기는게 그나마 위안이다. [[스킬 드레인]]이 뜨면 빛룡은 못 이기겠지만 암룡은 이긴다. 그나마 용의 거울의 인기도 이전에 비해 떨어지고 공격력 4~5000대의 초대형 드래곤족이 나오는 경우가 그렇게까지 흔하지는 않다는 것이 위안이지만, 대 드래곤전 병기라고는 해도 이 카드가 드래곤에 대해 우위를 점하는 것은 오직 공격력 뿐인지라 드래곤이 효과를 쓴다거나 전개를 막는 수준의 근본적인 방해는 하지 못한다는 걸 잊지 말아야 한다. 결국 제대로 활약하려면 이 카드가 비트를 제대로 할 수 있도록 보조를 잘 해주어야 한다. 전용 서포트로 숙련된 백마도사, 용파괴의 상징, 그리고 [[파괴검]]이 있다. 다만 숙련된 백마도사의 애매한 스펙과 7이라는 미묘한 레벨이 발목을 잡아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로 지원이 나온 지금도 여전히 소환이 그렇게 쉽지는 않다. [[블랙 매지션]]과 [[융합 소환|융합]]하여 [[초마도검사 블랙 파라딘]]이 되며, 소환·서치 서포트가 있어 비교적 융합은 간편하다. 버스터 블레이더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고, 대개 자신의 효과를 그대로 이어받은 블랙 파라딘 주축 덱에 융합 소재 겸 해서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이마저도 [[융합소재 대체 몬스터]]들에 자리를 빼앗기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그마저도 [[티마이오스의 눈동자]]가 OCG화되면서 블랙 매지션만으로 블랙 파라딘을 소환할 수 있게 되어, 이제 융합 소재로서의 가치는 거의 0%다. 대신 [[블랙 매지션]] 중점이 아닌 버스터 블레이더 중점이면 [[파괴검사융합]]으로 융합하는 건 가치가 있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0-09-2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CA-51 | '''[[아누비스의 저주|Curse of Anubis - アヌビスの呪い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UR)] || ||<(> 2001-06-2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YU-05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遊戯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2-06-2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L1-135 | DUELIST LEGACY Volume.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02-09-1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303-054 | 黒魔導の覇者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 || ||<(> 2003-05-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Y2-010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遊戯編 - Volume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06-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1-JP095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8-03-1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T01-JP006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デュエルターミナル 「シンクロ覚醒!!」]]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9-03-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YAP1-JP007 | [[애니버서리 팩|ANNIVERSARY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1-05-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01-JP086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 [ 2011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4-07-0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15AY-JPB04 | [[결투왕의 기억|15周年記念商品 決闘王の記憶 - 決闘都市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4-08-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15AY-JPC11 | [[결투왕의 기억|15周年記念商品 決闘王の記憶 - 闘いの儀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5-06-0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16-JP010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 - 決闘都市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5-11-2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MB01-JP012 | [[MILLENNIUM DECK|ミレニアムボックス ゴールドエディション]]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M)] || ||<(> 2016-06-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MY-JP012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武藤遊戯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2-10-2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SV-050 | '''[[파라오의 사도(부스터 팩)|PHARAOH'S SERVAN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3-01-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L1-002 | DUELIST LEAGUE SERIES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3-09-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PT-008 | BOOSTER PACK TIN 200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04-10-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B1-EN095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4-12-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SV-EN050 | [[파라오의 사도(부스터 팩)|PHARAOH'S SERVAN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8-07-24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TP1-EN006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 PREVIEW WAVE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12-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YAP1-EN006 | [[애니버서리 팩|ANNIVERSARY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9-06-2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TP1-EN006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 PREVIEW WAVE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9-07-0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PYG-EN007 | [[듀얼리스트 팩|DUELIST PACK - YUGI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9-07-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RP02-EN013 | RETRO PACK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0-01-2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T01-EN006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05-24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P01-EN117 | BATTLE PACK EPIC DAW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T)] || ||<(> 2012-09-2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CYW-EN020 | LEGENDARY COLLECTION 3 YUGI'S WORLD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3-12-0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YSYR-EN009 | [[스타터 덱|STARTER DECK YUGI RELOADE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5-06-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PBC-EN010 | [[듀얼리스트 팩|DUELIST PACK - BATTLE CITY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5-11-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YGLD-ENB04 | [[결투왕의 기억|YUGI'S LEGENDARY DECK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15-11-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YGLD-ENC11 | [[결투왕의 기억|YUGI'S LEGENDARY DECK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10-2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DK2-ENY12 | LEGENDARY DECKS II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10-2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MY-EN012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STRUCTURE DECK : YUGI MUTO]]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9-03-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BLS-EN001 | SPEED DUEL: ARENA OF LOST SOUL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0-11-2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BCB-EN003 | Speed Duel: Battle City Box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2-03-1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HAC1-EN007 | [[숨겨진 세력|HIDDEN ARSENAL CHAPTER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4-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SV-EN050 | [[파라오의 사도(부스터 팩)|PHARAOH'S SERVANT (LC01 25th Anniversary Edi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4-06-1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SV-K050 | '''[[파라오의 사도(부스터 팩)|파라오의 사도]]'''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6-04-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BP1-KR095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9-08-1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YAP1-KR006 | [[애니버서리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9-09-2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00-KR012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 유희 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5-12-1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MB01-KR012 | [[MILLENNIUM DECK|밀레니엄 덱]]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M)] || ||<(> 2016-06-1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16-KR010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 배틀 시티 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6-09-0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MY-KR012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스트럭처 덱 - 유희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8-08-2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15AY-KRB04 | [[결투왕의 기억|결투왕의 기억 - 배틀 시티 편 - 스페셜 세트]]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8-12-1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15AY-KRC11 | [[결투왕의 기억|결투왕의 기억 - 싸움의 의식 편 - 스페셜 세트]]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유희왕 러시 듀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버스터 블레이더(유희왕 러시 듀얼))] == 관련 카드 == === [[숙련된 백마도사]] === === [[버스터 블레이더(유희왕/카드군)#용파괴의 상징|용파괴의 상징]] === 자신을 서치하는 효과를 가진 전용 마법. === [[기적의 부활]] === 자신을 소생시키는 효과를 가진 전용 함정. === [[초마도검사 블랙 파라딘]] === 버스터 블레이더를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1. === [[파괴검 마스터-버스터 블레이더]] === 특정 상황에서 자신으로 취급하는 효과를 가진 아종. === [[용파괴의 검사-버스터 블레이더]] === 버스터 블레이더를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2. === [[툰 버스터 블레이더]] === 버스터 블레이더의 툰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