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동, rd1=범어동(대구))] [include(틀:영천시의 읍면동)] ||<-2> '''[[파일:영천시 CI.svg|height=15]] [[영천시|{{{#000000,#dddddd 영천시}}}]]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범어동}}}'''[br]泛魚洞 | Beomeo-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영천시 범어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상북도]] || || '''기초자치단체''' || [[영천시]] || || '''행정표준코드''' || 4723011400 || || '''관할 행정동''' || [[남부동(영천)|남부동]] || || '''면적''' || 4.65㎢ || [목차][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영천시]]에 있는 [[동(행정구역)|동]]. [[완산동(영천)|완산동]]의 동쪽에 있으며, 안범어와 진네기 두 개의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나지막한 구릉성 [[야산]]이 [[영천시]] 범어동을 감싸고 있다. [[영천시]] 범어동의 동쪽에는 '범어제'라는 [[저수지]]가 있으며, 사방의 구릉성 산지에서 발원한 하천이 서쪽으로 흐른다. 구릉성 산지의 경사를 이용한 계단식 경지가 [[영천시]] 범어동을 둘러싼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동(대구)|범어동]]과는 전혀 관계가 없지만, 둘 다 한자가 泛魚로 같다. == 연혁 == [[영천시]] 범어동(泛漁洞) 은 마을 뒷산의 모습이 마치 물 위에 떠 있는 고기와 비슷하다 해서 생긴 명칭이다. 조선 후기 영천군 완산면에 속한 지역으로 붕어덤 혹은 범어라고 불렸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범어리가 되어 영천면에 편입되었다. 1937년 7월 영천면이 읍으로 승격함에 따라 영천읍 범어리가 되었다. 1981년 7월 영천읍이 시로 승격해 영천시 범어동이 되었다. 1995년 영천군과 영천시가 통합되어 도농복합형의 영천시가 되어 영천시 범어동이 되었다. == 교통 == === 버스 === ||<-2>
{{{+1 {{{#40E0D0,#40E0D0 [br]'''범어동'''}}}}}} {{{#!wiki style="text-align: center"   }}} || || [[영천시 시내버스|{{{#40E0D0 '''운행 노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0E0D0; font-size: .95em" [[영천시 시내버스/700번대#s-2.2|{{{#ffffff 730-1}}}]] [[영천시 시내버스/700번대#s-2.2|{{{#ffffff 730-2}}}]] }}} || [[분류:영천시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