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utube(96NsgGHAOO8)] || [목차] == 개요 == 釜山 梵魚寺 元曉庵 木造觀音菩薩坐像 腹藏物 一括.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의 원효암 목조관음보살좌상 내에 복장되어 있던 유물 일체. 현재 범어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73호로 지정되어 있다. == 내용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 원효암에서 소장하고 있는 목조관음보살좌상에서 수습한 복장 불교전적(佛敎典籍)으로, 불교경전 10종, 후령통, 다라니(眞言) 2종, 조성발원문(造成發願文) 1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목조관음보살좌상은 1674년(현종 15) 5월에 조성된 것이며, 복장유물 중 중요한 유물은 아래와 같다. * 1. 1448년([[세종(조선)|세종]] 30)에 [[효령대군]] 이보(孝寧大君 李𥙷, 1396~1486)와 [[안평대군]] 이용(安平大君 李瑢, 1418∼1453)이 공덕(功德)과 권선(勸善)을 위해 함께 발원하여 간행한 [[묘법연화경]] * 2. 1462년([[세조(조선)|세조]] 8)에 세조의 명으로 불명산(佛明山) 화암사(花巖寺)에서 간행한 [[육경합부]] * 3. 1462년([[세조(조선)|세조]] 8)에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개간한 [[지장보살본원경]] * 4. 조선 세조의 명으로 천순임오[天順壬午(세조 7, 1462)] 칠월일중간(七月日重刻)한 [[관세음보살예문]] == 외부 링크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337255&cid=55774&categoryId=55944|향토문화전자대전 : 범어사 원효암 목조관음보살좌상 복장물일괄]] * [[https://ko.wikipedia.org/wiki/부산_범어사_원효암_목조관음보살좌상_복장유물_일괄|한국어 위키백과 : 부산 범어사 원효암 목조관음보살좌상 복장유물 일괄]] * [[http://bu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busan&dataType=01&contents_id=GC04219474|부산역사문화대전 : 범어사 원효암 목조관음보살좌상 복장물일괄]] [[분류: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분류:조선의 불경]][[분류:부산광역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