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BUMHAN E-STAR Series''' == 개요 ==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대치리에 공장이 있는 [[범한자동차]]에서 생산, 판매하는 [[저상버스|저상]] [[전기버스]]다. [[황해자동차 E-SKY]]의 후속 모델[* E-STAR 차량이 나온 후 곧바로 단종될 것이라는 예측이 많았지만 당분간 E-SKY 차량을 병행 판매한다.]로, 범한자동차가 황해자동차로부터 직수입해서 판매하던 방식에서 [[중국]]의 양저우 아시아스타의 [[http://m.ko.asiastarbuses.com/pure-elecrtrical-buses/11m-e-bus/js6108ghbev-e-bus.html|JS6108GHBEV]] 모델을 기반으로 범한자동차가 차량 크기를 조절하여 함안공장에서 반조립(SKD)하여 생산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에디슨 스마트|에디슨 스마트 087, 093]]처럼 양저우 아시아스타 차량을 기반으로 만들어져서 모터나 부품 등 해당 차량과 유사한 점이 많다.[* 등화부품은 디자인만 다를 뿐 형태는 완전히 같기에 호환된다.] 또한 생산 방식도 [[에디슨모터스]]와 같은 반조립 생산이기 때문에 차대번호와 원표상 국적은 [[대한민국]]산으로 나오고, 따라서 '아시아스타 E-STAR'가 아닌 '범한자동차 E-STAR'가 되는 것이다. 바디빌더 업체랑은 약간 다른데, 바디빌더라고 가정한다면 [[이리사르]], [[마르코폴루 SA]]처럼 섀시만 다른 업체에서 가져오고 바디는 아예 밑바닥에서 새로 제작해야 바디빌더 업체로 인정하는데, 범한자동차는 중국 부품을 한국 실정에 맞게 조절만 했기 때문이다. 똑같이 반조립인 에디슨 스마트 087, 093과 달리 E-STAR 8은 LED 공간이 크고 후방 LED 활용도도 높고 배터리도 상부에 있어서 [[현지화]]에 대한 부분에서는 스마트 087, 093보다 낫다는 평도 있다. == 특징 == || [[파일:범한자동차 E-STAR LED(1).gif|width=80%]] || ||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거나 방향지시등을 작동하면 후면 LED에 표시된다.[* [[CRRC 그린웨이|CRRC 그린웨이1100]] 일부 차량에도 탑재된 기능이다.] || [[에디슨 스마트|스마트 110]]처럼 충전소켓이 후면에 있다. 모터 자체의 소음과 [[회생제동]] 작동소음이 상당히 시끄러운 편이며 회생제동 작동시 모터의 반동이 심해 차 전체가 진동한다. [[현대 일렉시티|일렉시티]] 등과 비교해도 당연하고, 전작인 E-SKY와 비교해도 굉장히 시끄러운 편이다.[* [[하이거 하이퍼스|하이퍼스]] 초기형에 달린 DANA 구형 모터라 가감속시 시끄러운 편이다.] 초기 도입분은 전작인 E-SKY에서 문제가 됐던 [[서스펜션]]을 단단하게 바꿨으나 과하게 단단하게 세팅하는 바람에 충격흡수가 잘 되지 않는 역효과가 났고, 잡소리 또한 여전했으나 2022년 11월 이후 도입분부터는 차내 잡소리, 서스펜션이 개선됐다. [[전조등]]의 경우 라이트의 크기가 작아서 [[안개등]]을 켜지 않으면 잘 보이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광량이 [[자일대우버스]]의 [[자일대우버스 BS|로얄미디/로얄시티 F/L]]과 [[자일대우버스 BH|로얄럭셔리2 F/L]](일명 팬더) 수준이어서 잘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하차벨]]은 [[CHTC 에픽시티]]의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나 소리와 테두리색은 다르다. 초기형에는 하차벨이 창틀 중간부분에 달려있어서 잘못 눌리는 경우가 많아 이후 위쪽으로 옮겨졌으나 반대로 누르기가 어려워져 23년 생산분부터는 다시 창틀 중간부분으로 옮겨졌다. 극초기형의 경우 시트가 E-SKY와 같은 후면이 유광인 시트를 사용했으나, 이후 후면이 무광인 시트로 바뀌었다. 일부 차량은 유광시트와 무광시트가 같이 있기도 하다. 차량 중간부 휀더와 후방 범퍼가 초기에는 일체형이었으나, 22년 말 이후 수리 편의성을 위해 분리형으로 바뀌었다. == 차종 == === E-STAR 8 === ||<-2> {{{#000,#DDD 범한자동차 E-STAR 8}}} || ||<-2> [[파일:광명01재업.jpg|width=100%]] || ||<-2> 광명 [[진양교통]] 운행차량 || || 전장 || 8,995mm[* 5mm 차이로 중형승합으로 등록된다.] || || 전폭 || 2,495mm || || 전고 || 3,415mm || || 휠베이스 || 4,645mm || || 모터 출력 || 245kW(약 330마력) || || 배터리 || 281kWh 리튬인산철 || || 최대주행거리 || 398km || 9m급 중형 저상 전기버스이다. 특이사항으로는 전장이 대형승합 기준에서 딱 5mm 모자란 8,995mm이기에 이름만 중형인 다른 차량들과는 달리 법적으로도 중형 저상버스로 분류되며, 이에 따라 휠체어석은 1석만 설치된다. 또한 중형 저상버스는 문도 대형보다 작게 설치할 수 있어서 앞문은 1짝만 설치되고, 중문은 대형 저상버스의 전문 정도 사이즈이며, 휠도 대형 모델보다 작은 것이 장착된다.[* 심지어 10스터드 휠을 채용한 대형 모델과 달리 중형 모델은 8스터드 휠이 장착된다.] 최초 출고 업체는 광명의 [[진양교통(광명)|진양교통]], 서울의 [[미봉운수]]다. 비수도권의 경우 [[정선군 농어촌버스|정선군 와와버스]]로도 고한•사북 노선에 도입됐으며 2022년 12월 9일, 부산 마을버스 업체인 [[동남여객|대명교통]]에서 도입했고 바로 이어서 시내버스 업체인 [[남부여객]]에서 14일에 도입했다. 2023년 4월에 [[한진교통]], [[대림교통]]에서 출고했다. 2023년 6월에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최초의 E-STAR 시리즈로 [[정평운수]]에서 2대를 출고했다.[* 출고된 차량은 [[서울 버스 6647|6647번]]에서 운행하고 있다.] 2023년 7월에 부산 마을버스 업체이자 [[국제여객]]의 계열사인 (주)서호에서 1대를 출고했다. === E-STAR 11 === ||<-2> {{{#000,#DDD 범한자동차 E-STAR 11}}} || ||<-2> [[파일:_MG_0206.jpg|width=100%]] || ||<-2> 서울 [[한빛운수]] 운행차량 || || 전장 || 10,950mm || || 전폭 || 2,495mm || || 전고 || 3,420mm || || 휠베이스 || 5,900mm || || 모터 출력 || 245kW(약 330마력) || || 배터리 || 350kWh 리튬인산철 || || 최대주행거리 || 441km || 11m급 준대형 저상 전기버스이다. 저상면 좌석이 대부분 4열인 경쟁차종보다 1열이 많은 것이 특징이며, 이것 때문에 휠베이스가 길어지게 됐다. 특히 E-STAR 11의 경우 휠베이스가 동급 차량에 비해 길다.[* 11m급 저상버스의 경우 휠베이스가 평균적으로 5,400~5,600mm 사이인 반면 이 차량은 '''5,900mm'''이다. 보통 배터리가 후면에 있는 전기버스들이 휠베이스가 길지만 E-STAR 11은 배터리가 천장에 있음에도 휠베이스가 매우 길다.][* 유사하게 휠베이스가 긴 차종이 하나 더 있는데 바로 [[킹롱 시티라이트]]. 이쪽은 6,150mm로 E-STAR 11보다도 더욱 더 길다.] 보통 휠베이스가 길면 언덕 등판력이나 직진성은 좋지만, 반대로 회전반경이 커지기 때문에 우회전이나 유턴 시 어려움이 있다. 창원 [[동양교통(창원)|동양교통]]에서 전국 최초로 출고해 [[창원 버스 109|109번]], [[창원 버스 113|113번]], [[창원 버스 5000|5000번]]에 투입됐다. 2022년 12월에 대구 [[세운버스]]에서 출고해 [[대구 버스 618|618번]]에 1대 도입했으며[* 동시에 대구에서 BS106 F/L이 전멸했다.] 수도권 최초로 서울 [[한빛운수]]에서도 도입했다. 위 사진에 나온 [[서울 버스 광진05|광진05번]] 차량이 해당 회사 소속이다. == 운행 노선 == === E-STAR 8 === * [[서울특별시]] * [[시내버스]]: [[서울 버스 6647|6647번]] * [[마을버스]]: [[서울 버스 강남01|강남01번]], [[서울 버스 강북04|강북04번]], [[서울 버스 강북05|강북05번]], [[서울 버스 강북08, 12|강북08번]], [[서울 버스 강북08, 12|강북12번]], [[서울 버스 관악01|관악01번]], [[서울 버스 동작13|동작13번]], [[서울 버스 성동10|성동10번]], [[서울 버스 종로11|종로11번]] * [[경기도]] * [[고양시]] : [[고양 버스 N002|N002번]], [[고양 버스 060|060번]], [[고양 버스 065|065번]] * [[광명시]]: [[광명 버스 광명01|광명01번]], [[광명 버스 21|21번]], [[광명 버스 101|101번]], [[광명 버스 39|39번]] * [[부산광역시]] * [[시내버스]]: [[부산 버스 9|9번]] * [[마을버스]]: [[부산 버스 부산진10-1|부산진10-1번]], [[부산 버스 북구3|북구3번]] * [[강원도]] * [[정선군 농어촌버스]] * [[경상남도]] * 함안군 공영버스 === E-STAR 11 === * [[서울특별시]] * [[마을버스]]: [[서울 버스 광진05|광진05번]] * [[경기도]] * [[파주시]]: [[파주 버스 10|10번]], [[파주 버스 11|11번]], [[파주 버스 12|12번]] * [[대구광역시]] * [[간선버스]]: [[대구 버스 618|618번]], [[대구 버스 750|750번]] * [[부산광역시]] * [[시내버스]]: [[부산 버스 67|67번]], [[부산 버스 68|68번]], [[부산 버스 138-1|138-1번]], [[부산 버스 167|167번]] * [[경상남도]] * [[창원시]]: [[창원 버스 109|109번]], [[창원 버스 113|113번]], [[창원 버스 5000|5000번]] == 둘러보기 == [include(틀:국내 시판 전기버스 목록)] [[분류:저상버스]][[분류:한국의 전기버스]][[분류:2022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