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베네수엘라 프리메라 디비시온]] [include(틀:남미의 주요 축구 리그)] [include(틀:베네수엘라 프리메라 디비시온)] ||<-2> '''{{{#F9F3F3 {{{+1 Primera División de Venezuela}}}}}}[br]{{{#fff 베네수엘라 프리메라 디비시온}}}''' || ||<-2>{{{#!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color: #000000" [[파일:베네수엘라 프리메라 디비시온 로고 2021.png|width=100%]]}}} || || '''정식 명칭''' ||Primera División de Venezuela[br](프리메라 디비시온 데 베네수엘라) || || '''창설 연도''' ||1921년[br]1957년(프로화) || || '''참가 팀 수''' ||16개 팀[* 2023시즌은 15개팀] || || '''하위 리그''' ||[[베네수엘라 세군다 디비시온]] || || '''최근 우승팀''' ||[[메트로폴리타노스 FC]] (2022) || || '''최다 우승팀''' ||[[카라카스 FC]] (12회) || || '''웹사이트''' ||[[http://www.federacionvenezolanadefutbol.org/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베네수엘라의 최상위 축구 리그로 1921년 시작됐으며 1957년 프로화됐다. 보통 리가 베네수엘라 혹은 프리메라 디비시온이라 불린다. 2021년 10월 6일, Liga FUTVE는 2022 시즌을 위한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형식의 복귀를 발표했으며, 상위 8개 클럽은 플레이오프 단계에 진출하여 순위가 결정된다. 또한 클럽이 대회에 참가하려면 클럽 라이선스 요구 사항을 완전히 충족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 진행 방식 == 대회 형식은 2022년 1월 12일 16개 참가 클럽 대표들과의 회의 후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 원래 발표된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토너먼트 대신 16개 클럽이 라운드 로빈 1단계에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경기를 치르며 상위 12개 클럽이 대회의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다. 대회의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는 클럽 중 2023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출전권을 획득한 상위 4개 클럽은 결승전(페이즈 피날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여 상위 2개 팀이 단일 리그 결승전을 치러 리그 챔피언을 결정하게 된다. 5~12위 팀은 페이즈 피날 수다메리카나에 진출한다. 여기서 그들은 4명씩 2개 그룹으로 나뉘며 각 그룹의 상위 2개 그룹은 2023 코파 수다메리카나 출전 자격을 얻게 된다. 첫 번째 단계에서 최하위를 기록한 팀은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된다. == 2023 시즌 참가 클럽 == * 아카데미아 푸에르토 카베요 * 카라보보 FC * 카라카스 FC * 데포르티보 라 과이라 FC * 데포르티보 타치라 FC * 에스투디안테스 데 메리다 FC * CD 에르마노스 콜메나레스 * 메트로폴리타노스 FC * ACCD 미네로스 데 과야나 * 모나가스 SC * 포르투게사 FC * 우니베르시다드 센트랄 데 베네수엘라 FC * 사모라 FC * 데포르티보 라요 술리아노 * 앙고스투라 FC(승격팀) == 역대 우승팀 == || 2015 || [[사모라 FC]] || || 2016 || [[사모라 FC]] || || 2017 || [[모나가스 SC]] || || 2018 || [[사모라 FC]] || || 2019 || [[카라카스 FC]] || || 2020 || [[데포르티보 라과이라 FC]] || || 2021 || [[데포르티보 타치라 FC]] || || 2022 || [[메트로폴리타노스 FC]] ||