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도)] ||<-3> {{{#fff {{{+2 '''번영로'''}}}[br]繁榮路 | Beonyeong-ro}}} || || ← {{{-1 {{{#555,#aaa [[도쿄|{{{#555,#aaa 도쿄}}}]] 방면}}}}}}[br][[충장대로]] ||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Tabliczka_AH1.svg.png|width=36]][br]{{{-1 {{{#fff 아시안 하이웨이[br]1호선}}}}}}]] || {{{-1 {{{#555,#aaa [[카프쿨레|{{{#555,#aaa 카프쿨레}}}]] 방면}}}}}} →[br][[경부고속도로]] || ||<-3> [[파일:Cityroad_kor_11m.svg|height=17px]] {{{-1 {{{#fff 11번 부산광역시도}}}}}} || ||<-3><#007348> '''{{{#fff 노선 번호}}}''' || ||<-3>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br]11번 부산광역시도''' || ||<-3><#007348> '''{{{#fff 기점}}}''' || ||<-3>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 [[구서IC]] || ||<-3><#007348> '''{{{#fff 종점}}}''' || ||<-3> [[부산광역시]] [[동구(부산광역시)|동구]] [[좌천동]] 충장고가로[* 부산광역시 고시 기준. 다만 [[부산시설공단]]에서는 문현램프를 종점으로 보고 있다.] || ||<-3><#007348> '''{{{#fff 연장}}}''' || ||<-3> 18.5km || ||<-3><#007348> '''{{{#fff 개통}}}''' || ||<-3> [[1980년]] [[10월 7일]] || ||<-3><#007348> '''{{{#fff 관리}}}''' || ||<-3><#fff,#aaa> [[부산시설공단|[[파일:부산시설공단 로고.svg|height=30]]]] || ||<-3><#007348> '''{{{#fff 왕복 차로 수}}}''' || || 4차로 ||<-2> 문현고가교 - [[석대IC|석대램프]] || || 8차로 ||<-2> [[회동교차로]] - [[구서IC]] || || 10차로 ||<-2> [[석대IC|석대램프]] - [[회동교차로]] || ||<-3><#007348> '''{{{#fff 제한속도}}}''' || ||<-3> 80km/h[* 단, 문현고가교 구간은 60km/h] || ||<-3><#007348> '''{{{#fff 주요 경유지}}}''' || ||<-3> 3부두 ↔ 문현램프 ↔ 대연램프 ↔ [[원동IC]] ↔ [[구서IC]]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번영로(부산)/beonyeongno.jpg|width=100%]]}}}|| || 번영로의 모습[* 107번 형간전환 이전 [[부산 버스 1007|1007번]] 오전 노선을 타고 가면서 촬영한 것이다. 오전 노선은 [[정관산업로]]에서 짧게나마 번영로를 경유하여 [[원동IC]]로 빠져나간다. 지금은 [[부산 버스 107|107번]]으로 변경되어 [[수영강변대로]]로 변경되었지만 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 개통으로 오전과 오후 노선이 상시 반여1동 경유로 통합되어 미경유하게 되었다.]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 [[구서IC]]에서 출발하여 [[동구(부산)|동구]] [[좌천동]] 충장고가로에서 끝나는 [[부산광역시도]]. == 상세 ==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으로도 지정되어 있다. [[부산항]]과 [[경부고속도로]]를 연결하여 컨테이너 물류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026년에 [[승학터널]]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91202_0000847759&cID=10899&pID=10800|개통 이후]]에는 충장고가도로 종점에서 [[남해안대로]] ([[1030번 지방도]])와도 연결될 예정이다. 도로명인 '''번영로''' 대신 '''도시고속도로'''란 이름으로 주로 불리며, 경부고속도로와 부산시내 도로의 표지판과 도로노면에도 도시고속도로로 표기한다. [[부산교통방송|교통방송]]에서도 도시고속도로 원동IC나 구서IC등으로 말한다. 건설명칭보다 붙여진 도로명이 관습화된 명칭인 [[동서고가로]]와는 정 반대인 셈. == 역사 == * [[1977년]] [[5월]] 착공 * [[1980년]] [[10월 7일]] 개통[*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010070032920100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0-10-07&officeId=00032&pageNo=1&printNo=10776&publishType=00020|당시 신문기사]]] * [[1981년]] [[4월 1일]] 유료화[* 개통후 4개월 동안은 무료였다. [[https://theme.archives.go.kr//next/common/viewEbook.do?singleData=N&archiveEventId=0028122803#22|부산시공고 제178호]]] * [[2004년]] [[1월 1일]] 무료화[* 이는 [[광안대교]] 개통과 [[구덕터널]] 요금징수 기간 연장에 따른 조치로 2년 앞당긴 것으로 기존에는 2005년 12월까지 징수할 예정이었다. 무료화 전 번영로의 통행요금은 400원으로 대연 및 반여 요금소에서 각 200원씩 징수했다. [[https://theme.archives.go.kr//next/common/viewEbook.do?singleData=N&archiveEventId=0028122803#22|유료화 개시공고인 부산시공고 제178호]]에 따르면 당초 통행료 징수기간은 1999년 5월 31일까지 였다고 한다. 승용차 기준으로 유료화 당시의 요금은 전 구간 300원, 반여 요금소 200원이었다.][* 1999년 5월 3일에 열린[[http://www.kookje.co.kr/mobile/view.asp?gbn=v&code=0300&key=19990504.01001319838|부산시의회]] [[http://www.kookje.co.kr/mobile/view.asp?gbn=v&code=0300&key=19990505.01002317198|건설교통위원회]]에서 부산시의 심각한 재정난으로 인한 세원(稅源) 유지의 필요성을 들어 문제의 조례안을 수정후 5월 4일 본회의에서 통과시켰다고 한다. 참고로 원래 추진됐던 연장기간은 2006년 12월말까지 였다고 한다.] === 구간 === ||<-2><#494a4c> {{{#ffffff 소재지}}} ||<#494a4c> {{{#ffffff 종류}}} ||<#494a4c> {{{#ffffff 명칭}}} ||<#494a4c> {{{#ffffff 접속 노선}}} ||<#494a4c> {{{#ffffff 비고}}} || ||<|27><#BDBDBD> [[부산광역시]] ||<|7><#D8D8D8> [[남구(부산광역시)|남구]] || BR || 문현고가교 || [[충장대로]] || 충장고가로 직결 || || IC || 문현램프 || [[수영로(부산)|수영로]] || 구서 방면 진입, 문현 방면 진출 가능 || || TN || [[문현터널]] || || || || SA || 대연휴게소 || || 문현 방면 || || TN || [[대연터널]] || || || || IC || 대연램프 || [[황령대로]] || 구서 방면 진입, 문현 방면 진출 가능 || || TN || [[광안터널]] || || || ||<|3><#D8D8D8> [[수영구]] || SA || 광안휴게소 || || 구서 방면 || || TN || [[수영터널]] || || || || IC || 망미램프 || [[좌수영로(부산)|좌수영로]] || 구서 방면 진출입 가능 || ||<|2><#D8D8D8> [[동래구]] || IC || 수영램프 || [[온천천로]] || 문현 방면 진입만 가능 || || IC || [[원동IC]] || [[해운대로]] || || ||<|5><#D8D8D8> [[금정구]] || IC || [[금사램프]] || [[반송로(부산)|반송로]] || 구서 방면 진출, 문현 방면 진입 가능 || || IC || [[석대IC|석대램프]] || [[수영강변대로]] || 구서 방면 진입, 문현 방면 진출 가능 || || IC || [[회동교차로]] || [[정관산업로]] || || || TN || [[오륜터널]] || || 쌍쌍굴 터널 || || IC || [[구서IC]] || [[경부고속도로]] [br] [[중앙대로(부산)|중앙대로]] [br] [[금정로(부산)|금정로]] [br] [[체육공원로(금정구)|체육공원로]] || || 휴게소가 2곳이 있는데 이름은 휴게소지만 실제로는 졸음쉼터 정도의 시설만 갖추고 있다. 원동IC와 금사램프 사이에서 [[해운대구]] [[반여4동]]을 지나지만 램프는 없다. == 특징 == [[부산광역시|부산]] 내에 있는 도시고속도로 중 [[터널]]이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다. [[대연터널]], [[문현터널]], [[광안터널]], [[수영터널]], [[오륜터널]] 총 5개의 터널이 있다. 오륜터널은 쌍쌍굴 형태로 된 터널로 편도 2차로 터널이 병렬식으로 4개 있는 형태다.[* 1980년에 2개의 터널이 먼저 개통했고 2000년에 확장하면서 기존 터널 옆에 2개의 터널을 새로 뚫었다. 비슷한 사례로 [[봉담과천로]](봉담과천고속화도로)의 과천터널과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소래터널이 있다. 여기도 2차로짜리 터널이 4개.] 수영터널을 지나서 망미램프를 넘어오면 오륜터널 나오기 전까지는 [[수영강]]변을 그대로 따라간다. 수영강 건너편에는 [[수영강변대로]]가 놓여져 있으며 석대에서 연결돼서 이 도로의 통행량을 분산해주고 해운대 방향으로 가는 역할을 해주고 있다. 오륜터널은 부산의 대표적인 수원지인 [[회동저수지|회동수원지]] 근처에 건설되었다. 따라서 이 터널이 건설될 무렵 [[환경오염]]을 우려했던지 많은 환경단체들의 항의와 반발을 거세게 받았다고 한다. 오륜터널로 가는 길목에 [[정관산업로]] 진입램프가 [[2009년]]에 개설되어 이 곳에서 [[정관신도시]]로의 이동이 더욱 편리해졌다.[* 개통 전까지는 [[구서IC]]까지 그대로 간 후 [[노포동]]으로 가서 [[웅상대로]]를 쭉 따라 간 후 월평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정관로]]를 따라 정관으로 들어와야 했다. 아니면 반송까지 갔다가 [[철마면]]을 거쳐 곰내재를 넘어서 가든가. 가장 최단거리였지만 정말로 위험했다.] [[7번 국도]]의 국도대체우회도로 역할을 하고 있지만, 다른 지자체와는 달리 이 곳을 7번 국도로 지정하지 않았다. 원래대로라면 [[중앙대로(부산)|중앙대로]]가 아니라 이 도로가 [[7번 국도]]가 되어야 했을 것인데, [[6번 국도]]의 [[종로|서울시내 구간]]과 같이 고속화도로를 놔두고 여전히 시내도로를 국도로 사용하고 있다. 1980년에 개통되었기 때문에 40년이 지난 지금은 꽤 낡은 도로가 되었다. 번영로를 타 보면 알겠지만 일반 도시고속도로와는 다르게 도로 시설이 매우 노후화가 되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특히 노면 상태가 좋지 않다.] 전체적으로 교각역시 둥근 Y, T 자 교각보다 넓적한 사각형 교각, 얇은 원통형 교각을 도배한 교각들등 당시 기술력을 볼수 있다. == 헬게이트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01113_200336.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01113_200348.jpg|width=100%]]}}}|| || 퇴근시간대 대연, 문현터널 구간 모습 || 퇴근시간대 석대램프 모습 || 부산 판 [[동부간선도로]]. [[부산광역시]]의 대표적인 [[도시고속도로]]이고 [[부산항]] [[부두]]와 [[경부고속도로]]를 연결해주는 [[고속화도로]]이기때문에 출/퇴근 [[러시 아워|RH]]에는 [[동서고가로|동서지옥]] 못지않게 꽉 막힌다.[* 다만 동서고가도로보단 정체구간이 덜심하고 덜 길다. 도시고속도로의 당시 특성상 주택가를 지나가야하는 경우가 많아 램프가 많지가 않으며, 그 정체도 주로 원동IC~황령터널~문현램프 사이에서 일어나며, 서울방면에서도 양산에서 중앙고속도로를 이용하여 백양~수정터널을 탄다던가, 울산이나 울주분기점에서 동해고속도로를 이용해 광안대교를 탄다거나 등등 동서고가도로에 비해 남북간 대체도로가 아예 없는수준은 아니다.--다만 이들 대체루트도 하나같이 막히는걸 감안해야하니 네비로 찍히는 가장 빠른 루트를 이용하자.-- 특히 문현램프 지나서 문현터널부터 대연터널, 광안터널까지 절정을 이루는데 만약 이 구간에서 [[교통사고|사고]]라도 나는 순간엔, 번영[[주차장]]으로 변한다. 하행은 토요일에 [[수영터널]]부터 막힌다.] 이 때는 그냥 번영로 진입을 포기하고 일반도로인 [[수영로(부산)|수영로]]로 우회하여 [[망미동]]까지 간 다음 번영로로 진입하는 편이 더 나을지도 모른다. --수영로에는 더 심한 지옥도가 펼쳐져 있을 가능성이 높다-- 하행선은 [[광안대교]]를 이용하기도 한다.[* 특히 출퇴근시간대에는 [[원동IC]]부터 막힌다. 그래서 몇몇 운전자는 [[석대IC]]로 빠져나와 [[광안대교]]나, 수영강변대로로 우회한다.] 암튼 이 도로 특성상 사고 한번 나게되면 그 여파가 문현램프까지 몰리기 때문에 몇 km나 되는 정체구간이 발생하게 된다. 더군다나 빠져나가는 길이 수영구 망미램프 이전엔 단 하나도 없기 때문에 길이 막히는 순간 그대로 망미램프까지 가야만 한다.[* 물론 번영로 안으로 들어오는 램프는 몇 군데 더 있다.] 주말에는 주로 [[코스트코 부산점]]으로 가려고 이 도로를 타고 많이 오는 것같다. [[코스트코 부산점]] 근처에 있는 망미램프 구간이 시내버스가 드물게 운행하는 지역이기 때문에[* 이 구간을 운행하는 시내버스는 [[부산 버스 54|단]] [[부산 버스 115|둘]]뿐이다. 그 두 노선 마저 직선화된 선형이 아닌 구불구불 둘러가는 [[굴곡 노선/버스|굴곡 노선]]이라 [[토곡]]에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해서 가야만 한다.] 거의 다 번영로에 의존하여 다른 지역으로 갈 수 밖에 없다. == 대중교통 == * 번영로를 이용하는 대중교통은 [[부산 버스 1008|1008]]이 있으며 [[회동교차로]]~[[오륜터널]]~[[구서IC]] 구간을 이용하고 있다.[* [[윤산터널]]의 개통으로 일시적으로 2020년 6월 20일부로 노선 경로가 변경되어 [[회동교차로]]에서 [[윤산터널]]을 통과하여 바로 롯데마트교차로까지 이어주고 있었으나 윤산터널의 지속적인 정체로 인해 다시 원 노선으로 환원되었다.] 과거에 잠깐 이용했던 버스들도 [[정관신도시]]와 연관된 노선이었다. 따라서 번영로 연선에 있는 곳으로 가기 위해서는 [[구서동]]을 제외하면 버스나 도시철도를 두 번 이상 갈아타야 되는데 이로 인해 승용차 이용자와 대중교통 이용자들 간 소요시간 차이가 많이 난다.[* 특히 [[부산역]]에서 [[해운대]]([[센텀시티]])까지 가는 데 빠른 급행버스 [[부산 버스 1001|1001]]이나 [[부산 버스 1003|1003]]을 탄다 해도 최소 35분 남짓 걸린다. [[교통 체증]]이 거의 없을 시 한정으로 번영로를 이용하면 20분이내로 갈 수 있다.(부산역후문~[[충장대로]]~충장고가교~번영로~망미램프~수영4호교~센텀시티) 그나마 남포동에서 해운대 방면은 [[부산항대교]]와 [[광안대교]]를 이용하는 [[부산 버스 1006]]과 [[부산 버스 1011]]가 신설되어 [[영도구|영도]]에서 환승하는 경로로 갈 수 있게 되어 소요시간이 많이 단축되었다.] * [[부산TG]]에서 [[해운대구|해운대]]방면으로 갈 때 반드시 거치는 도로인지라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 출발 경부선 노선들이 [[원동IC]]를 통해 이 도로에 진입하는데, [[오산역환승센터|오산]], [[수원버스터미널|수원]], [[안산종합버스터미널|안산]], [[부천종합터미널|부천]], [[고양종합터미널|고양]], [[광주종합버스터미널|경기광주]], [[하남시 버스환승 공영차고지|하남]], [[동두천터미널|동두천]][* 2015년 7월 10일 개통. 경기광주 ~ 하남 ~ 남양주 (와부) 노선이 남양주 안가고 동두천으로 바뀐 것이다.] 방면은 [[부산종합버스터미널]]에서 승객을 태우기 위해 [[구서IC]]에서 [[중앙대로(부산)|중앙대로]]로 진출하며, [[언양시외버스터미널|언양]],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 2015년 7월 15일 개통. [[코리아와이드 경북]]과 [[해운대고속]]에서 [[공동 배차]]하여 운행한다. 본래 [[대구북부정류장]] 착발로 [[동부정류장]]에서 중간 승하차했으며, 대구 시내 구간의 매표는 당연히 안 되었다.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 통합 후 2017년 2월 10일에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로 단축됐다.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개통 후에는 [[부산TG]]를 찍은 후 [[노포JC]]에서 금정산터널로 빠진다.]방면은 [[구서IC]]에서 바로 [[경부고속도로]]에 진입한다.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 ~ [[부산종합버스터미널]] 구간 승차가 불가능하며, 정 가고 싶으면 [[부산 버스 1002]]를 이용한 뒤 벡스코에서 환승하거나, [[부산 도시철도]]로 환승해야 한다. * 각종 행사, 기상악화 등으로 [[부산항대교]]가 통제될 경우 [[부산 버스 1006|1006번]], [[부산 버스 1011|1011번]]의 우회도로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해당 구간은 4부두 ~ 5부두 구간으로, 모두 충장고가교 구간이다. 만약 우회 목적으로 번영로를 탔다면 5부두에서 부산항순환도로로 빠진 뒤 [[동서고가로]](우암고가로 구간)를 타고 동부산으로 들어간다. 충장고가도로가 아닌 [[우암로(부산)|우암로]]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 이야깃거리 == 대부분의 부산 시민들이 죽어서 마지막으로 타는 대표적인 도로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유는 [[부산TG]]로 가기 전 영락공원이 위치한 [[영락IC]] 때문인데, 번영로 연선에 살지 않는 부산 시민도 그 고인을 모시기 위해 이용하게 되고는 한다. 대부분은 [[부산영락공원|영락공원]]에서 화장한 뒤 [[부산추모공원]], 백운공원묘원, 대정공원묘원 등지에 안장하기 때문에[* 영락공원을 출발하여 [[오륜터널]]을 통과한 뒤 [[정관산업로]]를 이용한다. 따라서 정관산업로에도 마찬가지로 장의차가 많다.] 짧게라도 번영로를 타게 되어 있다. 따라서 아침시간대에 번영로에는 [[장의차]]들을 많이 볼 수 있는데, 장례행렬에 주의할 것. 보통 이들은 [[떼빙]]을 많이 하는데, 선두차량이 맨 앞에 서고, 그 뒤로 고인을 실은 리무진이 그 뒤에 장의버스가 뒤따라가고[* 최근에는 선두 승용차 없이, 고인을 실은 리무진의 앞 좌석에 상주 등을 비롯한 대표 유족들이 승차하는 경우가 더 많다.] 그 뒤로 다른 승용차들이 비상등을 켜며 일렬로 따라다닌다. 2018년 7월 11일 낮 12시 30분경 번영로 원동에서 서울 방향 200m 지점에 가로 3.5m 세로 3.5m 깊이 3.5m 가량의 항아리 모양 대형 싱크홀이 발생하였다. == 아시안 하이웨이 == || ← [[카프쿨레|{{{#!html카프쿨레}}}]] {{{#!html방면}}}[br][[경부고속도로]] ||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html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 || [[도쿄|{{{#!html도쿄}}}]] {{{#!html방면}}} →[br][[충장대로]] || [[분류:번영로(부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