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벙어리 삼룡 시리즈)] ||<-2>
{{{+2 '''벙어리 삼룡'''}}} (1964)[br]''Samryong The Mut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벙어리 삼룡(1964) 포스터.jpg|width=100%]]}}} || || '''감독''' ||[[신상옥]] || || '''원작''' ||[[나도향]][br]《[[벙어리 삼룡이]]》 || || '''각본''' ||김강윤 || || '''제작''' ||[[신상옥]] || || '''제작사''' ||신필름 || || '''기획''' ||황남 || || '''촬영''' ||김종래 || || '''편집''' ||오성환 || || '''음악''' ||정윤주 || || '''미술''' ||송백규 || || '''출연''' ||[[김진규(배우)|김진규]], [[최은희(배우)|최은희]], [[박노식(1930)|박노식]], [[도금봉]], [[최남현]] || || '''개봉일''' ||[[1964년]] [[11월 13일]] || || '''개봉관''' ||명보극장 || || '''관람인원''' ||150,000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나도향]]의 원작 소설 [[벙어리 삼룡이]]를 영화화한 두 번째 작품으로, [[신상옥]] 감독의 1964년 개봉작이다. == 출연진 == * [[김진규(배우)|김진규]] - 삼룡 역 * [[최은희(배우)|최은희]] - 순덕 역 * [[박노식(1930)|박노식]] - 광식 역 * [[도금봉]] - 추월(범실댁) 역 * [[최남현]] - 오생원 역 * [[한은진]] - 윤씨 역 * 최성호 - 만수 역 * 서월영 - 서진사 역 * 박지현 - 간난이 역 * 정득순 - 삼룡 모 역 * 이창식 - 삼룡 부 역 == 줄거리 == 착하고 선량한 머슴인 벙어리 삼룡이([[김진규(배우)|김진규]])는 오갈 데 없는 자신을 거두어준 오생원([[최남현]]) 영감의 은혜를 잊지 않고 주인 일가를 성심껏 섬긴다. 어느날 돈에 팔려 순덕([[최은희(배우)|최은희]])이 난폭한 주인의 아들 광식([[박노식(1930)|박노식]])에게 시집온다. 식모로 일하는 추월([[도금봉]])에게 정신이 팔린 광식은 순덕을 심하게 구박한다. 삼룡은 남편 때문에 눈물로 세월을 지새는 순덕 아씨가 안쓰러워 남몰래 연모한다. 삼룡은 광식과 추월이 물레방아간에서 정사를 나누는 것을 발견하고는 기절초풍해 이 사실을 추월의 남편에게 알린다. 이 일로 해서 그렇지 않아도 아씨를 두둔한다고 눈 밖에 났던 삼룡은 광식에게 죽도록 두들겨 맞고 집에서 쫓겨난다. 삼룡이 쫓겨나던 날 밤, 오생원의 집에는 원인 모를 불이 난다. 삼룡은 불기운을 이기지 못해 쓰러지기 직전인 집으로 뛰어들어 아씨를 구해낸다. 목숨을 구한 아씨가 광식이 안에 있다며 어쩔 줄 몰라하자 삼룡은 다시 집안으로 뛰어든다. 그리고 삼룡은 집밖으로 나오지 못한다. == 수상 == ||<-5>
<#EDD200> {{{+1 '''{{{#000000 역대}}}''' [[대종상|[[파일:daejongfilmawards_logo.png|width=120]]]]}}} || ||<#FFFFFF,#191919><:><-5> [[파일:daejongawards.png|width=50]] || ||<#EDD200><-5><:> {{{#000000 '''최우수작품상'''}}} || || 제3회[br]([[1964년]]) || {{{+1 →}}} || '''제4회[br]([[1965년]])''' || {{{+1 →}}} || 제5회[br]([[1966년]]) || || [[혈맥]] || {{{+1 →}}} || '''벙어리 삼룡''' || {{{+1 →}}} || [[갯마을(1965)|갯마을]] || ||<#EDD200><-5><:> || ||<-5>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width=130]]]] || ||<-5> [[파일:baeksangartsawards4.png|height=100]] || ||<-5> {{{#ffffff '''영화부문 작품상'''}}} || || || || '''제1회[br]([[1965년]])''' || {{{+1 →}}} || 제2회[br]([[1966년]]) || || || || '''벙어리 삼룡''' || {{{+1 →}}} || [[갯마을(1965)|갯마을]] || ||<-5> || * 1965년 * 제4회 [[대종상]] 최우수작품상, 감독상, 음악상, 공로상 * 제1회 [[백상예술대상]] 연극 및 영화부문 대상([[김진규(배우)|김진규]]), 영화부문 작품상, 감독상([[신상옥]]), 시나리오상(김강윤) * 제8회 [[부일영화상]] 남우주연상([[김진규(배우)|김진규]]), 각본상 * 제12회 [[아시아-태평양 영화제]] 남우주연상([[김진규(배우)|김진규]]) == 기타 == 원작과 결말이 약간 다르다. 원작에서 삼룡은 살려달라는 광식을 불구덩이에 남겨두고 아씨만을 구한 후 숨을 거두지만, 신상옥 버전에서는 아씨의 요청 때문에 삼룡이 광식을 구하다가 목숨을 잃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분류:1964년 영화]][[분류:한국의 드라마 영화]][[분류: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분류:소설 원작 영화]][[분류:백상예술대상 작품상 수상작]][[분류:15세이상관람가 영화]][[분류:신상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