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D2C5A 5%, #00003E 5%, #00003E 10%, #1D2C5A 10%, #1D2C5A 15%, #00003E 15%, #00003E 20%, #1D2C5A 20%, #1D2C5A 25%, #00003E 25%, #00003E 30%, #1D2C5A 30%, #1D2C5A 35%, #00003E 35%, #00003E 40%, #1D2C5A 40%, #1D2C5A 45%, #00003E 45%, #00003E 50%, #1D2C5A 50%, #1D2C5A 55%, #00003E 55%, #00003E 60%, #1D2C5A 60%, #1D2C5A 65%, #00003E 65%, #00003E 70%, #1D2C5A 70%, #1D2C5A 75%, #00003E 75%, #00003E 80%, #1D2C5A 80%, #1D2C5A 85%, #00003E 85%, #00003E 90%, #1D2C5A 90%, #1D2C5A 95%, #00003E 95%);" {{{#ffffff '''버티 올드의 기타 정보'''}}}}}}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셀틱 FC/역대 최고의 팀)] ---- [include(틀:셀틱 FC/공식 레전드)] }}} || ||<-3> {{{+1 [[셀틱 FC|{{{#fff '''셀틱 FC'''}}}]]}}} || ||<-3> {{{#018749 '''Celtic FC Greatest Ever Team'''}}} || ||<-3> {{{#018749 '''Celtic FC Official Legend'''}}}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ertie Auld.jpg|width=100%]]}}} || ||<-2> {{{#fff '''이름'''}}} || '''{{{+1 버티 올드}}} [br] Bertie Auld''' || ||<-2> {{{#fff '''본명'''}}} ||로버트 올드 [br] Robert Auld || ||<-2> {{{#fff '''출생'''}}} ||[[1938년]] [[3월 23일]] [br]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 ||<-2> {{{#fff '''사망'''}}} ||[[2021년]] [[11월 14일]] (향년 83세) || ||<-2> {{{#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include(틀:국기, 국명=스코틀랜드)]) || ||<-2> {{{#fff '''신체'''}}} ||167cm || ||<-2> {{{#fff '''직업'''}}} ||[[축구선수]] ([[미드필더]][* [[측면 미드필더]], [[중앙 미드필더]]] / ^^은퇴^^)[br][[축구감독]] (^^은퇴^^) || ||<|2> {{{#fff ''' 소속 ''' }}} || {{{#fff ''' 선수 ''' }}} ||'''[[셀틱 FC]] (1955~1961)'''[br]{{{-1 → [[덤바턴 FC]] (1956~1957 / ^^임대^^)}}}[br]'''[[버밍엄 시티 FC]] (1961~1965)'''[br]'''[[셀틱 FC]] (1965~1971)'''[br][[히버니언 FC]] (1971~1973) || || {{{#fff ''' 감독 ''' }}} ||'''[[파틱 시슬 FC]] (1974~1980)'''[br][[히버니언 FC]] (1980~1982)[br][[해밀턴 아카데미컬 FC]] (1982~1983)[br][[파틱 시슬 FC]] (1986)[br][[덤바턴 FC]] (1988) || ||<-2> {{{#fff '''국가대표'''}}} ||3경기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스코틀랜드]] / 1959)^^ || [목차] [clearfix] == 개요 == [[셀틱 FC]]의 [[유러피언 컵]] 우승의 주역이자 구단의 전설적인 선수다. == 일생 == 올드는 글래스고에서 8남내 중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15살에 지역 축구 클럽인 메리힐 하프에 입단하며 축구를 시작했다. 1955년 3월, [[클라이드 FC]]와 [[파틱 시슬 FC]]의 제의를 거절하고, [[셀틱 FC]]에 입단하였고, 에어드리어니언스 FC와의 [[스코티시 리그 컵]]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다. 그의 포지션은 본래 [[풀백(축구)|풀백]]이었지만 경기력 향상을 위해 [[윙어]]로 변경했으나, 너무나도 강한 성격과 형편 없는 훈련 태도를 보여 [[덤바턴 FC]]로 한 시즌 임대를 떠나게 되었고, 1961년에 [[버밍엄 시티 FC]]로 15,000 파운드의 이적료로 이적했다. 이적 후 [[인터 밀란]]과의 [[인터-시티 페어스컵]] 준결승전에서 데뷔전을 치렀다. 버밍엄은 결승에 올랐고, 버티도 결승전에 출전했지만 [[AS 로마]]에게 2:4로 패배하며 우승을 놓쳤다. 1965년, [[조크 스타인]]의 주도로 12,000 파운드에 셀틱으로 다시 복귀했다. 올드는 이전처럼 윙어로 뛰지 않고, [[바비 머독]]과 함께 중원을 형성했다. 그는 이적 후 리그 우승과 [[유러피언 컵]] 우승의 주역이 되었고, 인터 밀란과의 유러피언 컵 결승 직전 터널에서 셀틱 응원가를 부르며, 상대 선수들을 어리둥절하게 만들기도 했다. 1971년, 올드는 [[히버니언 FC]]로 이적하여 플레잉 코치로 뛰었고, 1973년에 선수 은퇴를 하게 된다. 1974년부터 [[파틱 시슬 FC]]의 감독이 된 올드는 그곳에서 6년 가량 감독직을 수행했다. 그리고 1979-80 시즌에 2부 리그로 강등된 [[히버니언 FC]] 감독으로 부임하여 곧바로 우승하여 1부 리그로 승격시켰으나, 1982년에 경질되었다. 이후 [[해밀턴 아카데미컬 FC]]와 파틱 시슬, [[덤바턴 FC]] 감독을 수행한 뒤 1988년에 은퇴했다. == 수상 == === 선수 시절 === * [[셀틱 FC]] (1955~1961 / 1965~1971) * [[스코티시 프리미어십|스코티시 풋볼 리그 디비전 원]]: 1965-66, 1966-67, 1967-68, 1968-69, 1969-70 * [[스코티시컵]]: 1964-65, 1966-67, 1968-69, 1969-70 * [[스코티시 리그컵]]: 1966-67, 1967-68, 1968-69, 1969-70 * [[유러피언 컵]] 우승: 1966-67 / 준우승: 1969-70 * [[인터컨티넨탈 컵]] 준우승: 1967 * [[버밍엄 시티 FC]] (1961~1965) * [[인터-시티 페어스컵]] 준우승: 1960-61 * [[EFL 컵|풋볼 리그 컵]]: 1962-63 === 감독 시절 === * [[파틱 시슬 FC]] (1974~1980 / 1986) * [[스코티시 챔피언십|스코티시 퍼스트 디비전]]: 1975-76 * [[히버니언 FC]] (1980~1982) * [[스코티시 챔피언십|스코티시 퍼스트 디비전]]: 1980-81 [[분류:1938년 출생]][[분류:2021년 사망]][[분류:스코틀랜드의 축구선수]][[분류:스코틀랜드의 축구감독]][[분류:셀틱 FC/은퇴, 이적]][[분류:덤바턴 FC/은퇴, 이적]][[분류:버밍엄 시티 FC/은퇴, 이적]][[분류:히버니언 FC/은퇴, 이적]][[분류:파틱 시슬 FC/역대 감독]][[분류:히버니언 FC/역대 감독]][[분류:해밀턴 아카데미컬 FC/역대 감독]][[분류:덤바턴 FC/역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